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김재수 해임안' 후폭풍…국감 파행 예고
<출연 :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ㆍ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 처리 후폭풍으로 국정감사 파행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청와대가 '김재수 해임건의안'에 수용 불가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는데요.
당분간 대치 정국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 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 모시고 자세한 소식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김재수 해임건의안 후폭풍이 거셉니다. 새누리당은 "정 의장은 직권남용 혐의로 형사고발하겠다"고 했고 정 의장은 "국회법 절차를 따랐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되고 있는 겁니까?
<질문 2> 청와대가 김재수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이 국회를 통화한 것과 관련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이 수용 거부했던 전례는 이제까지 없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야당의 퇴진 공세가 거셉니다. 이는 박 대통령에게 정치적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을 것 같은데요. 김 장관이 자진 사퇴할 가능성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4> 당장 내일부터 시작하는 국정감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야당은 단독국감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인데요. 새누리당 어떻게 대응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5> 이번 해임건의안이 통과될 수 있었던 데에는 국민의당의 힘이 컸습니다. 당론은 아니었지만 내부 표 단속에 나서기도 했는데요. 찬성 선회 배경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박지원 위원장은 SNS에 "국민의당은 이런 당이다. 원칙을 지키며 소통하고 설득하고 반대도 인정하는 민주정당"이라고 자화자찬했던데요. 국민의당 이번 행보로 볼 때 득실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정치권에서 대표적 책사로 꼽히는 김종인-정의화-윤여준 세 사람이 만났습니다. 정계개편과 개헌을 중점적으로 얘기한 것으로 전해지는데요. 개헌을 고리로 한 제3지대론 탄력 받을 수 있을까요?
<질문 8> 김종인 전 대표는 제3지대론을 안철수 전 대표 때문에 쓰지 않는다며 비패권지대로, 정의화 전 의장은 정상지대로 표현했습니다. 사실상 다 같은 뜻 아닙니까, 차별화 나선 이유가 뭘까요?
<질문 9> 비슷한 시각 국회에서도 185명의 의원이 참여한 '매머드급' 개헌 모임이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개헌 필요성을 제기하는 정치권 세규합이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는데요. 각 의견이 한 곳으로 모일지는 미지수죠?
<질문 10> 잠룡들의 발걸음이 이른바 반풍으로 인해 점차 빨라지고 있습니다. 각종 싱크탱크 출범 소식이 잇따르고 있고 어젠다 선점 경쟁에도 시동이 걸면서 존재감 부각에 주력하는 모습이죠?
<질문 11> 이 가운데 반기문-안철수 연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안 전 대표 야권 단일화에는 딱 선 긋고 있고 있는 만큼 문재인 전 대표보단 반기문사무총장과 손잡는 시나리오가 더 가능성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12> 반기문 사무총장과 문재인 전 대표 팬클럽이 최근 인터넷 '악플'을 두고 신경전을 벌였습니다. 대리 대선전이라는 분석도 나오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일각에선 선거 운동이 본격화하면 팬클럽 가치가 싱크탱크나 공식 캠프 못지않다는 평가가 나오던데 실제로 얼마나 가치가 있는 겁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ㆍ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 처리 후폭풍으로 국정감사 파행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청와대가 '김재수 해임건의안'에 수용 불가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는데요.
당분간 대치 정국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 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 모시고 자세한 소식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김재수 해임건의안 후폭풍이 거셉니다. 새누리당은 "정 의장은 직권남용 혐의로 형사고발하겠다"고 했고 정 의장은 "국회법 절차를 따랐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되고 있는 겁니까?
<질문 2> 청와대가 김재수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이 국회를 통화한 것과 관련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이 수용 거부했던 전례는 이제까지 없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야당의 퇴진 공세가 거셉니다. 이는 박 대통령에게 정치적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을 것 같은데요. 김 장관이 자진 사퇴할 가능성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4> 당장 내일부터 시작하는 국정감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야당은 단독국감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인데요. 새누리당 어떻게 대응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5> 이번 해임건의안이 통과될 수 있었던 데에는 국민의당의 힘이 컸습니다. 당론은 아니었지만 내부 표 단속에 나서기도 했는데요. 찬성 선회 배경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박지원 위원장은 SNS에 "국민의당은 이런 당이다. 원칙을 지키며 소통하고 설득하고 반대도 인정하는 민주정당"이라고 자화자찬했던데요. 국민의당 이번 행보로 볼 때 득실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정치권에서 대표적 책사로 꼽히는 김종인-정의화-윤여준 세 사람이 만났습니다. 정계개편과 개헌을 중점적으로 얘기한 것으로 전해지는데요. 개헌을 고리로 한 제3지대론 탄력 받을 수 있을까요?
<질문 8> 김종인 전 대표는 제3지대론을 안철수 전 대표 때문에 쓰지 않는다며 비패권지대로, 정의화 전 의장은 정상지대로 표현했습니다. 사실상 다 같은 뜻 아닙니까, 차별화 나선 이유가 뭘까요?
<질문 9> 비슷한 시각 국회에서도 185명의 의원이 참여한 '매머드급' 개헌 모임이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개헌 필요성을 제기하는 정치권 세규합이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는데요. 각 의견이 한 곳으로 모일지는 미지수죠?
<질문 10> 잠룡들의 발걸음이 이른바 반풍으로 인해 점차 빨라지고 있습니다. 각종 싱크탱크 출범 소식이 잇따르고 있고 어젠다 선점 경쟁에도 시동이 걸면서 존재감 부각에 주력하는 모습이죠?
<질문 11> 이 가운데 반기문-안철수 연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안 전 대표 야권 단일화에는 딱 선 긋고 있고 있는 만큼 문재인 전 대표보단 반기문사무총장과 손잡는 시나리오가 더 가능성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12> 반기문 사무총장과 문재인 전 대표 팬클럽이 최근 인터넷 '악플'을 두고 신경전을 벌였습니다. 대리 대선전이라는 분석도 나오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일각에선 선거 운동이 본격화하면 팬클럽 가치가 싱크탱크나 공식 캠프 못지않다는 평가가 나오던데 실제로 얼마나 가치가 있는 겁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