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북한 7차 노동당 대회 개최…'김정은 시대' 선포?
<출연 :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강명도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초빙교수>
[앵커]
북한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국제사회의 초강력 제재를 받는 상황에서 다음달 6일 7차 노동당대회를 개최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과 강명도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초빙교수 모시고 36년만의 북한 당 대회 의미와 향후 한반도 정세에 대해 진단해보겠습니다.
<질문 1>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노동당 7차대회 개최 일정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36년만의 당 대회 배경과 의미를 말씀해주십시오?
<질문 2> 김정일 정권이 당대회를 개최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질문 3> 당대회에서 새로운 경제정책과 대남정책 노선이 제시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4> 구체적 일정은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외빈이 거의 없어 '그들만의 잔치'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는데요?
<질문 5> 중국도 중량급 대표단을 파견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전망이 나오는데요?
<질문 6> 5차 핵실험 여부에 따라 중국의 태도가 바뀔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7> 김정일 요리사 출신인 후지모토 겐지의 발언이 일본 언론에 보도됐습니다. 후지모토에 따르면 김정은과 김여정, 측근 최룡해 3명과 저녁을 함께 한 자리에서 김정은이 "전쟁할 생각은 없다. 미국에 접근하려 하면 트집잡는 바람에 울컥해서 미사일 발사하고 있다"고 말했다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8> 북한이 후지모토를 메신저로 활용해 김정은의 생각을 국제사회에 전달한 것일까요? 후지모토의 말이 사실이라면 김정은의 속셈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9>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 동향을 분석한 결과 5차 핵실험 준비가 끝났다는 관측입니다. 문제는 당대회 전에 핵실험을 강행할 것이냐는 것인데,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 10> 5차 핵실험은 '핵탄두 폭발시험'이 될 것이라는 얘기가 많은데 실험이 성공하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입니까?
<질문 11> 1년에 2차례나 핵실험을 하는 데 대해 북한도 대내외적으로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을텐데, 핵실험 강행시 한미일 등 국제사회의 추가 조치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질문 12> 이와 관련해 오바마 대통령이 방송인터뷰에서 미군 무기로 북한을 분명히 파괴할 수 있지만 동맹인 한국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북 입장에선 상당히 위협적 발언인 것 같습니다. 미국의 태도, 더욱 강경해지고 있는 건가요?
<질문 13> 5차 핵실험 이후 북-중 관계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4> 만에 하나 핵실험을 하지 않고 당대회를 치를 가능성도 있을까요? 그럴 경우 북한의 의도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15> 미국의 군사전문가들이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이 확실한 기술적 진전을 이뤘으며, 조만간 한국은 물론 미국까지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6> 탈북자 단체인 NK 지식인연대 대표가 "北 김정은이 독가스와 세균무기 등 생화학무기 개발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근거가 있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강명도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초빙교수>
[앵커]
북한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국제사회의 초강력 제재를 받는 상황에서 다음달 6일 7차 노동당대회를 개최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과 강명도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초빙교수 모시고 36년만의 북한 당 대회 의미와 향후 한반도 정세에 대해 진단해보겠습니다.
<질문 1>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노동당 7차대회 개최 일정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36년만의 당 대회 배경과 의미를 말씀해주십시오?
<질문 2> 김정일 정권이 당대회를 개최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질문 3> 당대회에서 새로운 경제정책과 대남정책 노선이 제시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4> 구체적 일정은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외빈이 거의 없어 '그들만의 잔치'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는데요?
<질문 5> 중국도 중량급 대표단을 파견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전망이 나오는데요?
<질문 6> 5차 핵실험 여부에 따라 중국의 태도가 바뀔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7> 김정일 요리사 출신인 후지모토 겐지의 발언이 일본 언론에 보도됐습니다. 후지모토에 따르면 김정은과 김여정, 측근 최룡해 3명과 저녁을 함께 한 자리에서 김정은이 "전쟁할 생각은 없다. 미국에 접근하려 하면 트집잡는 바람에 울컥해서 미사일 발사하고 있다"고 말했다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8> 북한이 후지모토를 메신저로 활용해 김정은의 생각을 국제사회에 전달한 것일까요? 후지모토의 말이 사실이라면 김정은의 속셈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9>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 동향을 분석한 결과 5차 핵실험 준비가 끝났다는 관측입니다. 문제는 당대회 전에 핵실험을 강행할 것이냐는 것인데,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 10> 5차 핵실험은 '핵탄두 폭발시험'이 될 것이라는 얘기가 많은데 실험이 성공하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입니까?
<질문 11> 1년에 2차례나 핵실험을 하는 데 대해 북한도 대내외적으로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을텐데, 핵실험 강행시 한미일 등 국제사회의 추가 조치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질문 12> 이와 관련해 오바마 대통령이 방송인터뷰에서 미군 무기로 북한을 분명히 파괴할 수 있지만 동맹인 한국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북 입장에선 상당히 위협적 발언인 것 같습니다. 미국의 태도, 더욱 강경해지고 있는 건가요?
<질문 13> 5차 핵실험 이후 북-중 관계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4> 만에 하나 핵실험을 하지 않고 당대회를 치를 가능성도 있을까요? 그럴 경우 북한의 의도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15> 미국의 군사전문가들이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이 확실한 기술적 진전을 이뤘으며, 조만간 한국은 물론 미국까지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6> 탈북자 단체인 NK 지식인연대 대표가 "北 김정은이 독가스와 세균무기 등 생화학무기 개발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근거가 있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