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북한 당대회 전후 5차 핵실험 가능성은?
<출연 :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
[앵커]
북한이 모레 7차 당대회를 앞두고 본격적으로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습니다.
그런 가운데 박 대통령은 이란 방문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이란의 지지를 이끌어내고 귀국했습니다.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북한전문가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 모셨습니다.
<질문 1> 이번 이란 방문은 경제적 측면 못지않게 북핵 외교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른바 '이란 핵모델'이 북한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2> 북한으로선 전통의 우방국인 이란이 한반도 비핵화 지지를 천명했고, 김일성을 만난 하메네이 최고지도자가 27년만에 박근혜 대통령과 면담한 것 자체도 상징적 의미가 있는데, 북한에 실효적 압박이 될 것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3> 그럼에도 지금까지 북한의 행태를 보면 이처럼 전통적 우방 등 주변의 정세가 불리하게 돌아갈수록 더욱 고립의 길을 가는 경향을 보였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 북한 7차 노동당대회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당대회는 36년만입니다. 김일성이 '이밥에 고깃국'을 언급한 6차 당대회 이후로 30여년만에 다시 개최하는 건데,,김정은정권으로선 어떤 의미가 있는건가요?
<질문 5> 역시 최대 관심은 북한이 당대회를 전후해 5차 핵실험을 할 것이냐인데, 국방부는 "6일 당대회 전후로 핵실험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입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6> 핵실험 이외에 SLBM 같은 다른 방식의 도발 가능성은?
<질문 7> 박 대통령은 북한이 핵실험을 다시 강행할 경우 미래는 없다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는데 5차 핵실험을 할 경우 우리의 대응은 어떤 것입니까?
<질문 8> 당대회를 앞두고 있어서인가요. 하루가 멀다하고 김정은 행보를 보도해왔던 북한 매체들이 9일째 관련 보도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김정은이 당대회에서 내놓을 별도 메시지를 준비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김정은 제1비서가 대남 또는 대미 메지시를 별도로 내놓을 가능성은 있을까요? 만약 유화 메시지를 준비한다면 굳이 핵실험을 강행하진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가능할텐데요?
<질문 10> 북한의 핵실험 준비는 완료됐다는게 대체적인 전문가들의 시각 아닌가요. 그렇다면 타이밍 선택만 남은 건데. 최근에 핵실험 준비를 마친 것처럼 부산떨다 요즘엔 또 잠잠한 모습입니다. 속내가 무엇일까요?
<질문 11> 당대회 이후라도 어떤 형태로든 북한의 도발이 있을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2> 김정은이 당대회에서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을 가능성도 거론되는데, 의미가 있는 건가요?
<질문 13> 당대회 준비를 위해 이른바 70일 전투 등 쥐어짜기로 주민들을 동원하는 바람에 주민 불만이 크고, 심지어 신부와 상주까지 노역에 동원됐다는 보도도 나오는데, 만약 사실이라면 이런 불만이 체제 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
[앵커]
북한이 모레 7차 당대회를 앞두고 본격적으로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습니다.
그런 가운데 박 대통령은 이란 방문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이란의 지지를 이끌어내고 귀국했습니다.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북한전문가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 모셨습니다.
<질문 1> 이번 이란 방문은 경제적 측면 못지않게 북핵 외교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른바 '이란 핵모델'이 북한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2> 북한으로선 전통의 우방국인 이란이 한반도 비핵화 지지를 천명했고, 김일성을 만난 하메네이 최고지도자가 27년만에 박근혜 대통령과 면담한 것 자체도 상징적 의미가 있는데, 북한에 실효적 압박이 될 것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3> 그럼에도 지금까지 북한의 행태를 보면 이처럼 전통적 우방 등 주변의 정세가 불리하게 돌아갈수록 더욱 고립의 길을 가는 경향을 보였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 북한 7차 노동당대회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당대회는 36년만입니다. 김일성이 '이밥에 고깃국'을 언급한 6차 당대회 이후로 30여년만에 다시 개최하는 건데,,김정은정권으로선 어떤 의미가 있는건가요?
<질문 5> 역시 최대 관심은 북한이 당대회를 전후해 5차 핵실험을 할 것이냐인데, 국방부는 "6일 당대회 전후로 핵실험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입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6> 핵실험 이외에 SLBM 같은 다른 방식의 도발 가능성은?
<질문 7> 박 대통령은 북한이 핵실험을 다시 강행할 경우 미래는 없다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는데 5차 핵실험을 할 경우 우리의 대응은 어떤 것입니까?
<질문 8> 당대회를 앞두고 있어서인가요. 하루가 멀다하고 김정은 행보를 보도해왔던 북한 매체들이 9일째 관련 보도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김정은이 당대회에서 내놓을 별도 메시지를 준비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김정은 제1비서가 대남 또는 대미 메지시를 별도로 내놓을 가능성은 있을까요? 만약 유화 메시지를 준비한다면 굳이 핵실험을 강행하진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가능할텐데요?
<질문 10> 북한의 핵실험 준비는 완료됐다는게 대체적인 전문가들의 시각 아닌가요. 그렇다면 타이밍 선택만 남은 건데. 최근에 핵실험 준비를 마친 것처럼 부산떨다 요즘엔 또 잠잠한 모습입니다. 속내가 무엇일까요?
<질문 11> 당대회 이후라도 어떤 형태로든 북한의 도발이 있을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2> 김정은이 당대회에서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을 가능성도 거론되는데, 의미가 있는 건가요?
<질문 13> 당대회 준비를 위해 이른바 70일 전투 등 쥐어짜기로 주민들을 동원하는 바람에 주민 불만이 크고, 심지어 신부와 상주까지 노역에 동원됐다는 보도도 나오는데, 만약 사실이라면 이런 불만이 체제 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