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최순실 "용서해 주십시오. 죽을 죄 지었습니다"
<출연 : 부산가톨릭대 차재원 초빙교수ㆍ이상일 전 새누리당의원ㆍ연합뉴스TV 사회부 김민혜 기자>
이른바 비선실세 국정농단 의혹의 몸통으로 지목돼온 최순실 씨에 대한 검찰 수사와 향후 정국 전망에 대해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초빙교수, 이상일 전 새누리당의원, 김민혜 사회부 기자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이른바 비선실세를 지목받아온 최순실 씨가 마침내 검찰 포토라인 앞에 섰습니다. 그간 건강 때문에 당장 귀국하기 어렵다고 했던 최 씨가 마음을 바꿔 자진 귀국한 배경이 무엇일까요?
<질문 2> 핵심인물들이 줄줄이 소환된 것과 때맞춰 최 씨가 입국한 것을 두고 야권에서는 짜맞추기 각본이니 기획입국이니 꼬리자르기 아니냐는 등의 의혹들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질문 3> 이 같은 논란에 대한 검찰 측 입장은 무엇인가요?
<질문 4> 최 씨가 어제 입국한 지 하루가 지나서야 검찰에 출석한 것 등을 놓고도 논란이 있습니다. 어떤 사정이 있었는지, 최 씨는 그동안 어디에서 뭘 했는지도 궁금합니다.
<질문 5> 현재 검찰 수사에 임하는 최순실 씨의 입장이나 의중이 궁금한데요. 일단 앞서 변호인이 언급한 내용부터 설명해 주시죠.
<질문 6> 검찰 안팎에서는 의혹들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최순실 씨에게 적용될 수 있는 혐의 만도 10여개에 이른다는 이야기가 나올 만큼 산더미처럼 의혹들이 쌓여있습니다. 적용 가능한 혐의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질문 7> 검찰 수사팀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는데 사실입니까?
<질문 8> 큰 줄기로 봐도 국정개입, 인사개입, 횡령·배임, 딸 특혜입학 의혹 등등인데 일반 국민 입장에서는 어떤 혐의들이 가장 엄중하게 느껴질까요?
<질문 9> 안종범 전 수석과 정호성 전 비서관 등 대통령 측근들에 대한 소환도 곧 이뤄질까요?
<질문 10> 또다른 비선 핵심실세인 차은택 씨는 귀국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지금 행적이 묘연한데 어디서 뭘하고 있을까요?
<질문 11> 최순실 씨의 딸 정유라 씨는 귀국하지 않고 있는데요. 이화여대 특별감사 결과가 태풍의 눈입니다. 감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질문 12> 이와 별개로 우병우 전 민정수석 의혹에 대한 조사도 본격화할까요? 앞서 검찰이 우병우 전 민정수석 부인을 전격 소환해 14시간에 걸쳐 조사한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가요?
<질문 13> 후임 민정수석을 맡은 최재경 변호사의 기용을 놓고 적절한 인사다, 또 검찰 출신이냐는 등 논란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4> 비박계를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 의원 50여명이 긴급회동을 갖고 당 지도부의 총사퇴를 요구하고 연파장 서명에 착수했습니다. 또 박 대통령의 적극적 수사 협조와 거국내각 구성도 요구했는데요. 어떤 의미로 보십니까?
<질문 15> 이들의 주장에 새누리 지도부는 일단 "사태수습이 먼저"라며 당장 수용은 어렵다는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렸는데요, 앞으로 집권여당의 진로를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6> 최순실 파문으로 '반기문 대망론'을 비롯한 여권의 대선판도에 지각변동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많습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7> 정국수습책을 논의하기 위한 정세균 의장과 여야 3당 원내대표 회동이 거국내각과 특검 등에 대한 야당측 태도를 비판한 정진석 원내대표가 퇴장하는 바람에 논의도 해보지 못하고 10분 만에 끝났습니다. 지금 정치권의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 같아 씁쓸한데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8> 새누리당이 그동안 난색을 표시해 온 거국중립내각을 전격 수용하자 당초 거국내각을 주장해온 야당들은 "진상규명이 먼저" "국면전환용"이라며 입장을 바꿨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질문 19> 그럼에도 김부겸 의원 등 야권 일부에서는 거국중립내각을 무조건 거부할 일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질문 20> 국민의당이 난국수습책으로 박 대통령의 탈당과 함께 거국내각 등 정치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대통령과 여야 3당 대표 간 회담을 제안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시쿤둥한 반응을 보였는데요. 두 야당이 약간의 온도차 있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21> 새누리당이 거국중립내각의 총리후보로 참여정부 출신의 김병준 교수를 1순위로 거론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습니다. 김 교수 본인도 현재의 난국을 풀기 위해 '협치총리' '책임총리'를 강하게 주장해온 당사자인데요. 적임자라고 보십니까? 만약 새누리가 제안해올 경우 수용할까요?
