송민순, 2007 인권결의 '北의견 사전문의' 문건공개
[뉴스리뷰]
[앵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 2007년 참여정부의 유엔 북한인권 결의안 기권 과정에서 북한 입장을 사전에 확인한 증거라며 관련 문건을 공개했습니다.
지난해 10월 발간한 자신의 회고록이 오류가 아님을 밝히기 위해서라고 주장했습니다.
윤석이 기자입니다.
[기자]
참여정부 시절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낸 송민순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이 지난 2007년 정부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을 기권하면서 북한 의견을 사전에 들었다는 증거라며 문건을 공개했습니다.
이 문건에는 '남측이 인권결의안에 찬성하는 것은 북남 선언에 대한 공공연한 위반으로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는 북한의 입장을 담은 듯한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또 '남측이 인권결의안 채택을 결의할 경우 10.4 선언 이행에 위태로운 사태를 초래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적혀있습니다.
당시 '북한의 입장'으로 보이는 내용을 전달받은 김만복 국정원장은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에게 전화로 전달했고, 백 실장이 이를 문건 형태로 정리해 노 전 대통령에게 보고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송민순 / 전 외교통상부 장관> "문재인 후보가 여러 계기에 공개 방송에서 제 책이 근본적으로 오류다, 틀렸다, 혼자만의 기억이고 다른사람하고 다르다, 사실관계에 기초해서 썼다는 것을 밝힐 필요가 있어서…"
송 총장은 또 당시 기권 결정을 둘러싼 상황을 메모한 자신의 수첩도 함께 공개했습니다.
이 수첩에는 '묻지는 말았어야 했는데 문 실장이 물어보라고 해서'라며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던 민주당 문재인 대선 후보를 언급했습니다.
송 총장은 북한의 입장을 물어본 게 아니라 국정원의 판단을 물어본 것이란 문재인 후보측의 주장에도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송민순 / 전 외교통상부 장관> "정리된 메시지를 보고도 그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지…추가적인 것은 문 후보가 직접 답해야합니다."
앞서 송 총장은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에서 북한 인권결의안을 기권하기에 앞서 당시 정부가 북한의 의견을 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연합뉴스TV 윤석이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 2007년 참여정부의 유엔 북한인권 결의안 기권 과정에서 북한 입장을 사전에 확인한 증거라며 관련 문건을 공개했습니다.
지난해 10월 발간한 자신의 회고록이 오류가 아님을 밝히기 위해서라고 주장했습니다.
윤석이 기자입니다.
[기자]
참여정부 시절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낸 송민순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이 지난 2007년 정부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을 기권하면서 북한 의견을 사전에 들었다는 증거라며 문건을 공개했습니다.
이 문건에는 '남측이 인권결의안에 찬성하는 것은 북남 선언에 대한 공공연한 위반으로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는 북한의 입장을 담은 듯한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또 '남측이 인권결의안 채택을 결의할 경우 10.4 선언 이행에 위태로운 사태를 초래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적혀있습니다.
당시 '북한의 입장'으로 보이는 내용을 전달받은 김만복 국정원장은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에게 전화로 전달했고, 백 실장이 이를 문건 형태로 정리해 노 전 대통령에게 보고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송민순 / 전 외교통상부 장관> "문재인 후보가 여러 계기에 공개 방송에서 제 책이 근본적으로 오류다, 틀렸다, 혼자만의 기억이고 다른사람하고 다르다, 사실관계에 기초해서 썼다는 것을 밝힐 필요가 있어서…"
송 총장은 또 당시 기권 결정을 둘러싼 상황을 메모한 자신의 수첩도 함께 공개했습니다.
이 수첩에는 '묻지는 말았어야 했는데 문 실장이 물어보라고 해서'라며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던 민주당 문재인 대선 후보를 언급했습니다.
송 총장은 북한의 입장을 물어본 게 아니라 국정원의 판단을 물어본 것이란 문재인 후보측의 주장에도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송민순 / 전 외교통상부 장관> "정리된 메시지를 보고도 그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지…추가적인 것은 문 후보가 직접 답해야합니다."
앞서 송 총장은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에서 북한 인권결의안을 기권하기에 앞서 당시 정부가 북한의 의견을 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연합뉴스TV 윤석이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