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울산 해역 규모 5.0 강진…원인은?

<출연 : 김재관 서울대 지진공학연구센터 소장>

울산 동쪽 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5.0의 지진은 인근 지역은 물론 서울까지 진동이 감지될 정도였습니다.

한반도에 부쩍 지진이 잦아지고 있는데요.

대지진이 발생하는 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우리나라는 과연 지진으로부터 안전한지 전문가 모시고 알아보겠습니다.

김재관 서울대 지진공학연구센터 소장 나오셨습니다.

<질문 1> 울산 지진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는 이례적으로 큰 큐모입니다. 규모 5.0의 지진은 역대 5위급이라는데 이번 지진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요?

<질문 2> 규모 5.0의 지진이면 여진 가능성이 있나요?

<질문 3> 이번 울산 지진은 해저에서 난 탓에 충격이 상당 부분 흡수돼 피해가 작았다고요. 만약 규모 5.0의 지진이 내륙에서 발생했다면 피해가 어느 정도로 커졌을까요?

<질문 4> 2000년 이후 울산에서만 모두 20차례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울산에서만 유독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까?

<질문 5> 울산 해안 지역에 원전이 밀집돼 있는데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가요?

<질문 6> 우리나라에 올해 들어서만 규모 2.0에서 3.5의 지진이 30차례나 발생했습니다. 빈도가 더욱 잦아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질문 6-1>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질문 7> 무엇보다 한반도에도 규모 7.0 정도의 대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큰데요. 이에 대해 전문가들 의견이 갈립니다. "대지진 가능성 충분하다", 반대로 "한반도는 환태평양지진대에서 벗어나 있어 가능성이 적다" 상반된 주장인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1> 규모 5.0의 지진 이것이 대형 지진의 전조 현상은 아닌가?

<질문 8> 최근 일본, 에콰도르, 동남아시아 등 불의 고리고리 부근에 잇따라 지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쇄지진이 앞으로 일어날 대지진의 전조라고 경고하던데요.

<질문 9> 우리나라의 경우 역대 단 한 번도 건물이 붕괴될 정도의 대규모 지진이 발생한 적이 없어 내진설계가 돼 있는 건물이 별로 없죠. 그래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면 대재앙급 피해가 발생할거라는 우려가 큰데요. 실질적인 지진 대책은 무엇인가요?

<질문 10> 우리나라는 지진이 잦지 않기 때문에 지진 대피요령 등 제대로 교육이 안 돼 있습니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어떻게 행동하고 대피해야하나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