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北 미사일 한목소리 규탄…'안보이슈' 부상

[뉴스리뷰]

[앵커]

북한이 또다시 탄도미사일 발사에 나서면서 정치권은 한 목소리로 도발행위를 중단하라고 규탄했습니다.

미국의 사드 배치와 전술핵 재배치 움직임까지 겹치면서 외교안보 현안이 대선정국의 핵심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정영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여야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평화를 위협하는 무모한 도발행위라고 지적했습니다.

<김성원 / 한국당 대변인> "북한의 도발은 그 어떤 명분도 가질 수 없습니다. 응분의 대가 만이 따를 뿐입니다."

<고용진 / 민주당 대변인> "북극성 2형 탄도미사일 발사 22일 만에 또다시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것에 대해 강력히 규탄합니다."

하지만 대응수위를 놓고서는 온도차를 보였습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등 범여권은 사드 배치의 필요성을 재확인하며 전술핵 재배치와 독자적 핵무장론까지 제기했습니다.

<정우택 / 한국당 원내대표> "문재인 전 대표 등 야당은 사드 반대를 계속한다면 이적행위, 종북행위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야권은 전술핵 배치에 반대하며 대화와 초당적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우상호 / 민주당 원내대표> "20년 전 철수했던 핵을 다시 배치하자고 하는 주장을 하는 것은 정말 터무니없고 한국경제를 완전히 무너뜨리자는…"

북한 미사일 발사를 규탄한 대권주자들도 대응책은 달랐습니다.

문재인 전 대표 측은 "북한의 불순한 의도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경고한다"고 밝혔습니다.

안희정 충남지사 측은 "북한이 생존을 보장받는 길은 유엔 회원국으로서 의무를 준수하는 것뿐"이라고, 이재명 성남시장 측은 "중요한 것은 한반도에 긴장을 완화하는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정부가 위기관리에 매진해야 한다"고 밝혔고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은 "최선의 방어책은 사드 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미국의 사드 배치와 전술핵 재배치 움직임에 북한의 잇단 미사일 발사까지 겹치면서 대권주자들의 위기관리 능력도 시험대에 오른 모습입니다.

연합뉴스TV 정영빈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