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2016년 미국의 선택은 누구?

<출연 : 남궁영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교수ㆍ김태현 중앙대 국제대학원 교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뒤를 이어 미국을 이끌어갈 제45대 대통령은 누가 될 것인가, 전 세계 시선이 미국을 향하고 있습니다.

미국 대선이 동북아 정세와 한반도에 미칠 영향도 전망해봅니다.

남궁영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교수, 김태현 중앙대 국제대학원 교수 나오셨습니다.

<질문 1> 지금 이시각 기준으로 어떤 흐름으로 가고 있는지 짚어주시겠어요?

<질문 2> 미국인의 선택은 트럼프였습니다. 표심에 담긴 의미는 뭔가요?

<질문 3> 미 연방수사국의 판 흔들기는 결국 트럼프에게 호재로 돌아갔네요? 하지만 FBI가 힐러리의 '이메일 스캔들' 재수사를 했다가 무혐의 종결을 내린 것을 두고서 선거개입 논란이 계속될 것 같은데요?

<질문 4> 트럼프가 패배하면 과연 개표결과를 수용할까요? 유세 과정에서 선거조작 가능성을 주장하면서 대선 패배 불복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는데요?

<질문 4-1> 대선 결과에 불복하면 그다음은 어떻게 되나요?

<질문 5> 이번 대선에서 누가 이기든 후유증이 클 것 같습니다. 미 유권자 64%가 "차기 대통령이 미국을 더욱 분열시킬 것"이라고 부정적으로 내다봤는데요. 둘로 쪼개진 미국, 봉합 가능할까요?

<질문 6> 백악관의 주인이 누가 되는지에 따라 국제정세도 요동칩니다. 대선 결과에 따라 중국, 러시아, 일본 등 한반도 주변국의 희비는 어떻게 갈리나요?

<질문 7> 이번 선거일에는 대선과 함께 상·하원의원 선거도 함께 치러졌습니다. 현재는 공화당이 상·하원의원을 모두 장악하고 있는데요. 최대 관심사는 민주당의 상원 다수당 탈환 여부인데요.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8> 클린턴, 트럼프 누가 대통령이 되든지 한반도 안보 지형에 변화가 불가피해보입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트럼프 정부의 한반도 정책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 9> 미국 워싱턴포스트지가 '최순실 국정농단'은 미국에 손해가 될 것이며 웃는 쪽은 북한과 중국이라고 보도했는데요. 최순실 게이트가 차기 미국 대통령에게도 골치 아픈 문제가 될까요?

<질문 10> 역대 최악의 비호감 후보들의 경쟁, 전례 없는 네거티브 선거전으로 이번 대선 과정을 통해 미국 정치, 사회의 추악한 이면 낱낱이 폭로돼 미 대선 597일간의 여정 동안 무엇을 남겼나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