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이재명 "최초의 노동자 출신 대통령 될 것"
<출연 : 이재명 성남시장>
촛불과 탄핵 정국 속에서 돌풍을 일으키며 대선의 다크호스로 급부상한 정치인, 누군지 짐작하실 듯합니다.
엊그제 출마를 공식선언한 이재명 성남시장, 스튜디오에 모셨습니다.
<질문 1> 소년공으로 일했던 시계공장에서 엊그제 대권도전을 선언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어머니를 비롯해 형제ㆍ가족들도 함께 했는데요. 남다른 의미가 있을 것 같아요?
<질문 2> 대권에 도전하는 이재명 시장이 그리는 미래 대한민국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핵심 키워드로 설명한다면요?
<질문 2-1> 대권도전을 결심한 결정적인 계기는 무엇이고, 그 시기는 언제였나요?
<질문 3> 경제 공약 역시 '공정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증세ㆍ복지확대 등을 강조하고 있는데 "경제 사정이 최악인데, 가능하겠느냐"는 우려도 크지 않습니까?
<질문 4> 취약계층에게는 기본소득 100만원씩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는데요. 일단 국가예산의 7%, 28조원으로 계산했습니다. 적지 않은 규모인데 현실적으로 가능하겠느냐는 시각이 많지 않나요?
<질문 5> 출마선언 당일에도 "'열정페이'를 작살낼 정책을 수립하겠다. 사례를 알려달라"는 글을 SNS에 남겼습니다. 사회적 약자인 청년층을 대변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피력한 것인데요. 구체적으로 생각해 둔 방법이 있는지요?
<질문 6> 기본소득에 이어 "1년에 30만원씩 토지배당금도 주겠다"고 했는데요. 재원은 국토보유세를 신설해 조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어떤 개념인가요?
<질문 7> 현 정부에서 결정한 사드배치ㆍ일본군 위안부 협상에 대해 "모두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본질을 떠나 일단 국가간 협상을 뒤집을 경우에 감당해야 할 후폭풍도 고려해야 할텐데요.
<질문 8> 안보와 관련 질문인데요.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방위비 부담 요구를 해올 가능성이 있는데요. 이에 대해 "미군 철수도 각오하고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던데요. 주한미군이 그동안 해온 역할도 있거든요? 대책은 있나요?
<질문 9> 군복무 기간을 10개월로 단축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스마트 강군'으로 만들면 된다고 강조했는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비용이 과제입니다. 지금보다 훨씬 국방비가 늘어날텐데요?
<질문 10> 이재명 시장을 두고 여러면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과 비교하기도 합니다. 이 시장 스스로는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이 다르다고 생각하세요?
<질문 11> 촛불정국 초반 '사이다 발언' 등으로 이목을 끌긴 했지만, 급등했던 지지율이 주춤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전 대표와 지지율도 점점 벌어지고 있는데요. 극복할 수 있는 복안이 있나요?
<질문 12> 어떤 정치평론가는 "이 시장은 민주당 밖에서 독자적 지지도를 높였다면 가장 유력한 대권주자로 봤을 것"이란 평가도 했던데요. 요즘 경선룰 때문에도 시끄러운데 당 밖으로 나갈 생각은 없는거죠?
<질문 13> 문재인 전 대표를 향해 '높지만 성장이 멈춘 나무'라고 평가했습니다. 어떤 점 때문에 그렇게 평가하시는지요?
<질문 14> 지금 구도라면 당내 경선을 통과하고 나면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과도 상대할 텐데요. 반 전 총장에 대한 평가를 한다면요?
<질문 15> 이재명 시장 스스로는 보수적 가치를 갖고 있다고 했지만 공약들을 가장 진보적이고 '좌클릭'했다는 평가들을 합니다. 이런 평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질문 16> 어제 박원순 서울시장 김부겸 의원과 공동정부 추진이 필요하다는 뜻에 합의했습니다. 문재인 전 대표나 지도부는 아직 이르다는 입장이잖아요?
<질문 17> 경선룰과 관련해서는 시장님께서는 지도부 의견을 존중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어제 공동정부 등에 함께 뜻을 모은 박원순 시장과 김부겸의원은 범야권공동경선을 계속 주장하고 있는데요. 어떤 의견 갖고 계세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이재명 성남시장>
촛불과 탄핵 정국 속에서 돌풍을 일으키며 대선의 다크호스로 급부상한 정치인, 누군지 짐작하실 듯합니다.
