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英, '브렉시트' 확정…경제ㆍ정치적 후폭풍은?
<출연: 군장대 방병국 석좌교수·연합뉴스TV 백나리·김종수 기자>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으로 전 세계가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브렉시트'가 몰고 올 경제적 정치적 후폭풍과 우리의 대비책에 대해 전문가들 모시고 진단해보겠습니다.
방병국 군장대 석좌교수·백나리 기자·김종수 기자 나와있습니다.
<질문 1> 탈퇴냐, 잔류냐를 놓고 엎치락 뒤치락 롤러코스터를 반복한 끝에 결국 영국의 유렵연합 탈퇴가 확정되었습니다. 우선 배경과 의미를 짚어주십시오.
<질문 2> 노동당 조 콕스 하원의원 피살 사건이 잔류 여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관측도 있었는데요?
<질문 3> 영국과 유렵연합은 어떤 변화를 맞게 될까요?
<질문 4> 금융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졌습니다. 세계경제에 미칠 파장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우리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십니까? 경제부총리는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했지만 일각에선 2008년 금융위기 못지않은 대재앙을 불러올 것이란 불안한 예측도 나오는데요?
<질문 6> 브렉시트가 EU 탈퇴 움직임을 확산시키는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덴마크나 체코 등 반 EU 정서가 강한 몇몇 나라들이 거론되고 있는데, 영국의 뒤를 따를 EU 국가가 있을까요?
<질문 7> EU의 강대국 독일과 프랑스가 어떤 대응을 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질문 8> 궁극적으로 EU의 해체를 불러올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9> 재투표가 실시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영국사회가 극심한 국론분열의 후유증에 시달릴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1> 스코틀랜드 독립 재추진이나 북아일랜드, 웨일스의 독립 움직임 등 영연방 체제의 균열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2> 영국이 EU 탈퇴 후에도 다시 돌아올 수 있나요?
<질문 13> 정치적 측면에서 '브렉시트'와 '트럼프 돌풍'의 공통점을 지적하는 학자들이 있습니다. 반 세계화, 반 이민, 백인 서민층의 분노 등을 자극하는 포퓰리즘 선동 등이 지적되는데, '브렉시트'가 미국 대선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4> 미국과 영국의 신고립주의 움직임이 갈수록 힘을 받을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5> 우리로선 어떤 대비책이 필요합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군장대 방병국 석좌교수·연합뉴스TV 백나리·김종수 기자>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으로 전 세계가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브렉시트'가 몰고 올 경제적 정치적 후폭풍과 우리의 대비책에 대해 전문가들 모시고 진단해보겠습니다.
방병국 군장대 석좌교수·백나리 기자·김종수 기자 나와있습니다.
<질문 1> 탈퇴냐, 잔류냐를 놓고 엎치락 뒤치락 롤러코스터를 반복한 끝에 결국 영국의 유렵연합 탈퇴가 확정되었습니다. 우선 배경과 의미를 짚어주십시오.
<질문 2> 노동당 조 콕스 하원의원 피살 사건이 잔류 여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관측도 있었는데요?
<질문 3> 영국과 유렵연합은 어떤 변화를 맞게 될까요?
<질문 4> 금융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졌습니다. 세계경제에 미칠 파장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우리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십니까? 경제부총리는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했지만 일각에선 2008년 금융위기 못지않은 대재앙을 불러올 것이란 불안한 예측도 나오는데요?
<질문 6> 브렉시트가 EU 탈퇴 움직임을 확산시키는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덴마크나 체코 등 반 EU 정서가 강한 몇몇 나라들이 거론되고 있는데, 영국의 뒤를 따를 EU 국가가 있을까요?
<질문 7> EU의 강대국 독일과 프랑스가 어떤 대응을 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질문 8> 궁극적으로 EU의 해체를 불러올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9> 재투표가 실시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영국사회가 극심한 국론분열의 후유증에 시달릴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1> 스코틀랜드 독립 재추진이나 북아일랜드, 웨일스의 독립 움직임 등 영연방 체제의 균열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2> 영국이 EU 탈퇴 후에도 다시 돌아올 수 있나요?
<질문 13> 정치적 측면에서 '브렉시트'와 '트럼프 돌풍'의 공통점을 지적하는 학자들이 있습니다. 반 세계화, 반 이민, 백인 서민층의 분노 등을 자극하는 포퓰리즘 선동 등이 지적되는데, '브렉시트'가 미국 대선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4> 미국과 영국의 신고립주의 움직임이 갈수록 힘을 받을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5> 우리로선 어떤 대비책이 필요합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