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박 대통령 "대화와 타협으로 국정 운영할 것"

<출연 : 정태원 변호사·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

[앵커]

박근혜 대통령이 어제 언론인 간담회에서 새누리당 계파갈등과 관련해 친박은 자신이 만든 게 아니라 정치인들이 선거 마케팅으로 만든 것이라며 중요한 것은 국민의 신뢰를 얻는 정치라고 밝혔습니다.

그 시각,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당선인 모임에선 선거 참패 책임문제를 놓고 친박과 비박이 또다시 격돌했습니다.

정태원 변호사·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 모시고 정치권 이슈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박 대통령이 어제 언론인 간담회에서 총선 결과와 여당 상황, 향후 국정과제와 정국운영 방향 등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많은 얘기를 했는데, 총평을 부탁드립니다.

<질문 2> 더민주당과 국민의당의 반응을 보면 온도차가 느껴지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3> 3당대표 회동이 정례화되면 여소야대의 '협치 모델'로 기대할 수 있을까요?

<질문 4> 총선 민의에 대해 박 대통령은 "양당체제론 되는 일이 없어 3당체제를 만들어주었다"고 해석했는데 동의하십니까?

<질문 5> 국정심판론에 대해 박 대통령은 "할 수 있는 게 없었다. 이대로 임기 마치면 엄청난 한이 될 것 같다"고 울컥 하셨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6> 새누리당의 친박-비박 갈등에 대해선 "친박을 만든 적 없다. 자기들 정치 위한 마케팅"이라면서 유승민 의원 등을 겨냥한 '배신의 정치'를 거듭 언급했습니다.

<질문 7> 국정쇄신책의 일환으로 인적쇄신 문제가 거론돼왔는데 내각 개편은 안하겠다고 못 밖았습니다.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8> 무소속 복당 문제에 대해서도 시기상조라는 게 대통령 입장이죠?

<질문 9> 개헌·연정 문제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박 대통령이 '양적완화'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히자 야당이 일제히 대통령 발언을 비판했습니다. 특히 "하하하 아유 참"이라는 안철수 대표의 반응,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1> 새누리당, 어제 당선인 워크숍 초반엔 일제히 '내탓'이라며 사죄·반성 모드였는데, 취재기자들이 나가자 친박·비박의 '네탓'싸움으로 돌변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2> 비대위원장과 원내대표는 분리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 같습니다. 비대위장후보로 김수한 김형오 강창희 3인으로 압축되고 있다는 설도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3> 결국 원내대표 합의추대는 실패하고 표대결로 가게 됐습니다. 이제 관심은 3당의 원내사령탑이 누가 되느냐인데 국민의당에선 박지원 의원을 합의 추대했습니다. 새누리와 더민주는 원내대표 경선이 당내 세력구도와도 관련이 돼 있어 치열한 경쟁이 예상됩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4> 김종인 대표와 문재인 전 대표의 갈등이 소강국면에 들어간 느낌입니다. 이런 가운데 다음달 3일 당선인 당무위원 연석회의를 열러 전당대회 시기를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김종인 체제, 연장될 수 있을까요?

<질문 15> 국민의당에선 연정론이 백가쟁명 양상입니다. 이상돈 당선인은 "대통령이 임기내 연정 해야 한다"며 강하게 연정 필요성을 주장했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6> 박지원 의원, 3번째 원내대표라는 진기록을 남겼습니다. 박 의원은 '당리략'이나 '안철수 대권가도'에 맞춰가면 안된다고 말했는데 무슨 의미로 보십니까?

<질문 17> 여소야대에서 제3당의 정책을 총괄할 김성식 정책위의장의 역할도 주목됩니다. 김 의장은 어떤 인물인가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