엊그제 출마를 공식선언한 이재명 성남시장, 스튜디오에 모셨습니다.
<질문 1> 소년공으로 일했던 시계공장에서 엊그제 대권도전을 선언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어머니를 비롯해 형제ㆍ가족들도 함께 했는데요. 남다른 의미가 있을 것 같아요?
<질문 2> 대권에 도전하는 이재명 시장이 그리는 미래 대한민국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핵심 키워드로 설명한다면요?
<질문 2-1> 대권도전을 결심한 결정적인 계기는 무엇이고, 그 시기는 언제였나요?
<질문 3> 경제 공약 역시 '공정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증세ㆍ복지확대 등을 강조하고 있는데 "경제 사정이 최악인데, 가능하겠느냐"는 우려도 크지 않습니까?
<질문 4> 취약계층에게는 기본소득 100만원씩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는데요. 일단 국가예산의 7%, 28조원으로 계산했습니다. 적지 않은 규모인데 현실적으로 가능하겠느냐는 시각이 많지 않나요?
<질문 5> 출마선언 당일에도 "'열정페이'를 작살낼 정책을 수립하겠다. 사례를 알려달라"는 글을 SNS에 남겼습니다. 사회적 약자인 청년층을 대변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피력한 것인데요. 구체적으로 생각해 둔 방법이 있는지요?
<질문 6> 기본소득에 이어 "1년에 30만원씩 토지배당금도 주겠다"고 했는데요. 재원은 국토보유세를 신설해 조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어떤 개념인가요?
<질문 7> 현 정부에서 결정한 사드배치ㆍ일본군 위안부 협상에 대해 "모두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본질을 떠나 일단 국가간 협상을 뒤집을 경우에 감당해야 할 후폭풍도 고려해야 할텐데요.
<질문 8> 안보와 관련 질문인데요.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방위비 부담 요구를 해올 가능성이 있는데요. 이에 대해 "미군 철수도 각오하고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던데요. 주한미군이 그동안 해온 역할도 있거든요? 대책은 있나요?
<질문 9> 군복무 기간을 10개월로 단축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스마트 강군'으로 만들면 된다고 강조했는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비용이 과제입니다. 지금보다 훨씬 국방비가 늘어날텐데요?
<질문 10> 이재명 시장을 두고 여러면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과 비교하기도 합니다. 이 시장 스스로는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이 다르다고 생각하세요?
<질문 11> 촛불정국 초반 '사이다 발언' 등으로 이목을 끌긴 했지만, 급등했던 지지율이 주춤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전 대표와 지지율도 점점 벌어지고 있는데요. 극복할 수 있는 복안이 있나요?
<질문 12> 어떤 정치평론가는 "이 시장은 민주당 밖에서 독자적 지지도를 높였다면 가장 유력한 대권주자로 봤을 것"이란 평가도 했던데요. 요즘 경선룰 때문에도 시끄러운데 당 밖으로 나갈 생각은 없는거죠?
<질문 13> 문재인 전 대표를 향해 '높지만 성장이 멈춘 나무'라고 평가했습니다. 어떤 점 때문에 그렇게 평가하시는지요?
<질문 14> 지금 구도라면 당내 경선을 통과하고 나면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과도 상대할 텐데요. 반 전 총장에 대한 평가를 한다면요?
<질문 15> 이재명 시장 스스로는 보수적 가치를 갖고 있다고 했지만 공약들을 가장 진보적이고 '좌클릭'했다는 평가들을 합니다. 이런 평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질문 16> 어제 박원순 서울시장 김부겸 의원과 공동정부 추진이 필요하다는 뜻에 합의했습니다. 문재인 전 대표나 지도부는 아직 이르다는 입장이잖아요?
<질문 17> 경선룰과 관련해서는 시장님께서는 지도부 의견을 존중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어제 공동정부 등에 함께 뜻을 모은 박원순 시장과 김부겸의원은 범야권공동경선을 계속 주장하고 있는데요. 어떤 의견 갖고 계세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