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상징 '창조경제' 이끈 미래부 '사느냐 죽느냐'

[뉴스리뷰]

[앵커]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이 확정된 가운데 차기 정부의 조직개편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탄핵과 함께 박근혜 정부의 상징인 '창조경제'도 운명을 다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 속에 창조경제를 주도해 온 미래창조과학부 존속 여부에 관심이 쏠립니다.

남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그간 정보통신기술을 담당하는 부처는 새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흔들렸습니다.

1994년 김영삼 정부는 체신부에 정보통신 관련 기능을 흡수·통합한 정보통신부를 만들었습니다.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정통부의 업무가 다른 부처로 분산 이관되면서 조직이 축소됐습니다.

이 때 과학기술부도 교육부와 통합됐습니다.

그리고 창조경제를 정책 기조로 내건 박근혜 정부는 지금의 미래창조과학부를 출범시켰습니다.

하지만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미래부가 휩싸이고,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정부 조직개편 1순위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미래연구부'와 '산업혁신부'를 신설해 미래부 업무를 이관하는 방안을 제시했고, '혁신기업부'로 개편하자는 의견과 과학기술부 부활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 과기부와 정통부 부활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정부조직법 일부 개정 법률안이 발의된 상태입니다.

미래부 내부에선 업무에만 집중하자는 분위기 속에 간판이 바뀌더라도 정치 공세의 대상이 된 '창조경제' 때문에 조직이 해체돼선 안된다는 얘기가 흘러나옵니다.

최양희 장관도 "성급해선 안되며 국가의 비전과 국정 철학을 정한 뒤에 논의해야 한다고 생각하다"고 밝혔습니다.

업무 연관성이 높은 과학기술계, 산업계도 미래부의 생존 여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남현호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