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내일 20대 첫 정기국회 개막…추경안 처리놓고 여야 충돌
<출연 : 이영작 서경대 석좌교수·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20대 첫 정기국회가 내일부터 100일간의 대장정에 들어갑니다.
하지만 의석수를 내세워 정치적 주도권을 행사하려는 야당, 이에 밀리지 않겠다는 여당의 기싸움으로 협치보다는 강대강의 대치가 주조를 이룰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이영작 서경대 석좌교수·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대표 모셨습니다.
<질문 1> 어제 추경안 처리가 무산됨에 따라 여야가 막판까지 재협상 중인데요. 결과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앞서 추경안을 놓고 여야가 격렬한 책임공방을 벌였는데 어느 쪽 책임이 더 크다고 보십니까?
<질문 2> '날치기','폭거','의회 유린' 등 과거 야당이 즐겨쓰던 용어들이 이젠 여당의 전유물처럼 돼버린 느낌입니다. 뒤바뀐 여야의 풍속도, 어떻게 봐야 합니까?
<질문 3> 여야가 대치중인 와중에 조윤선 문체부 장관후보자에 대한 국회 교문위의 인사 청문회도 파행을 겪었습니다. 야당은 박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조 후보자의 재산과 회전문인사, 배우자의 공정위 사건 수임 등을 문제 삼고 있는데 조 후보자 청문회의 관전 포인트는 무엇일까요?
<질문 4> '민생과 통합'을 화두로 내건 추미애 대표체제의 더민주당이 출범했지만, 여야간에 상견례를 마치자마자 '허니문' 기간도 없이 '강대강' 대결로 급속히 전환하고 있습니다. 배경이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5> 추 대표 "국정기조를 '민생'으로 전환하면 초당적 협력을 하겠다"고 했는데 더민주가 주장하는 '민생'과 새누리가 주장하는 '민생'의 의미가 좀 다른 것 같습니다?
<질문 6> 더민주당이 '사드 당론' 결정을 연기한 것을 놓고 엇갈린 해석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략적 모호성 입장으로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자 지도부는 "신중하게 결정하겠다는 것이지 전략적 모호성 수용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는데요. 더민주의 '사드 속도조절'을 어떻게 해석해야 합니까?
<질문 7> 더민주당은 결국 내년 대선에서 사드 찬·반이 어떤 득실을 가져다주느냐를 놓고 고민하는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반면 새누리당은 사드 찬성 당론을 공식 채택하고 핵잠수함 도입도 본격 거론하고 나섰습니다. 건국절도 공론화할 태세입니다. 보수층을 결집하는 효과가 있을까요?
<질문 9> 임성남 외교차관이 전격 방중해 G20을 계기로 한중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사드문제에 대한 해법이 나올까요?
<질문 10> 문재인 안철수 전대표가 어제 나란히 부산으로 내려가 PK 민심잡기에 나섰습니다. 그런데 두사람이 스타일이 좀 다른 것 같습니다. 안 전대표는 '양극단 대 합리적 개혁 세력' 대결을 대선 화두로 내걸고 공세적 자세를 취한 반면 문 전대표는 정치현안 언급보다 민생현장 방문에 치중했습니다. 두 사람의 대선 행보,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1> 김부겸 의원이 "대세론은 무난한 패배의 다른 이름"이라며 직격탄을 날리면서 대선 경선 출마를 사실상 선언했습니다. 그러나 추미애 대표, "환영한다, 꽃가마 없다고 하지 않았느냐"고 서둘러 진화에 나섰는데요. '문재인 대세론' 논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2> 그럼에도 더민주당은 대의원과 당원 모두 친문계가 절대적 우위를 보이고 특히 온라인 당원 대부분이 문 전대표에 대한 충성심으로 무장해 있어 경선룰을 바꾸지 않는 한 대세론을 깨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3> 새누리와 더민주 지도부가 친박·친문 일색으로 구성되면서 제3지대론이나 정계개편론이 정치권 관심사로 대두되지만 막상 실현가능성에 대해선 아직 회의적 반응들이 많습니다. 여야 비주류 주자들도 시쿤둥한 반응들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4> 국민의당이 제3지대는 국민의당 중심이 돼야 한다면서 기존정당 밖의 제3지대론은 '총선민의에 반한다'는 입장인데요. 이런 국민의당 중심의 제3지대론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5> 국회의장 직속 자문기구인 특권 내려놓기 추진위가 의원 체포동의안이 72시간내에 표결처리 안되면 본회의에 자동 상정해 표결하는 내용의 개선안을 확정했다고 합니다. 방탄국회가 사라질까요?
