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영수회담 철회했지만…상처 난 야권공조
<출연 : 고려대 박태우 연구교수ㆍ부산 가톨릭대 차재원 초빙교수>
여당 지도부는 두 집 살림을 차리며 분열만 키우고 있고 제1야당은 오락가락 행보로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정치권이 분노한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셉니다.
검찰 수사를 앞두고 있는 박 대통령이 국정 수습을 위해 어떤 선택을 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 차재원 부산 가톨릭대 초빙교수와 정국 진단해봅니다.
<질문 1> 추미애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과 단독 영수회담을 제안 했다가 당내 반발에 전격 취소했습니다. 꼬인 정국을 더 꼬이게 했다는 비판인데요?
<질문 2> 박근혜 대통령은 추 대표의 영수회담 제의를 왜 받아들였을까요? 영수회담이 예정대로 진행됐다면 정국수습에 도움이 됐을까요?
<질문 3> 추미애 대표가 정국 주도권을 노렸지만 당내 의견을 조율하지도 않은 채 영수회담을 제안했다가 철회한 것을 두고 추 대표의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취임 초 전두환 전 대통령 예방하려다 철회한 적도 있어 추 대표의 리더십에 타격이 크겠는데요?
<질문 4> 이번 논란을 두고 야당도 컨트롤 타워가 없기는 마찬가지라는 비판이 거셉니다. 영수회담은 철회됐지만 야권 공조를 약화시켰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질문 5> 더불어민주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2선 후퇴에서 퇴진으로 공식 당론을 변경했습니다. '질서 있는 퇴진론'이 힘을 얻고 있는데 어떤 방안인가요?
<질문 6> 야 3당 의원들이 오늘 오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절차에 대한 헌법적 고찰' 간담회에 참석했는데요. 박 대통령이 질서 있는 퇴진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야당이 주도하는 탄핵 절차가 시작될까요?
<질문 7> 현재 박근혜 대통령이 자진 사퇴를 선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 중론인데요. 국정 정상화를 위해 박 대통령은 어떤 카드를 꺼내들까요?
<질문 8>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검찰 조사가 초읽기에 들어갔는데요. 검찰은 내일까지는 조사가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인데 마쳐야는데 청와대는 당장 내일은 어렵다는 분위기인데요?
<질문 9> 정호성 전 비서관의 휴대전화에서 '비선 실세 대응 방안'이 담긴 문건이 발견돼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해당문서는 '최순실 태블릿 PC' 보도가 나오기 전의 작성된 것으로 청와대에서 조직적으로 수사에 대비하려 한 거 아니냐…조직적 증거 은폐를 시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질문 10> 여야가 역대 최대 규모의 '최순실 특검법'에 합의하고 국정조사도 하기로 했습니다. 야당의 목소리가 대폭 반영됐는데 숱한 의혹만 제기된 '최순실 게이트'의 진실이 제대로 규명 될 수 있을까요?
<질문 11> 최근 야당들이 우병우 전 민정수석과 가까운 이른바 '우병우 사단' 검사들을 가려내기 위해 살생부를 만들고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검찰 내부가 술렁이고 있는데요. 최순실 게이트 수사에 우병우 사단 걷어낼 수 있을까요?
<질문 12> 여당은 여전히 집안 싸움중입니다. 비주류가 별도 지도부를 만드는 등 새누리당의 '두 집 살림'이 가시화 됐는데요. 김무성 전 대표 연일 이정현 지도부 사퇴 압박하고 있는데 이정현 대표 버티기 언제까지 할까요?
<질문 13> 친박과 비박이 이번에야 말로 갈라서는 것이 아니냐…분당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는데요. 하지만 비박계의 탈당 의지가 없어 보이는데 분당 성공 사례가 없는 새누리인데 과연 분당이나 해체까지 갈까요?
<질문 14> 정부가 어제 한일 양국이 군사정보 보호 협정에 가서명을 했습니다. 야권은 밀실 협상이라며 오늘 한민구 국방장관 해임건의안 등을 논의하기로 했는데요. 장관 탄핵 경고에도 군사정보협정 밀어붙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15> 박근혜 대통령은 하야는 죽어도 하지 않을 것, 부모의 나쁜 점만 닮았다 등의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발언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김 전 총리는 왜곡됐다고 해당언론사에 법적 대응을 밝혔는데 시사저널은 왜곡, 과장 없다고 반박하고 있는데요?
