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진드기 바이러스 가족감염 국내 첫 확인
[뉴스리뷰]
[앵커]
야생진드기 바이러스의 '가족 간 감염'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2차 감염에 대비해 환자와의 접촉을 조심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장보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야생진드기가 옮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바이러스의 가족 간 감염 사례가 국내 최초로 확인됐습니다.
2015년 6월 제주도에서 야생진드기에 물린 뒤 바이러스 감염으로 사망한 74세 남성 아내의 혈청에서 SFTS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검출된 것입니다.
남편으로부터 2차 감염된 뒤 자연스럽게 면역력이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아내의 유전자 검사에서는 실제 바이러스도 찾았습니다.
결국 진드기에 직접 물리지 않고도 분비물 등을 통해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가족에게 바이러스가 옮을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야생진드기의 일종인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질환으로, 치사율이 30%를 넘습니다.
잠복기에 별다른 증상 없이 지나가는 사람도 있지만 일부는 열이 나고 설사를 하며, 심할 경우 출혈이 생기고 의식이 흐려지다가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가족 간 감염은 2012년에서 2013년 사이 중국에서 3건의 사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2015년 2월, 감염 환자를 치료하던 한 대학병원의 의사와 간호사들이 무더기로 2차 감염됐습니다.
<이근화 / 제주대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 "가장 좋은 예방법은 환자가 발생했을 때 반드시 의료기관에 신고를 하고 환자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열대의학 위생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최근호에 실렸습니다.
연합뉴스TV 장보경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제보) 4409(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야생진드기 바이러스의 '가족 간 감염'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2차 감염에 대비해 환자와의 접촉을 조심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장보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야생진드기가 옮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바이러스의 가족 간 감염 사례가 국내 최초로 확인됐습니다.
2015년 6월 제주도에서 야생진드기에 물린 뒤 바이러스 감염으로 사망한 74세 남성 아내의 혈청에서 SFTS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검출된 것입니다.
남편으로부터 2차 감염된 뒤 자연스럽게 면역력이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아내의 유전자 검사에서는 실제 바이러스도 찾았습니다.
결국 진드기에 직접 물리지 않고도 분비물 등을 통해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가족에게 바이러스가 옮을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야생진드기의 일종인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질환으로, 치사율이 30%를 넘습니다.
잠복기에 별다른 증상 없이 지나가는 사람도 있지만 일부는 열이 나고 설사를 하며, 심할 경우 출혈이 생기고 의식이 흐려지다가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가족 간 감염은 2012년에서 2013년 사이 중국에서 3건의 사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2015년 2월, 감염 환자를 치료하던 한 대학병원의 의사와 간호사들이 무더기로 2차 감염됐습니다.
<이근화 / 제주대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 "가장 좋은 예방법은 환자가 발생했을 때 반드시 의료기관에 신고를 하고 환자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열대의학 위생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최근호에 실렸습니다.
연합뉴스TV 장보경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제보) 4409(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