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중임" - "대통령 권한 축소" - "연동형 비례대표제"

[뉴스리뷰]

[앵커]

대선 후보들은 개헌 필요성엔 공감했지만, 방향은 달랐습니다.

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4년 중임제 개헌을 통한 안정적 국정운영에,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대통령 권한 축소를 위한 권력구조 개편에 방점을 찍었습니다.

보도에 박상률 기자입니다.

[기자]

국회 개헌특위 전체회의에 참석한 문재인, 안철수 후보는 개헌 필요성엔 공감하면서도 각론에선 입장차가 뚜렷했습니다.

문 후보는 5년 단임제 폐해를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후보> "4년 중임 대통령제로의 개헌은…긴 호흡의 국정운영과 장기적 비전 실행이 가능해집니다."

차기 대선을 2022년 지방선거와 동시에 치르게 해 이때부터 4년 중임제를 적용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안 후보는 대통령 권한을 축소하는 방향의 권력구조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안철수 / 국민의당 후보> "권한축소형 대통령제 또는 이원집정부제 두 가지 가능성 모두를 열어놓고 있습니다."

안 후보는 청와대에 태스크포스를 설치해 9월 정기국회 개회 전까지는 개헌 의견을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근로자가 기업과 이익을 나눠 갖는 권리를 헌법에 명시하는 등 국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고치는 방향의 개헌을 강조하는 동시에,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도 주장했습니다.

불참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의견서를 통해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를 도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역시 불참한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개헌을 한다면 통일 전까지는 4년 중임 대통령제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입니다.

한편 개헌 시기와 관련해 대선 후보들은 내년 6월 지방선거가 바람직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