<질문 22> 또다른 거국내각 총리 후보로 거론되는 김종인 전대표와 손학규 고문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3> 민주당은 현상황을 국가비상시국으로 규정하면서 총공세를 펴면서도 정국대응방향을 '거국내각' '특검'에서 '하야ㆍ탄핵' 주장까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당분간 당론 정하지 않고 매일 아침 의원총회를 열기로 했다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24> 정국수습의 열쇠는 역시 박 대통령의 쥐고 있는데요. 박 대통령이 앞으로 어떤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질문 25> 야권에서는 박 대통령이 다시한번 대국민사과를 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검찰 수사가 이제 본격화하는 시점인데 만약 사과를 한다면 언제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부산가톨릭대 차재원 초빙교수ㆍ이상일 전 새누리당의원ㆍ연합뉴스TV 사회부 김민혜 기자>
이른바 비선실세 국정농단 의혹의 몸통으로 지목돼온 최순실 씨에 대한 검찰 수사와 향후 정국 전망에 대해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초빙교수, 이상일 전 새누리당의원, 김민혜 사회부 기자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이른바 비선실세를 지목받아온 최순실 씨가 마침내 검찰 포토라인 앞에 섰습니다. 그간 건강 때문에 당장 귀국하기 어렵다고 했던 최 씨가 마음을 바꿔 자진 귀국한 배경이 무엇일까요?
<질문 2> 핵심인물들이 줄줄이 소환된 것과 때맞춰 최 씨가 입국한 것을 두고 야권에서는 짜맞추기 각본이니 기획입국이니 꼬리자르기 아니냐는 등의 의혹들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질문 3> 이 같은 논란에 대한 검찰 측 입장은 무엇인가요?
<질문 4> 최 씨가 어제 입국한 지 하루가 지나서야 검찰에 출석한 것 등을 놓고도 논란이 있습니다. 어떤 사정이 있었는지, 최 씨는 그동안 어디에서 뭘 했는지도 궁금합니다.
<질문 5> 현재 검찰 수사에 임하는 최순실 씨의 입장이나 의중이 궁금한데요. 일단 앞서 변호인이 언급한 내용부터 설명해 주시죠.
<질문 6> 검찰 안팎에서는 의혹들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최순실 씨에게 적용될 수 있는 혐의 만도 10여개에 이른다는 이야기가 나올 만큼 산더미처럼 의혹들이 쌓여있습니다. 적용 가능한 혐의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질문 7> 검찰 수사팀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는데 사실입니까?
<질문 8> 큰 줄기로 봐도 국정개입, 인사개입, 횡령·배임, 딸 특혜입학 의혹 등등인데 일반 국민 입장에서는 어떤 혐의들이 가장 엄중하게 느껴질까요?
<질문 9> 안종범 전 수석과 정호성 전 비서관 등 대통령 측근들에 대한 소환도 곧 이뤄질까요?
<질문 10> 또다른 비선 핵심실세인 차은택 씨는 귀국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지금 행적이 묘연한데 어디서 뭘하고 있을까요?
<질문 11> 최순실 씨의 딸 정유라 씨는 귀국하지 않고 있는데요. 이화여대 특별감사 결과가 태풍의 눈입니다. 감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질문 12> 이와 별개로 우병우 전 민정수석 의혹에 대한 조사도 본격화할까요? 앞서 검찰이 우병우 전 민정수석 부인을 전격 소환해 14시간에 걸쳐 조사한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가요?
<질문 13> 후임 민정수석을 맡은 최재경 변호사의 기용을 놓고 적절한 인사다, 또 검찰 출신이냐는 등 논란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4> 비박계를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 의원 50여명이 긴급회동을 갖고 당 지도부의 총사퇴를 요구하고 연파장 서명에 착수했습니다. 또 박 대통령의 적극적 수사 협조와 거국내각 구성도 요구했는데요. 어떤 의미로 보십니까?
<질문 15> 이들의 주장에 새누리 지도부는 일단 "사태수습이 먼저"라며 당장 수용은 어렵다는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렸는데요, 앞으로 집권여당의 진로를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6> 최순실 파문으로 '반기문 대망론'을 비롯한 여권의 대선판도에 지각변동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많습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7> 정국수습책을 논의하기 위한 정세균 의장과 여야 3당 원내대표 회동이 거국내각과 특검 등에 대한 야당측 태도를 비판한 정진석 원내대표가 퇴장하는 바람에 논의도 해보지 못하고 10분 만에 끝났습니다. 지금 정치권의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 같아 씁쓸한데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8> 새누리당이 그동안 난색을 표시해 온 거국중립내각을 전격 수용하자 당초 거국내각을 주장해온 야당들은 "진상규명이 먼저" "국면전환용"이라며 입장을 바꿨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질문 19> 그럼에도 김부겸 의원 등 야권 일부에서는 거국중립내각을 무조건 거부할 일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질문 20> 국민의당이 난국수습책으로 박 대통령의 탈당과 함께 거국내각 등 정치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대통령과 여야 3당 대표 간 회담을 제안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시쿤둥한 반응을 보였는데요. 두 야당이 약간의 온도차 있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21> 새누리당이 거국중립내각의 총리후보로 참여정부 출신의 김병준 교수를 1순위로 거론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습니다. 김 교수 본인도 현재의 난국을 풀기 위해 '협치총리' '책임총리'를 강하게 주장해온 당사자인데요. 적임자라고 보십니까? 만약 새누리가 제안해올 경우 수용할까요?
<질문 22> 또다른 거국내각 총리 후보로 거론되는 김종인 전대표와 손학규 고문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3> 민주당은 현상황을 국가비상시국으로 규정하면서 총공세를 펴면서도 정국대응방향을 '거국내각' '특검'에서 '하야ㆍ탄핵' 주장까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당분간 당론 정하지 않고 매일 아침 의원총회를 열기로 했다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24> 정국수습의 열쇠는 역시 박 대통령의 쥐고 있는데요. 박 대통령이 앞으로 어떤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질문 25> 야권에서는 박 대통령이 다시한번 대국민사과를 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검찰 수사가 이제 본격화하는 시점인데 만약 사과를 한다면 언제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