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트럼프-힐러리 대선서 만나나?
<출연 : 김지윤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미국 백악관행 티켓을 놓고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과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의 맞대결 구도가 사실상 확정된 분위깁니다.
미국 대선의 화두는 이제 '경선 이후'로 넘어갔는데요.
11월 본선 향방 그리고 미국 대선 결과가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까지 알아보겠습니다.
김지윤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나오셨습니다.
<질문 1> 미 동북부 5개 주에서 진행된 경선에서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가 각각 완승을 거뒀습니다. 이번 경선의 의미 짚어주시죠.
<질문 2> 클린턴 전 장관이 이번 경선에서 샌더스 상원의원을 크게 이김으로써 민주당 대선 후보 지명이 사실상 확정된 건가요? 초반 돌풍 샌더스 의원을 잠재우고 클린턴 전 장관이 압승한 이유는 뭔가요?
<질문 3> 경쟁자인 샌더스 의원은 이날 결과에 상관없이 경선 레이스를 완주하고 7월 전당대회 대결까지 가겠다고 하는데요. 본선진출자가 확실한 클린턴 후보를 너무 지치게 해서 본선 경쟁력을 깎아먹지 않을까요?
<질문 4> 진보성향의 샌더스 지지자들이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가 대선의 중요한 변수로 보이는데요. 공화당 쪽으로 가긴 어차피 힘들 테니까 클린턴 쪽으로 간다고 봐도 될까요?
<질문 5> 민주당 후보 자리를 예약한 힐러리 클린턴 전 장관이 본선 승리까지 극복해야 할 장애물이 만만치 않은데요?
<질문 6> 트럼프는 경선 후 연설에 "게임은 끝났다"며 스스로 잠재적 후보라고 칭했습니다. 진짜 게임은 끝난 건가요, 아니면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닌가요?
<질문 7> 크루즈 의원과 케이식 주지사가 트럼프의 대의원 과반 확보를 저지하기 위해 최근 연대를 선언했는데요. 어제 경선을 앞두고 불협화음을 빚었는데 연대 효과를 내기 힘든 상황 아닌까요?
<질문 8> 여성 비하, 무슬림 입국 금지, 멕시코 이민자 범죄자 취급 등 트럼프의 막말은 셀 수도 없는데요. 막말의 제왕 트럼프의 인기가 왜 이렇게 높은 건가요?
<질문 9> 미국 대선 후보로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과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가 본선에서 만날 가능성이 높죠. 두 사람이 맞붙으면 대선 판세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9-1> 민주당에서는 오히려 트럼프와 붙는 게 승산이 더 높다는 분석인데요?
<질문 10> 미국은 우리의 최대 우방이자 안보의 한 축을 담당하기에 미국 대통령의 정책과 성향에 따라 한반도 정세 역시 크게 좌우될 수밖에 없습니다. 트럼프와 클린턴, 한반도에 대해 어떤 정책을 가지고 있나요?
<질문 10-1> 누가 대통령이 되면 한국에 유리하다, 이렇게 말할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김지윤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미국 백악관행 티켓을 놓고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과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의 맞대결 구도가 사실상 확정된 분위깁니다.
미국 대선의 화두는 이제 '경선 이후'로 넘어갔는데요.
11월 본선 향방 그리고 미국 대선 결과가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까지 알아보겠습니다.
김지윤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나오셨습니다.
<질문 1> 미 동북부 5개 주에서 진행된 경선에서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가 각각 완승을 거뒀습니다. 이번 경선의 의미 짚어주시죠.
<질문 2> 클린턴 전 장관이 이번 경선에서 샌더스 상원의원을 크게 이김으로써 민주당 대선 후보 지명이 사실상 확정된 건가요? 초반 돌풍 샌더스 의원을 잠재우고 클린턴 전 장관이 압승한 이유는 뭔가요?
<질문 3> 경쟁자인 샌더스 의원은 이날 결과에 상관없이 경선 레이스를 완주하고 7월 전당대회 대결까지 가겠다고 하는데요. 본선진출자가 확실한 클린턴 후보를 너무 지치게 해서 본선 경쟁력을 깎아먹지 않을까요?
<질문 4> 진보성향의 샌더스 지지자들이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가 대선의 중요한 변수로 보이는데요. 공화당 쪽으로 가긴 어차피 힘들 테니까 클린턴 쪽으로 간다고 봐도 될까요?
<질문 5> 민주당 후보 자리를 예약한 힐러리 클린턴 전 장관이 본선 승리까지 극복해야 할 장애물이 만만치 않은데요?
<질문 6> 트럼프는 경선 후 연설에 "게임은 끝났다"며 스스로 잠재적 후보라고 칭했습니다. 진짜 게임은 끝난 건가요, 아니면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닌가요?
<질문 7> 크루즈 의원과 케이식 주지사가 트럼프의 대의원 과반 확보를 저지하기 위해 최근 연대를 선언했는데요. 어제 경선을 앞두고 불협화음을 빚었는데 연대 효과를 내기 힘든 상황 아닌까요?
<질문 8> 여성 비하, 무슬림 입국 금지, 멕시코 이민자 범죄자 취급 등 트럼프의 막말은 셀 수도 없는데요. 막말의 제왕 트럼프의 인기가 왜 이렇게 높은 건가요?
<질문 9> 미국 대선 후보로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과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가 본선에서 만날 가능성이 높죠. 두 사람이 맞붙으면 대선 판세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9-1> 민주당에서는 오히려 트럼프와 붙는 게 승산이 더 높다는 분석인데요?
<질문 10> 미국은 우리의 최대 우방이자 안보의 한 축을 담당하기에 미국 대통령의 정책과 성향에 따라 한반도 정세 역시 크게 좌우될 수밖에 없습니다. 트럼프와 클린턴, 한반도에 대해 어떤 정책을 가지고 있나요?
<질문 10-1> 누가 대통령이 되면 한국에 유리하다, 이렇게 말할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