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사드 레이더 전자파 유해성 논란…진실은?
<출연: 양문석 전 미디어스 논설위원ㆍ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 소장>
양문석 전 미디어스 논설위원, 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 소장과 정치권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어서오십시요.
<질문 1> 남중국해 문제와 함께 중요한 외교안보 현안인 사드문제를 놓고 정치권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먼저, 경북 성주가 사실상 예정지로 결정됐다는 소식인네요?
<질문 2> 예상했던 대로 군수는 삭발하고 있고, 주민들 반발이 거센데요. 신공항 유치문제로 TK가 폭발했는데 이번에 사드 배치문제로 또 한번 벌집을 쑤셔놓은 듯 해요.
<질문 3> 전자파 피해 등에 따른 안전문제도 우려가 가시질 않는데요.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 징후가 포착될 때만 레이더를 가동하겠다고 합니다. 설득력 있다고 보세요?
<질문 4> 국가 안보문제다보니 기밀을 유지해야 할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최소한 정부의 설득과 협의 과정없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입니다. 어떻게 보세요?
<질문 5> 정부 안에서도 찬반 의견이 갈렸다고 하는 보도가 있었는데요. "사드는 일개 포병중대"에 불과하다는 국방장관과 주변국과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외교장관의 입장이 꼭 같을 수는 없겠죠. 외교부는 즉각 관련 보도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질문 6> 정치권에서도 입장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국회 동의절차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는데, 정부는 이미 군 시설이 있는 곳이기 때문에 필요 없다는 입장이잖아요?
<질문 7> 여야 각 당의 입장도 다르지만 당내의 의견도 다르잖아요. 더민주 같은 경우는 특히 어정쩡한 입장입니다. 의원총회까지 열었지만 당론을 못정했는데요. 왜 그럴까요?
<질문 8> 어제 더민주 김종인 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원장이 공연장에서 만났는데요. 박지원 비대위원장의 공조요구에도 김종인 대표가 딱 잘라서 아니라고 했더라고요?
<질문 9> 박지원 비대위원장은 더민주를 공격하면서 선명성을 강조하려는 것 같아요. 문재인 전 대표를 향해서도 입장 밝히라면서 압박하고 있는데요.
<질문 10> 대권 잠룡들도 한마디씩 거들고는 있는데요. 괜한 갈등과 편가르기만 부추기는 건 아닌가 싶기도 해요.
<질문 11> 새누리당 사정도 복잡합니다. 당 차원에서는 적극 지지 입장이지만 TK지역 의원들은 대체로 반대하고 있지 않습니까?
<질문 12> "여야정 협의체 만들어서 사드배치를 논의하자"는 의견도 있기는 한데요. 이미 시끄럽게 상황이 번진 지금에 와서 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질문 13> 한반도 외교안보 지형이 불안한데요. 이런 가운데, 어제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일본 자위대 창설 행사가 열려 논란이되고 있네요?
<질문 14> 우리나라 외교·국방부 관계자도 이 행사에 참석했는데요. 시기가 묘해서 여러 말들이 나오는데요?
<질문 15> 이번 행사가 3년 만에 열린 행사라고 하는데요. 위안부 문제 등과 관련해서도 국내의 여론은 좋지 않죠?
<질문 16> 새누리당 전당대회 소식 살펴볼게요. 그동안 전당대회와 관련해 말을 아껴온 김무성 전 대표가 "비박 후보 단일화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요. 줄세우기라는 비판이 나오네요?
<질문 17> 내일은 지지자 500여명을 초청해 만찬을 할 계획이라는데, 대선을 겨냥해 계파 구심점 역할에 나선 것이라고 봐야할까요?
<질문 18> 친박에서는 서청원 의원 출마를 계속 요구하고 있는데요. 이르면 내일쯤 출마선언 가능성도 있다고요? 당내 세력 분포를 보면 친박계가 결집할 경우 서 의원이 필승카드라는 분석도 있는데요.
<질문 19> 서청원 의원에 대항에 비박계 일부에서는 나경원 의원으로 단일화하자는 주장도 있다고 하는데요. 서청원 당대표ㆍ나경원 당대표, 어떻게 그림이 그려지시나요?
