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제' 사서 트럼프 달래고 중국엔 아ㆍ태 FTA 협력

[뉴스리뷰]

[앵커]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폭풍에 결국 정부가 미국산을 더 사주고 대미 투자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사드'로 갈등 중인 중국에는 중국 주도의 다자간 자유무역협정, FTA의 진전에 협력할 방침인데 두 나라의 압박이 이 정도로 풀릴지는 미지수입니다.

김종수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에서 팔 물건은 미국에서 만들어라, 트럼프식 통상정책의 골자입니다.

대미흑자가 많으면 환율조작국으로 규정해 보복할 가능성까지 거론되자 정부가 대미무역흑자 축소를 추진합니다.

미국산 셰일가스와 미국산 자동차, 항공기 구매를 늘려 작년 232억 달러였던 대미 흑자는 줄이고 대미 투자는 늘리는 '소나기 피하기' 전략입니다.

한미 재무ㆍ통상장관회담은 물론, 전직 고위인사로 임명될 경제협력대사, 민간단체까지 동원해 트럼프 행정부와 연줄 만들기에도 나섭니다.

사드 배치를 빌미로 전방위 통상 압박에 나선 중국에는 '화전 양면책'을 구사합니다.

국제규범에 어긋난 비관세 장벽은 세계무역기구를 통한 해결을 추진하고 양자 협의도 하는 것입니다.

특히 아시아ㆍ태평양 자유무역지대 FTAAP같은 중국 주도 다자간 무역협정의 진전, 타결에 적극 나섭니다.

미국의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 TPP 탈퇴로 국제무역질서 재편 기회를 잡은 중국도 반길 대목입니다.

정부는 더 나아가 신시장 개척으로 38%가 넘는 미ㆍ중 양국에 대한 수출의존을 줄일 계획입니다.

<유일호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성장잠재력이 큰 국가들을 중심으로 경제협력을 강화해 대미, 대중 교역비중을 완화해 나가겠습니다."

이렇게 해서 올해 5천100억 달러 수출을 달성해 3년만에 수출을 증가세로 돌려놓을 방침입니다.

또 방송 프로그램 공급업 등 28개 기술, 서비스산업의 외국인 투자한도를 늘려 외국자본 유치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김종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