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북 조선중앙TV, SLBM 시험발사 영상 공개
<출연: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ㆍ김광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사드 배치를 놓고 논란이 계속되는 사이에 북한이 남한 전역을 사정권 안에 둘 수 있는 잠수함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에 성공함으로써 한반도의 안보 상황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SLBM 발사 이후 한반도 정세와 우리의 대응책에 대해 전문가들 모시고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김광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모셨습니다.
북한 조선중앙TV가 오늘 낮 12시30분, 어제 실시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의 시험발사 장면을 방송했습니다.
1분47초 분량의 이 영상은 카운트다운부터 SLBM이 굉음과 함께 불꽃을 내뿜는 모습 등이 담겨져 있는데요. 직접 보시겠습니다.
<질문 1> 북한 김정은 노동당위원장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한명으로는 북극성 발사에 대해 "성공중의 성공"이라며 "핵공격 능력을 완벽히 보유한 군사대국 전열에 들어섰다"고 주장했습니다. 미사일 발사에 고무된 김정은 정권의 향후 행보를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 2> 김정은 위원장이 SLBM 발사를 참관하고 "핵무기 운반수단 개발에 총력을 다하라"고 지시했는데요, 어떤 의미라고 보십니까?
<질문 3> 북한 조선중앙TV는 오늘 낮 12시30분에 전날 실시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영상을 방송했는데요. 이 영상 앞뒤로 함께 공개된 60여 장의 사진 중에는 김정은이 미사일 발사때마다 단골로 수행해온 김정식 부부장과 껴안는 장면, 울먹이는 간부들의 모습도 담겼습니다. 탈북 사태 등으로 동요 조짐이 있는 체제를 재결속하는 계기가 될까요?
<질문 4> 박근혜 대통령이 어제 을지연습이 진행중인 중부전선을 방문해 "김정은의 성격 예측이 어렵다는 점에서 위협이 현실화될 위험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습니다. 어떤 의미로 보십니까?
<질문 5> 이번 발사 성공으로 한미 군당국은 놀라움을 금치 못하는 듯합니다. 북한이 4개월만에 비행거리를 15배나 늘릴 만큼 기술적 진전이 가능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6> 이번 발사 성공으로 대북억지전략을 다시 짜야 한다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실제 잠수함에서 발사할 경우 북쪽을 향해 고정된 사드나 패트리엇으로도 요격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데요, 우리의 대응책에 대해 말씀해주십시오.
<질문 7> 전문가들은 핵 잠수함 도입이 근본해법이라는 주장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핵 잠수함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8> 이번 발사 성공을 계기로 사드 등 미사일 방어체계 강화의 필요성이 역설적으로 커졌다는 주장과 함께 사드 무용론도 함께 제기되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북한이 SLBM을 실전 배치하면 미국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인도에 이어 7번째로 SLBM 보유국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질문 10> 북한이 이번 발사 성공의 여세를 몰아 추가 핵실험 등 더욱 고강도 도발에 나설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1> 태영호 망명 이후 북한내부가 비상이 걸린 것 같습니다. 접경지역 감시 강화를 위해 암살조를 보냈다거나 보위부 등 권력기관을 동원해 대대적 숙청에 나설 것이라는 등 흉흉한 소문도 나도는 모양인데, 그럴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12> 앞서 박 대통령이 북한 지도부가 '8월의 수치'를 강조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요, 북한이 내부동요를 차단하고 체제결속을 위해 대남도발을 자행할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3> SLBM 발사, 탈북, 도발 위협 등으로 남북관계의 긴장과 한반도의 불확실성이 갈수록 고조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대외·대내적으로 어떤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ㆍ김광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사드 배치를 놓고 논란이 계속되는 사이에 북한이 남한 전역을 사정권 안에 둘 수 있는 잠수함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에 성공함으로써 한반도의 안보 상황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SLBM 발사 이후 한반도 정세와 우리의 대응책에 대해 전문가들 모시고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김광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모셨습니다.
북한 조선중앙TV가 오늘 낮 12시30분, 어제 실시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의 시험발사 장면을 방송했습니다.
1분47초 분량의 이 영상은 카운트다운부터 SLBM이 굉음과 함께 불꽃을 내뿜는 모습 등이 담겨져 있는데요. 직접 보시겠습니다.
<질문 1> 북한 김정은 노동당위원장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한명으로는 북극성 발사에 대해 "성공중의 성공"이라며 "핵공격 능력을 완벽히 보유한 군사대국 전열에 들어섰다"고 주장했습니다. 미사일 발사에 고무된 김정은 정권의 향후 행보를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 2> 김정은 위원장이 SLBM 발사를 참관하고 "핵무기 운반수단 개발에 총력을 다하라"고 지시했는데요, 어떤 의미라고 보십니까?
<질문 3> 북한 조선중앙TV는 오늘 낮 12시30분에 전날 실시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영상을 방송했는데요. 이 영상 앞뒤로 함께 공개된 60여 장의 사진 중에는 김정은이 미사일 발사때마다 단골로 수행해온 김정식 부부장과 껴안는 장면, 울먹이는 간부들의 모습도 담겼습니다. 탈북 사태 등으로 동요 조짐이 있는 체제를 재결속하는 계기가 될까요?
<질문 4> 박근혜 대통령이 어제 을지연습이 진행중인 중부전선을 방문해 "김정은의 성격 예측이 어렵다는 점에서 위협이 현실화될 위험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습니다. 어떤 의미로 보십니까?
<질문 5> 이번 발사 성공으로 한미 군당국은 놀라움을 금치 못하는 듯합니다. 북한이 4개월만에 비행거리를 15배나 늘릴 만큼 기술적 진전이 가능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6> 이번 발사 성공으로 대북억지전략을 다시 짜야 한다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실제 잠수함에서 발사할 경우 북쪽을 향해 고정된 사드나 패트리엇으로도 요격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데요, 우리의 대응책에 대해 말씀해주십시오.
<질문 7> 전문가들은 핵 잠수함 도입이 근본해법이라는 주장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핵 잠수함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8> 이번 발사 성공을 계기로 사드 등 미사일 방어체계 강화의 필요성이 역설적으로 커졌다는 주장과 함께 사드 무용론도 함께 제기되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북한이 SLBM을 실전 배치하면 미국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인도에 이어 7번째로 SLBM 보유국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질문 10> 북한이 이번 발사 성공의 여세를 몰아 추가 핵실험 등 더욱 고강도 도발에 나설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1> 태영호 망명 이후 북한내부가 비상이 걸린 것 같습니다. 접경지역 감시 강화를 위해 암살조를 보냈다거나 보위부 등 권력기관을 동원해 대대적 숙청에 나설 것이라는 등 흉흉한 소문도 나도는 모양인데, 그럴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12> 앞서 박 대통령이 북한 지도부가 '8월의 수치'를 강조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요, 북한이 내부동요를 차단하고 체제결속을 위해 대남도발을 자행할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3> SLBM 발사, 탈북, 도발 위협 등으로 남북관계의 긴장과 한반도의 불확실성이 갈수록 고조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대외·대내적으로 어떤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