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새누리 '이정현호' 출범…의미와 과제는?
<출연 : 이영작 서경대 석좌교수ㆍ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대표>
새누리당이 이정현 대표를 비롯해 새 지도부를 선출함으로써 총선 참패 이후 4개월만에 비로소 정상적인 당의 모습을 갖추게 됐습니다.
이정현 체제 출범이 집권여당의 진로와 향후 정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이영작 서경대 석좌교수ㆍ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대표 모셨습니다.
<질문 1> 새누리당 전대에 대한 언론 논조를 보면 "보수여당 사상 첫 호남출신 선출직 당대표, 그러나 '도로 친박당' 됐다"는 식의 두갈래로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이정현 대표가 예상보다 큰 표차로 당선된 배경은 뭐라고 보십니까? 이 대표 개인 역량과 상품성, 또는 친박계의 전폭 지원, 어느쪽에 무게를 두십니까?
<질문 3> 반대로 비박계가 친박 총선책임론, 후보단일화, 김무성 오세훈 등 대권주자들의 지원 등 호재가 많았음에도 참패한 원인, 반대로 친박계가 압승한 배경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4> 비박계가 타격을 받게 됐는데 앞으로 비박계의 진로를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지금은 아니라도 대선정국에서 이탈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5> 정작 호남을 방문중인 김무성 전 대표는 전대결과를 존중한다면서 이정현 대표에게 박 대통령과의 정례회동을 당부했습니다. 어떤 의미일까요?
<질문 6> 이정현 대표, 오늘 김재원 정무수석 예방을 받고 "대통령과 맞서는 게 정의라 인식하면 여당의원 자격없다"고 말했는데 김무성 전 대표를 겨냥한 것처럼 들립니다. 앞으로 대통령 비판하면 용납 않겠다는 경고일까요?
<질문 7> 이정현 대표가 오늘 "대한민국 정치의 모순을 바꾸겠다", "벌레 먹은 잎 따기 식이 아니라 근본을 고치겠다"고 기염을 토했는데 말 그대로 실천에 옮길까요? 이 대표가 풀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8> 당·청관계에 대해 기대와 우려가 엇갈립니다. 이정현 대표, 첫 일성으로 "박 대통령 중심의 국정 챙기기가 시급하다"고 말했는데, 야당은 박 대통령과의 특수관계를 들어 우려와 경계의 시선을 보냅니다. 향후 여야관계, 어떻게 굴러갈까요?
<질문 9> '반기문 대망론'이 더욱 힘을 받고 당내 비박계 대권주자들의 입지가 위축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습니다. 여권내 대권경쟁 양상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0> 현 지도부의 구성으로 볼 때 대선후보 경선 룰의 결정도 친박계가 주도할 가능성이 커졌는데 그 과정에서 계파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질문 11> 이정현 대표가 당 안팎의 후보들을 끌어모아 '슈퍼스타K(슈스케)'식 대선 후보 경선을 치르겠다고 공약한 데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실현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12> 공천개혁과 계파갈등 해소 방안으로 주장한 4년내내 상시공천 심사 제도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3> 새누리당 전당대회가 끝나자 더민주당의 당권레이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3후보의 연설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14> 새누리당의 호남 당대표 선출이 더민주 당권경쟁 판도에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을 모읍니다. 호남출신 후보가 힘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오히려 '지역주의 파타' 관점에서 '비호남 후보'가 설득력을 얻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5> 더민주 초선의원 6명이 중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했습니다. 그동안 대통령, 여당, 야당이 엉켜 공방을 벌였는데 문제가 너무 정치적으로 커진 탓인지 막상 방중 행보 자체는 신중하게 진행된 것 같습니다. 2박3일의 방중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16> 전날까지만 해도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는 등 수위를 높이던 지도부도 별 언급 없이 "호들갑 떨 일 아니었지 않느냐"며 일단 숨고르기 하는 모습입니다. 그럼에도 여야관계에 계속 불씨로 남을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이영작 서경대 석좌교수ㆍ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대표>
새누리당이 이정현 대표를 비롯해 새 지도부를 선출함으로써 총선 참패 이후 4개월만에 비로소 정상적인 당의 모습을 갖추게 됐습니다.
