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김정은 "북한은 핵보유국"…발언 속내는?
<출연: 강명도 경기대 초빙교수·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
[앵커]
북한의 7차 노동당 대회가 나흘째 열리고 있습니다.
핵보유국을 자처하면서 비핵화와 남북대화를 주장하는 등 이중적 자세를 보인 김정은 정권의 의도와 향후 한반도 정세에 대해 전문가들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강명도 경기대 초빙교수·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 나오셨습니다.
<질문 1> 북한이 김정은 관련 불경한 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BBC 기자 추방했습니다. 사실상 취재 활동을 봉쇄하면서 외국 언론을 대거 초청한 북한의 의도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2> 북한 관영 매체들은 당초 '휘황한 설계도'가 제시될 것이라고 분위기를 띄웠습니다. 지금까지의 결과만 보면 어떻게 평가할 수 있습니까?
<질문 3>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 핵과 경제 병진을 항구적 전략노선으로 선언했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질문 4> 김정은이 경제에 대해선 한심하다는 표현을 써가며 사실상 실패를 자인한 셈인데, 핵과 경제 병진 노선이 성공할 수 있을까요?
<질문 5> "책임 있는 핵보유국으로서 세계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표리부동한 주장에 어떤 메시지가 담긴 것으로 분석하십니까?
<질문 6> 5차 핵실험을 아직 미루고 있는 것도 이런 입장과 관련이 있을까요?
<질문 7> 당 대회 내내 양복 차림을 고수한 김정은 스타일을 두고 김일성 따라 하기 아니냐는 등 해석이 분분한데 어떤 의미가 함축된 걸까요?
<질문 8> "자주권을 침해하지 않는 한 먼저 핵무기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진의는 무엇일까요?
<질문 9> 남북 군사회담 등 대화와 협상을 제의한 의도는 무엇이라고 분석하십니까?
<질문 10> 북한이 핵보유국으로서 미국과 협상하고자 하지만 미국은 먼저 핵을 폐기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이 때문에 과거의 '통미봉남' 위주에서 '통남봉미'로 전략을 바꾸려는 것으로 볼 수 있을까요?
<질문 11> 당 대회가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을 '최고수위'로 추대하는 결정서를 채택했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는 건가요?
<질문 12> 북한의 대화 제의 등 평화공세가 한반도 안정을 중시하는 중국과 러시아를 의식한 면도 있을까요?
<질문 13> 중국의 속내가 복잡할 것 같습니다. 당 대회에 축전을 보내 '북중 우호'를 강조하면서 김정은 이름은 일절 거명하지 않았다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14> 박지원 의원이 남북정상회담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남북 군사회담을 수용해 대화의 장으로 끌어낼 것을 주장하는 등 대화 재개론이 야당 일각에서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5> 북한 수뇌부의 권력 구도 변화 여부, 특히 김정은 여동생이 관심을 모으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6> 이번 당 대회가 김정은 체제의 결속과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7> 김정은이 1990년대 '고난의 행군'을 언급한 의도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18> 7차 노동당대회 이후 한반도 정세,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강명도 경기대 초빙교수·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
[앵커]
북한의 7차 노동당 대회가 나흘째 열리고 있습니다.
핵보유국을 자처하면서 비핵화와 남북대화를 주장하는 등 이중적 자세를 보인 김정은 정권의 의도와 향후 한반도 정세에 대해 전문가들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강명도 경기대 초빙교수·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 나오셨습니다.
<질문 1> 북한이 김정은 관련 불경한 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BBC 기자 추방했습니다. 사실상 취재 활동을 봉쇄하면서 외국 언론을 대거 초청한 북한의 의도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2> 북한 관영 매체들은 당초 '휘황한 설계도'가 제시될 것이라고 분위기를 띄웠습니다. 지금까지의 결과만 보면 어떻게 평가할 수 있습니까?
<질문 3>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 핵과 경제 병진을 항구적 전략노선으로 선언했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질문 4> 김정은이 경제에 대해선 한심하다는 표현을 써가며 사실상 실패를 자인한 셈인데, 핵과 경제 병진 노선이 성공할 수 있을까요?
<질문 5> "책임 있는 핵보유국으로서 세계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표리부동한 주장에 어떤 메시지가 담긴 것으로 분석하십니까?
<질문 6> 5차 핵실험을 아직 미루고 있는 것도 이런 입장과 관련이 있을까요?
<질문 7> 당 대회 내내 양복 차림을 고수한 김정은 스타일을 두고 김일성 따라 하기 아니냐는 등 해석이 분분한데 어떤 의미가 함축된 걸까요?
<질문 8> "자주권을 침해하지 않는 한 먼저 핵무기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진의는 무엇일까요?
<질문 9> 남북 군사회담 등 대화와 협상을 제의한 의도는 무엇이라고 분석하십니까?
<질문 10> 북한이 핵보유국으로서 미국과 협상하고자 하지만 미국은 먼저 핵을 폐기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이 때문에 과거의 '통미봉남' 위주에서 '통남봉미'로 전략을 바꾸려는 것으로 볼 수 있을까요?
<질문 11> 당 대회가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을 '최고수위'로 추대하는 결정서를 채택했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는 건가요?
<질문 12> 북한의 대화 제의 등 평화공세가 한반도 안정을 중시하는 중국과 러시아를 의식한 면도 있을까요?
<질문 13> 중국의 속내가 복잡할 것 같습니다. 당 대회에 축전을 보내 '북중 우호'를 강조하면서 김정은 이름은 일절 거명하지 않았다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14> 박지원 의원이 남북정상회담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남북 군사회담을 수용해 대화의 장으로 끌어낼 것을 주장하는 등 대화 재개론이 야당 일각에서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5> 북한 수뇌부의 권력 구도 변화 여부, 특히 김정은 여동생이 관심을 모으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6> 이번 당 대회가 김정은 체제의 결속과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7> 김정은이 1990년대 '고난의 행군'을 언급한 의도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18> 7차 노동당대회 이후 한반도 정세,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