<질문 16> 최순실 씨가 수차례 굿을 했다는 증언에, 귀국 전 허위로 공황장애 진단서를 요청했다는 의혹까지…최 씨에 대한 의혹은 끊임없이 나오는데요?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 차재원 부산 가톨릭대 초빙교수와 함께 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고려대 박태우 연구교수ㆍ부산 가톨릭대 차재원 초빙교수>
여당 지도부는 두 집 살림을 차리며 분열만 키우고 있고 제1야당은 오락가락 행보로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정치권이 분노한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셉니다.
검찰 수사를 앞두고 있는 박 대통령이 국정 수습을 위해 어떤 선택을 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 차재원 부산 가톨릭대 초빙교수와 정국 진단해봅니다.
<질문 1> 추미애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과 단독 영수회담을 제안 했다가 당내 반발에 전격 취소했습니다. 꼬인 정국을 더 꼬이게 했다는 비판인데요?
<질문 2> 박근혜 대통령은 추 대표의 영수회담 제의를 왜 받아들였을까요? 영수회담이 예정대로 진행됐다면 정국수습에 도움이 됐을까요?
<질문 3> 추미애 대표가 정국 주도권을 노렸지만 당내 의견을 조율하지도 않은 채 영수회담을 제안했다가 철회한 것을 두고 추 대표의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취임 초 전두환 전 대통령 예방하려다 철회한 적도 있어 추 대표의 리더십에 타격이 크겠는데요?
<질문 4> 이번 논란을 두고 야당도 컨트롤 타워가 없기는 마찬가지라는 비판이 거셉니다. 영수회담은 철회됐지만 야권 공조를 약화시켰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질문 5> 더불어민주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2선 후퇴에서 퇴진으로 공식 당론을 변경했습니다. '질서 있는 퇴진론'이 힘을 얻고 있는데 어떤 방안인가요?
<질문 6> 야 3당 의원들이 오늘 오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절차에 대한 헌법적 고찰' 간담회에 참석했는데요. 박 대통령이 질서 있는 퇴진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야당이 주도하는 탄핵 절차가 시작될까요?
<질문 7> 현재 박근혜 대통령이 자진 사퇴를 선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 중론인데요. 국정 정상화를 위해 박 대통령은 어떤 카드를 꺼내들까요?
<질문 8>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검찰 조사가 초읽기에 들어갔는데요. 검찰은 내일까지는 조사가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인데 마쳐야는데 청와대는 당장 내일은 어렵다는 분위기인데요?
<질문 9> 정호성 전 비서관의 휴대전화에서 '비선 실세 대응 방안'이 담긴 문건이 발견돼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해당문서는 '최순실 태블릿 PC' 보도가 나오기 전의 작성된 것으로 청와대에서 조직적으로 수사에 대비하려 한 거 아니냐…조직적 증거 은폐를 시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질문 10> 여야가 역대 최대 규모의 '최순실 특검법'에 합의하고 국정조사도 하기로 했습니다. 야당의 목소리가 대폭 반영됐는데 숱한 의혹만 제기된 '최순실 게이트'의 진실이 제대로 규명 될 수 있을까요?
<질문 11> 최근 야당들이 우병우 전 민정수석과 가까운 이른바 '우병우 사단' 검사들을 가려내기 위해 살생부를 만들고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검찰 내부가 술렁이고 있는데요. 최순실 게이트 수사에 우병우 사단 걷어낼 수 있을까요?
<질문 12> 여당은 여전히 집안 싸움중입니다. 비주류가 별도 지도부를 만드는 등 새누리당의 '두 집 살림'이 가시화 됐는데요. 김무성 전 대표 연일 이정현 지도부 사퇴 압박하고 있는데 이정현 대표 버티기 언제까지 할까요?
<질문 13> 친박과 비박이 이번에야 말로 갈라서는 것이 아니냐…분당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는데요. 하지만 비박계의 탈당 의지가 없어 보이는데 분당 성공 사례가 없는 새누리인데 과연 분당이나 해체까지 갈까요?
<질문 14> 정부가 어제 한일 양국이 군사정보 보호 협정에 가서명을 했습니다. 야권은 밀실 협상이라며 오늘 한민구 국방장관 해임건의안 등을 논의하기로 했는데요. 장관 탄핵 경고에도 군사정보협정 밀어붙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15> 박근혜 대통령은 하야는 죽어도 하지 않을 것, 부모의 나쁜 점만 닮았다 등의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발언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김 전 총리는 왜곡됐다고 해당언론사에 법적 대응을 밝혔는데 시사저널은 왜곡, 과장 없다고 반박하고 있는데요?
<질문 16> 최순실 씨가 수차례 굿을 했다는 증언에, 귀국 전 허위로 공황장애 진단서를 요청했다는 의혹까지…최 씨에 대한 의혹은 끊임없이 나오는데요?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 차재원 부산 가톨릭대 초빙교수와 함께 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