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정진석 국회연설…'노동 대타협ㆍ재벌개혁' 강조

<출연: 국민대 홍성걸 교수·한국정치아카데미 김만흠 원장>

20대국회 첫 임시국회가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시작으로 막이 올랐습니다.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 오늘 첫 연설에서 노사정의 사회적 대타협이 시대적 과제임을 강조했는데요.

지금 정치권에선 집권여당의 계파간 대타협이 시급한 과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홍성걸 국민대 교수·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 모셨습니다.

<질문 1> 정진석 원내대표, 복당 등 당내 문제를 수습하느라 정신 차릴 틈도 없이 오늘 첫 대표연설에 나서 20대국회 데뷔 무대를 가졌습니다. 연설 내용,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20대 국회 전반기 윤리위원장을 맡은 백재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특권 내려놓기'의 일환으로 의원 배지의 폐지를 제안했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3> 김희옥 비대위원장이 어제 정진석 원내대표의 사과를 수용하고 당무에 복귀했지만 권성동 사무총장 경질 문제로 계파갈등이 재연되고 있습니다. 권 총장의 경질 문제를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 김 비대위원장은 복당 결정 과정이 위압적으로 이뤄졌다며 "이건 민주주의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그 책임을 물어 권성동 사무총장을 경질하겠다는 것인데, 비박계는 이것이야말로 "정당민주주의에 반하는 것"이라고 반발합니다. 어느 쪽이 더 설득력이 있는가요?

<질문 5> 요즘 '칩거의 정치'가 익숙한 풍경이 됐습니다. 3당합당후 민자당 대표 시절의 김영삼 전 대통령이 '원조'지만 이번 총선때는 김무성 전 대표와 김종인 대표가 나름의 성과를 거둔 바 있습니다. 이번 김희옥 비대위원장의 칩거는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6> 주류인 친박계내에서 중진과 초재선 등 소장파간에 강·온 기류가 엇갈리는 것이 감지됩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7> 연합뉴스 조사 결과 20대 국회의원 10명중 8명꼴로 개헌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권력구조와 개헌 시기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실현가능성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8> 개헌과 선거구제 개편을 병행해야 한다는 의견도 의원 10명 가운데 7명꼴로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어떤 견해를 갖고 계십니까?

<질문 9> 개헌을 위한 세규합 움직임도 국회 안팎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더민주 원혜영 의원은 개헌모임을 재추진, 이재오 전 의원은 국민운동이나 정당 창당을 추진하겠다고 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안철수 대표가 10일만에 다시 입을 열었습니다. "검찰 수사 결과 문제가 있을 시 지위고하 막론하고 엄정하고 단호하게 처리하겠다"고 했는데,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고 있음을 의식한 것일까요?

<질문 11> 여당이 내분에 정신이 팔린 사이 야당은 대여공세를 위한 공조를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국가보훈처가 광주에서 11 공수여단이 포함된 6.25기념 시가행진을 계획한 것과 관련, 야 3당이 박승춘 보훈처장에 대한 해임 촉구결의안을 공동 발의키로 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2> 영남권 신공항 발표를 앞두고 오늘도 공방이 계속됐습니다. 정진석 원대표도 오늘 대표연설에서 정치지도자들의 자제를 촉구했는데 서병수 시장 등 부산지역 정치권을 겨냥한 것일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