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새누리 당대표 출마 선언…전대 차별화 전략은?
<출연 : 새누리당 이주영 의원>
지금은 '강경 매파'가 아니라 '하얀 비둘기'가 필요하다면서 계파화합의 용광로를 자처하고 새누리당 대표 경선에 출마한 이주영 의원 스튜디오에 모셨습니다.
<질문 1> 전당대회 당대표 경선구도의 윤곽이 잡혀갑니다. 말 그대로 '춘추전국'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출마를 결심하신 배경은 무엇입니까?
<질문 2> 컷오프 규정에 따라 후보 난립이 불가피한데, 어떤 구상과 전략으로 전대에 임하실 생각입니까?
<질문 3> "지금은 '강경매파'보다 '하얀비둘기'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십시오.
<질문 4> 계파갈등 해소의 적임자라고 자임하셨는데, 그간의 경험을 돌아보면 말뿐인 계파청산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깨닫게 했습니다. 계파갈등 해결을 위한 구체적 복안이 있습니까?
<질문 5> 원인을 제대로 진단해야 올바른 처방이 나온다는 지적도 있습니다만, 당장에 총선백서 문제나 녹취록 파문을 놓고서도 계파나 당권주자간에 시각차가 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6> 서청원 의원의 불출마와 녹취록 파문으로 친박계가 구심점이 약해지거나 분화할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그동안 계파색을 멀리해오셨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지금 청와대나 새누리당이나 정신 못차릴 정도로 악재들이 터졌습니다. 우선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문제,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질문 8> 야당에서 "총체적 난국"이라며 전면 개각을 요구하는데, 전당대회가 끝나면 어차피 당정청의 쇄신 차원에서 개각 필요성이 자연스럽게 제기되지 않을까요?
<질문 9> 사드 배치 문제가 올해 내내 논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무엇보다 성주 등 TK민심 수습이 관건인데 대표가 되시면 어떻게 풀어가실 생각입니까?
<질문 10> '당정청 일체론'을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여소야대 정국임을 감안하면, 대야(對野) 관계나 국회운영 또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상황입니다. 경색된 청와대와 국회의 관계, 어떻게 풀어가실 계획입니까?
<질문 11> 여야 막론하고 개헌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압도적인데 내용과 시기에 대해서는 저마다 각양각색입니다. 의원님의 생각은 무엇입니까?
<질문 12> 내년 대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이 환골탈태하지 않으면 재집권이 어렵다는 여론이 많습니다. 대선과 관련해 어떤 구상과 포부를 갖고 계십니까?
<질문 13> 새누리당 대선후보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을 비롯해 여러 후보들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차기 대선후보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질문 14> 당대표 경선을 앞두고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은 말씀 간단히 해주십시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새누리당 이주영 의원>
지금은 '강경 매파'가 아니라 '하얀 비둘기'가 필요하다면서 계파화합의 용광로를 자처하고 새누리당 대표 경선에 출마한 이주영 의원 스튜디오에 모셨습니다.
<질문 1> 전당대회 당대표 경선구도의 윤곽이 잡혀갑니다. 말 그대로 '춘추전국'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출마를 결심하신 배경은 무엇입니까?
<질문 2> 컷오프 규정에 따라 후보 난립이 불가피한데, 어떤 구상과 전략으로 전대에 임하실 생각입니까?
<질문 3> "지금은 '강경매파'보다 '하얀비둘기'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십시오.
<질문 4> 계파갈등 해소의 적임자라고 자임하셨는데, 그간의 경험을 돌아보면 말뿐인 계파청산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깨닫게 했습니다. 계파갈등 해결을 위한 구체적 복안이 있습니까?
<질문 5> 원인을 제대로 진단해야 올바른 처방이 나온다는 지적도 있습니다만, 당장에 총선백서 문제나 녹취록 파문을 놓고서도 계파나 당권주자간에 시각차가 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6> 서청원 의원의 불출마와 녹취록 파문으로 친박계가 구심점이 약해지거나 분화할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그동안 계파색을 멀리해오셨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지금 청와대나 새누리당이나 정신 못차릴 정도로 악재들이 터졌습니다. 우선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문제,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질문 8> 야당에서 "총체적 난국"이라며 전면 개각을 요구하는데, 전당대회가 끝나면 어차피 당정청의 쇄신 차원에서 개각 필요성이 자연스럽게 제기되지 않을까요?
<질문 9> 사드 배치 문제가 올해 내내 논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무엇보다 성주 등 TK민심 수습이 관건인데 대표가 되시면 어떻게 풀어가실 생각입니까?
<질문 10> '당정청 일체론'을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여소야대 정국임을 감안하면, 대야(對野) 관계나 국회운영 또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상황입니다. 경색된 청와대와 국회의 관계, 어떻게 풀어가실 계획입니까?
<질문 11> 여야 막론하고 개헌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압도적인데 내용과 시기에 대해서는 저마다 각양각색입니다. 의원님의 생각은 무엇입니까?
<질문 12> 내년 대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이 환골탈태하지 않으면 재집권이 어렵다는 여론이 많습니다. 대선과 관련해 어떤 구상과 포부를 갖고 계십니까?
<질문 13> 새누리당 대선후보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을 비롯해 여러 후보들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차기 대선후보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질문 14> 당대표 경선을 앞두고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은 말씀 간단히 해주십시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