연합뉴스TV: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출연 : 이영작 서경대 석좌교수·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20대 첫 정기국회가 내일부터 100일간의 대장정에 들어갑니다.
하지만 의석수를 내세워 정치적 주도권을 행사하려는 야당, 이에 밀리지 않겠다는 여당의 기싸움으로 협치보다는 강대강의 대치가 주조를 이룰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이영작 서경대 석좌교수·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대표 모셨습니다.
<질문 1> 어제 추경안 처리가 무산됨에 따라 여야가 막판까지 재협상 중인데요. 결과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앞서 추경안을 놓고 여야가 격렬한 책임공방을 벌였는데 어느 쪽 책임이 더 크다고 보십니까?
<질문 2> '날치기','폭거','의회 유린' 등 과거 야당이 즐겨쓰던 용어들이 이젠 여당의 전유물처럼 돼버린 느낌입니다. 뒤바뀐 여야의 풍속도, 어떻게 봐야 합니까?
<질문 3> 여야가 대치중인 와중에 조윤선 문체부 장관후보자에 대한 국회 교문위의 인사 청문회도 파행을 겪었습니다. 야당은 박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조 후보자의 재산과 회전문인사, 배우자의 공정위 사건 수임 등을 문제 삼고 있는데 조 후보자 청문회의 관전 포인트는 무엇일까요?
<질문 4> '민생과 통합'을 화두로 내건 추미애 대표체제의 더민주당이 출범했지만, 여야간에 상견례를 마치자마자 '허니문' 기간도 없이 '강대강' 대결로 급속히 전환하고 있습니다. 배경이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5> 추 대표 "국정기조를 '민생'으로 전환하면 초당적 협력을 하겠다"고 했는데 더민주가 주장하는 '민생'과 새누리가 주장하는 '민생'의 의미가 좀 다른 것 같습니다?
<질문 6> 더민주당이 '사드 당론' 결정을 연기한 것을 놓고 엇갈린 해석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략적 모호성 입장으로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자 지도부는 "신중하게 결정하겠다는 것이지 전략적 모호성 수용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는데요. 더민주의 '사드 속도조절'을 어떻게 해석해야 합니까?
<질문 7> 더민주당은 결국 내년 대선에서 사드 찬·반이 어떤 득실을 가져다주느냐를 놓고 고민하는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반면 새누리당은 사드 찬성 당론을 공식 채택하고 핵잠수함 도입도 본격 거론하고 나섰습니다. 건국절도 공론화할 태세입니다. 보수층을 결집하는 효과가 있을까요?
<질문 9> 임성남 외교차관이 전격 방중해 G20을 계기로 한중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사드문제에 대한 해법이 나올까요?
<질문 10> 문재인 안철수 전대표가 어제 나란히 부산으로 내려가 PK 민심잡기에 나섰습니다. 그런데 두사람이 스타일이 좀 다른 것 같습니다. 안 전대표는 '양극단 대 합리적 개혁 세력' 대결을 대선 화두로 내걸고 공세적 자세를 취한 반면 문 전대표는 정치현안 언급보다 민생현장 방문에 치중했습니다. 두 사람의 대선 행보,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1> 김부겸 의원이 "대세론은 무난한 패배의 다른 이름"이라며 직격탄을 날리면서 대선 경선 출마를 사실상 선언했습니다. 그러나 추미애 대표, "환영한다, 꽃가마 없다고 하지 않았느냐"고 서둘러 진화에 나섰는데요. '문재인 대세론' 논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2> 그럼에도 더민주당은 대의원과 당원 모두 친문계가 절대적 우위를 보이고 특히 온라인 당원 대부분이 문 전대표에 대한 충성심으로 무장해 있어 경선룰을 바꾸지 않는 한 대세론을 깨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3> 새누리와 더민주 지도부가 친박·친문 일색으로 구성되면서 제3지대론이나 정계개편론이 정치권 관심사로 대두되지만 막상 실현가능성에 대해선 아직 회의적 반응들이 많습니다. 여야 비주류 주자들도 시쿤둥한 반응들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4> 국민의당이 제3지대는 국민의당 중심이 돼야 한다면서 기존정당 밖의 제3지대론은 '총선민의에 반한다'는 입장인데요. 이런 국민의당 중심의 제3지대론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5> 국회의장 직속 자문기구인 특권 내려놓기 추진위가 의원 체포동의안이 72시간내에 표결처리 안되면 본회의에 자동 상정해 표결하는 내용의 개선안을 확정했다고 합니다. 방탄국회가 사라질까요?
연합뉴스TV: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