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1천344조…억제 대책에도 증가폭 역대 최대

[뉴스리뷰]

[앵커]

가계빚 줄인다며 정부가 여신심사 강화에 주택분양 억제책까지 꺼냈지만 역부족입니다.

가계빚이 1분기만에 다시 48조원 가까이 불어나 1천300조원을 훌쩍 넘은 겁니다.

올해 가계빚 증가율을 한 자리에서 잡겠다는 정부 목표가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김종수 기자입니다.

[기자]

작년 말 가계빚은 1천344조원, 1분기만에 47조7천억원 불었습니다.

2분기 연속 역대 최대 증가폭 기록을 갈아치운 것입니다.

원리금을 처음부터 갚게 하고 대출심사를 까다롭게 하는 정책이 무색하게 브레이크가 완전히 고장난 모양새입니다.

정부 목표대로 올해 증가율을 10%내에서 묶어도 1천500조원에 육박해 작년 국내총생산 1천504조원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더 큰 문제는 가계대출 구조입니다.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은 17조원대에서 13조원대로 꺾인 반면 저축은행, 협동조합 같은 은행 외 예금기관은 불어나 증가폭이 은행과 맞먹습니다.

보험 등 기타 금융권도 큰 폭 늘었습니다.

은행 돈줄을 죄자 대출수요가 더 비싼 이자에도 아랑곳없이 몰려간 것입니다.

금융자산보다 빚이 더 많고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 40%를 넘는 한계가구도 181만 가구를 넘었습니다.

부실위험은 커지고 내수는 살 수 없는 이유입니다.

심각한 상황에 정부도 금융권에 경고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정은보 /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제2금융권은 취약차주의 비중이 높아서 금리상승의 리스크요인에 상대적으로 취약합니다…금융당국도 금융회사 리스크관리 실태를 점검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달부터 제2금융권에도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빚은 계속 늘고 금리마저 뛰면서 가계부채의 위험신호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종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