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 리스크, 불똥 어디로…"한계는 있다"

[뉴스리뷰]

[앵커]

재계가 중국의 사드 배치 보복 여파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재는 특정 기업과 특정 업종에 타격을 주고 있지만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보복조치 범위를 넓히는데 한계가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박진형 기자입니다.

[기자]

중국의 사드 보복조치로 중국 관광객 이른바 유커 상대 업종이 휘청거리고 있습니다.

여행, 면세점을 비롯해 유커가 가장 좋아한다는 화장품 업종까지 주가가 떨어지는게 눈에 보였습니다.

사드 배치 속도가 빨라지고 중국의 반발이 더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재계는 중국의 사드 리스크의 불똥이 어디까지 튈지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사드 용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의 경우 중국 측의 보복이 어느 수준까지 이를 지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중국 현지에 공장을 둔 자동차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과거 중국과 일본 간 다오위다오, 일본명 센카쿠 열도 분쟁 당시 일본의 자동차 업계 피해가 가장 컸기 때문입니다.

이밖에 가전, 게임, 전기차 배터리 업계 역시 상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가 일정 수준을 넘지 않을거란 분석도 없지 않습니다.

대중 수출품의 90%이상이 원료나 부품인 중간재이기 때문에 한국산 수입을 막으면 중국 기업의 타격도 커지기 때문이라는 이유입니다.

중국이 앞으로 어떤 보복카드를 꺼낼 지 가늠할 수 없는 만큼 우리 기업들의 긴장 강도도 덩달아 높아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