양문석 전 미디어스 논설위원ㆍ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 소장과 정치권 소식 살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양문석 전 미디어스 논설위원ㆍ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 소장>
양문석 전 미디어스 논설위원, 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 소장과 정치권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어서오십시요.
<질문 1> 남중국해 문제와 함께 중요한 외교안보 현안인 사드문제를 놓고 정치권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먼저, 경북 성주가 사실상 예정지로 결정됐다는 소식인네요?
<질문 2> 예상했던 대로 군수는 삭발하고 있고, 주민들 반발이 거센데요. 신공항 유치문제로 TK가 폭발했는데 이번에 사드 배치문제로 또 한번 벌집을 쑤셔놓은 듯 해요.
<질문 3> 전자파 피해 등에 따른 안전문제도 우려가 가시질 않는데요.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 징후가 포착될 때만 레이더를 가동하겠다고 합니다. 설득력 있다고 보세요?
<질문 4> 국가 안보문제다보니 기밀을 유지해야 할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최소한 정부의 설득과 협의 과정없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입니다. 어떻게 보세요?
<질문 5> 정부 안에서도 찬반 의견이 갈렸다고 하는 보도가 있었는데요. "사드는 일개 포병중대"에 불과하다는 국방장관과 주변국과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외교장관의 입장이 꼭 같을 수는 없겠죠. 외교부는 즉각 관련 보도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질문 6> 정치권에서도 입장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국회 동의절차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는데, 정부는 이미 군 시설이 있는 곳이기 때문에 필요 없다는 입장이잖아요?
<질문 7> 여야 각 당의 입장도 다르지만 당내의 의견도 다르잖아요. 더민주 같은 경우는 특히 어정쩡한 입장입니다. 의원총회까지 열었지만 당론을 못정했는데요. 왜 그럴까요?
<질문 8> 어제 더민주 김종인 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원장이 공연장에서 만났는데요. 박지원 비대위원장의 공조요구에도 김종인 대표가 딱 잘라서 아니라고 했더라고요?
<질문 9> 박지원 비대위원장은 더민주를 공격하면서 선명성을 강조하려는 것 같아요. 문재인 전 대표를 향해서도 입장 밝히라면서 압박하고 있는데요.
<질문 10> 대권 잠룡들도 한마디씩 거들고는 있는데요. 괜한 갈등과 편가르기만 부추기는 건 아닌가 싶기도 해요.
<질문 11> 새누리당 사정도 복잡합니다. 당 차원에서는 적극 지지 입장이지만 TK지역 의원들은 대체로 반대하고 있지 않습니까?
<질문 12> "여야정 협의체 만들어서 사드배치를 논의하자"는 의견도 있기는 한데요. 이미 시끄럽게 상황이 번진 지금에 와서 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질문 13> 한반도 외교안보 지형이 불안한데요. 이런 가운데, 어제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일본 자위대 창설 행사가 열려 논란이되고 있네요?
<질문 14> 우리나라 외교·국방부 관계자도 이 행사에 참석했는데요. 시기가 묘해서 여러 말들이 나오는데요?
<질문 15> 이번 행사가 3년 만에 열린 행사라고 하는데요. 위안부 문제 등과 관련해서도 국내의 여론은 좋지 않죠?
<질문 16> 새누리당 전당대회 소식 살펴볼게요. 그동안 전당대회와 관련해 말을 아껴온 김무성 전 대표가 "비박 후보 단일화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요. 줄세우기라는 비판이 나오네요?
<질문 17> 내일은 지지자 500여명을 초청해 만찬을 할 계획이라는데, 대선을 겨냥해 계파 구심점 역할에 나선 것이라고 봐야할까요?
<질문 18> 친박에서는 서청원 의원 출마를 계속 요구하고 있는데요. 이르면 내일쯤 출마선언 가능성도 있다고요? 당내 세력 분포를 보면 친박계가 결집할 경우 서 의원이 필승카드라는 분석도 있는데요.
<질문 19> 서청원 의원에 대항에 비박계 일부에서는 나경원 의원으로 단일화하자는 주장도 있다고 하는데요. 서청원 당대표ㆍ나경원 당대표, 어떻게 그림이 그려지시나요?
양문석 전 미디어스 논설위원ㆍ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 소장과 정치권 소식 살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