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탄력 받은 개각론…시기ㆍ폭 관심
<출연 :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개각에 대한 정치권의 요구를 박 대통령에게 건의한 이후 개각론이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박 대통령이 임기 말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서 어떤 구상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 나오셨습니다.
<질문 1> 개각론, 이정현 대표가 오찬회동에서 직접 건의하면서 급물살을 타게 됐죠. 야당 요구에 떠밀려 하는 모양새 피하게 됐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시기는 언제쯤으로 예상하시나요?
<질문 2> 관심은 개각의 폭과 대상이겠죠. 현재까지 전해지는 바로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엔 조윤선 전 장관이,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엔 김재수 사장이 유력하다고 합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3> 우병우 민정수석의 거취 문제도 관심인데요. 사실 이미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고, 때문에 정상적인 직무수행이 불가능하다는 지적 나오죠?
<질문 4> 지난 오찬 회동에서 이정현 대표가 박 대통령에게 탕평인사 거론했습니다. 호남 출신 인사 포함 가능성 있다고 보세요?
<질문 5> 이정현 대표가 주요 당직자를 인선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변화한 만큼 당 대표 권한은 어떤 점이 달라졌나요?
<질문 6> 이정현 대표 더 이상 계파가 없다고 강조하기도 했는데요. 첫 당직인사 어떻게 단행할까요?
<질문 7> 이정현 대표 취임 이후 당청 간 신 밀월관계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 대표 취임 이후 파격적인 행보를 선보이고 있는데요. 일련의 과정으로 볼 때 청와대와 대통령 향해 자신의 목소리 낼 수 있을지도 관심이죠?
<질문 8> 더민주로 가보죠. 더민주 당 대표 후보들이 야권 호남을 찾아 합동연설회를 열었습니다. 너나 할 것 없이 호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는데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질문 9> 호남 출신인 이정현 대표를 견제하는 발언도 이어졌는데요. 사실 국회의장단과 3당 대표가 모두 호남인사로 채워지면서 호남이 정치권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죠?
<질문 10> 당초 추미애 후보가 1강으로 굳히기에 들어갔다는 분석들이 나왔었는데 새누리당도 그렇고 이변이 연출되고 있지 않습니까, 더민주 전대 결과는 어떻게 전망하세요?
<질문 11>김종인 대표가 강연정치 나서는 등 광폭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8·27 전당대회를 끝으로 임기를 마치게 되는데 향후 행보 어떻게 보세요, 킹메이커 역할 할 거라고 보시나요?
<질문 12> 차기 대선 주자들 행보도 짚어보죠. 김무성 전 대표는 며칠째 호남을 돌며 민생행보, 문재인 전 대표는 지난달 독도 방문 이어 안보에 유독 집중하는 모양새인데요.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개각에 대한 정치권의 요구를 박 대통령에게 건의한 이후 개각론이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박 대통령이 임기 말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서 어떤 구상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박태우 고려대 연구교수·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 나오셨습니다.
<질문 1> 개각론, 이정현 대표가 오찬회동에서 직접 건의하면서 급물살을 타게 됐죠. 야당 요구에 떠밀려 하는 모양새 피하게 됐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시기는 언제쯤으로 예상하시나요?
<질문 2> 관심은 개각의 폭과 대상이겠죠. 현재까지 전해지는 바로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엔 조윤선 전 장관이,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엔 김재수 사장이 유력하다고 합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3> 우병우 민정수석의 거취 문제도 관심인데요. 사실 이미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고, 때문에 정상적인 직무수행이 불가능하다는 지적 나오죠?
<질문 4> 지난 오찬 회동에서 이정현 대표가 박 대통령에게 탕평인사 거론했습니다. 호남 출신 인사 포함 가능성 있다고 보세요?
<질문 5> 이정현 대표가 주요 당직자를 인선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변화한 만큼 당 대표 권한은 어떤 점이 달라졌나요?
<질문 6> 이정현 대표 더 이상 계파가 없다고 강조하기도 했는데요. 첫 당직인사 어떻게 단행할까요?
<질문 7> 이정현 대표 취임 이후 당청 간 신 밀월관계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 대표 취임 이후 파격적인 행보를 선보이고 있는데요. 일련의 과정으로 볼 때 청와대와 대통령 향해 자신의 목소리 낼 수 있을지도 관심이죠?
<질문 8> 더민주로 가보죠. 더민주 당 대표 후보들이 야권 호남을 찾아 합동연설회를 열었습니다. 너나 할 것 없이 호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는데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질문 9> 호남 출신인 이정현 대표를 견제하는 발언도 이어졌는데요. 사실 국회의장단과 3당 대표가 모두 호남인사로 채워지면서 호남이 정치권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죠?
<질문 10> 당초 추미애 후보가 1강으로 굳히기에 들어갔다는 분석들이 나왔었는데 새누리당도 그렇고 이변이 연출되고 있지 않습니까, 더민주 전대 결과는 어떻게 전망하세요?
<질문 11>김종인 대표가 강연정치 나서는 등 광폭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8·27 전당대회를 끝으로 임기를 마치게 되는데 향후 행보 어떻게 보세요, 킹메이커 역할 할 거라고 보시나요?
<질문 12> 차기 대선 주자들 행보도 짚어보죠. 김무성 전 대표는 며칠째 호남을 돌며 민생행보, 문재인 전 대표는 지난달 독도 방문 이어 안보에 유독 집중하는 모양새인데요.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