이정현 체제 출범이 집권여당의 진로와 향후 정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이영작 서경대 석좌교수ㆍ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대표 모셨습니다.
<질문 1> 새누리당 전대에 대한 언론 논조를 보면 "보수여당 사상 첫 호남출신 선출직 당대표, 그러나 '도로 친박당' 됐다"는 식의 두갈래로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이정현 대표가 예상보다 큰 표차로 당선된 배경은 뭐라고 보십니까? 이 대표 개인 역량과 상품성, 또는 친박계의 전폭 지원, 어느쪽에 무게를 두십니까?
<질문 3> 반대로 비박계가 친박 총선책임론, 후보단일화, 김무성 오세훈 등 대권주자들의 지원 등 호재가 많았음에도 참패한 원인, 반대로 친박계가 압승한 배경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4> 비박계가 타격을 받게 됐는데 앞으로 비박계의 진로를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지금은 아니라도 대선정국에서 이탈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5> 정작 호남을 방문중인 김무성 전 대표는 전대결과를 존중한다면서 이정현 대표에게 박 대통령과의 정례회동을 당부했습니다. 어떤 의미일까요?
<질문 6> 이정현 대표, 오늘 김재원 정무수석 예방을 받고 "대통령과 맞서는 게 정의라 인식하면 여당의원 자격없다"고 말했는데 김무성 전 대표를 겨냥한 것처럼 들립니다. 앞으로 대통령 비판하면 용납 않겠다는 경고일까요?
<질문 7> 이정현 대표가 오늘 "대한민국 정치의 모순을 바꾸겠다", "벌레 먹은 잎 따기 식이 아니라 근본을 고치겠다"고 기염을 토했는데 말 그대로 실천에 옮길까요? 이 대표가 풀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8> 당·청관계에 대해 기대와 우려가 엇갈립니다. 이정현 대표, 첫 일성으로 "박 대통령 중심의 국정 챙기기가 시급하다"고 말했는데, 야당은 박 대통령과의 특수관계를 들어 우려와 경계의 시선을 보냅니다. 향후 여야관계, 어떻게 굴러갈까요?
<질문 9> '반기문 대망론'이 더욱 힘을 받고 당내 비박계 대권주자들의 입지가 위축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습니다. 여권내 대권경쟁 양상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0> 현 지도부의 구성으로 볼 때 대선후보 경선 룰의 결정도 친박계가 주도할 가능성이 커졌는데 그 과정에서 계파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질문 11> 이정현 대표가 당 안팎의 후보들을 끌어모아 '슈퍼스타K(슈스케)'식 대선 후보 경선을 치르겠다고 공약한 데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실현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12> 공천개혁과 계파갈등 해소 방안으로 주장한 4년내내 상시공천 심사 제도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3> 새누리당 전당대회가 끝나자 더민주당의 당권레이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3후보의 연설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14> 새누리당의 호남 당대표 선출이 더민주 당권경쟁 판도에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을 모읍니다. 호남출신 후보가 힘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오히려 '지역주의 파타' 관점에서 '비호남 후보'가 설득력을 얻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5> 더민주 초선의원 6명이 중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했습니다. 그동안 대통령, 여당, 야당이 엉켜 공방을 벌였는데 문제가 너무 정치적으로 커진 탓인지 막상 방중 행보 자체는 신중하게 진행된 것 같습니다. 2박3일의 방중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16> 전날까지만 해도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는 등 수위를 높이던 지도부도 별 언급 없이 "호들갑 떨 일 아니었지 않느냐"며 일단 숨고르기 하는 모습입니다. 그럼에도 여야관계에 계속 불씨로 남을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