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국의 담담타타] 문재인, 호남행 정면돌파…약인가? 독인가?
<이것이 정치다! : 김광덕 데일리한국 뉴스본부장·서성교 바른정책연구원장·김관옥 계명대 정치외교학 교수·최영일 시사평론가 출연>
이것이 정치다!
김광덕 데일리한국 뉴스본부장, 서성교 바른정책연구원장, 김관옥 계명대 정치외교학 교수, 최영일 시사평론가와 함께 오늘의 정치권 뉴스 짚어보겠습니다.
▶ 연합뉴스-KBS 공동여론조사…주요지역 판세는?
<질문 1> 각 당 상황 짚어보기 전 주요지역 판세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정치 1번지' 종로입니다. 근소한 차이기는 합니다만 정세균 후보가 오세훈 후보를 앞선 건 이번이 처음이죠?
<질문 2> 야당 강세지역으로 분류되는 강서병, 한정애, 김성호 후보가 이견을 좁히지 못해 단일화에 실패한 곳인데요. 일여다야 구도로 치르자면서 혼전 양상입니다. 선거 막판 단일화 가능성 있을까요?
<질문 3> 노원병에서는 '다윗과 골리앗' 싸움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일여다야 정국 속에 초접전을 벌여왔는데요. 안철수 대표가 오차범위를 벗어나 우위를 보이고 있죠. 게다가 당선 가능성은 격차가 상당합니다. 상승세 타고 있는 당 지지율 영향인가요?
<질문 4> 대구로 가보죠. 여야의 잠재적 대권 주자 간 맞대결로 관심을 모으는 수성갑에서는 김부겸 후보가 2배에 가까운 격차로 우위에 점하고 있죠. 새누리당 텃밭인 대구에서 김문수 후보가 고전하는 이유, 어떻게 보세요? 하지만, 대구가 보수성향이 워낙 강한 만큼 선거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올 거란 예상도 만만치 않은데요?
<질문 5> 대구에서 야권 후보 기세가 만만치 않은 곳, 북구을 가보죠. 초반보다는 격차가 좀 줄어든 모양새이긴 합니다만 여전히 무서운 기세입니다. 남은 기간 새누리당 지지층이 얼마나 결집할까요? 반전 있을까요?
<질문 6> 마지막으로 경북 구미 짚어봅니다. 무소속 김태환 후보가 새누리당 장석춘 후보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승패의 관건 무엇이라고 보세요? 당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는데요. 어떻게 해석하시나요?
▶ 문재인, 1박 2일 호남行 '반문 정서' 정면 돌파 선언
<질문 1> 반문 정서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승부수로 보이는데요. 판단 배경 어떻게 보세요?
<질문 2> 국민의당으로 돌아선 호남 유권자의 마음을 되돌릴 수 있을 거란 기대가 있는 반면, 오히려 역효과가 더 크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있는데요. 문재인 대표의 호남행 약될까요, 독 될까요?
<질문 3> 문재인 전 대표 호소, 사과, 경청이 목적이라고 하지만 호남은 수도권 판세까지 흔들 수 있는 막판 변수인 만큼 주요 메시지를 가져가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와요. 어떤 메시지 던질까요?
<문제 4> 총선이 다가오면서 김종인 대표의 비판 발언이 이전보다 다소 거칠어진 것 같은데요. 강봉균 위원장과 안철수 대표를 향해 "머리가 몽롱해졌다", "사고가 문제가 있다."라는 등 직설적으로 비판하고 나섰죠. 어떻게 보세요?
<문제 5> 그런가 하면, 김종인-안철수 대표는 손학규 전 고문의 선거지원을 놓고도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데요. 칩거 중인 손 전 고문은 지원유세를 통해 정계복귀 할까요?
<문제 6> 김 대표는 손 전 고문과 통화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목소리"를 들었다는 반면 안 대표와의 회동은 불발됐는데요. 만약 공식적으로 선거 지원유세 한다면 누구 손잡을까요? 손 전 고문의 지원유세가 수도권과 호남 판세에 큰 영향 미칠까요?
<문제 7> 서울 동작을 선거구에서 더민주 허동준 후보가 정의당 김종철 후보와의 후보 단일화 경선에서 승리하면서 서울에서 첫 단일화에 성공했습니다. 국민의당 후보가 빠지면서 반쪽 단일화에 그치기는 했습니다만 선거 막판 수도권 단일화 기대해 봐도 될까요?
<문제 8> 김종인 대표가 '삼성 미래차 산업 광주 유치'를 승부수로 띄운 가운데 천정배 대표 이에 맞불로 '광주 자동차 100만대 생산기지 조성' 간담회를 열었어요. 일각에선 양측 모두 선심성 공약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문제 9> 이 가운데 선거가 후반기로 접어들면서 '녹색 바람'이 거셉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호남 지지도가 50% 돌파하는가 하며 안철수 대표의 지지율도 동시에 상승하면서 김무성 대표를 제치고 3위를 차지했죠. 어떻게 분석하세요?
▶ 與, 회초리? 비빔밥회동…연이은'하소연 전략' 통할까
<질문 1> 대구 후보들은 무릎을 꿇으며 사죄를 하는 가하며, 반성문 홍보 송도 만들었죠. 게다가 당 지도부는 긴급회의를 열고 대국민 사죄 발언과 함께 비빔밥 회동까지 곁들었는데요. 효과 있을까요?
<질문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론의 움직임 심상치 않죠. 여론조사에 따르면 주중 정당 지지율은 약 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수도권 지지율은 새누리당 33.1% 더민주 31.2%로 격차가 얼마 나지 않는데요. 엄살 전략으로만 볼 수도 없을 것 같은데요? 이 상태라면 새누리당이 얻을 수 있는 의석수 얼마나 될까요?
<질문 3> 읍소전략이 고전적이다, 식상한 레퍼토리라는 반응이 나오는 가운데 반등 위한 해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이것이 정치다! : 김광덕 데일리한국 뉴스본부장·서성교 바른정책연구원장·김관옥 계명대 정치외교학 교수·최영일 시사평론가 출연>
이것이 정치다!
김광덕 데일리한국 뉴스본부장, 서성교 바른정책연구원장, 김관옥 계명대 정치외교학 교수, 최영일 시사평론가와 함께 오늘의 정치권 뉴스 짚어보겠습니다.
▶ 연합뉴스-KBS 공동여론조사…주요지역 판세는?
<질문 1> 각 당 상황 짚어보기 전 주요지역 판세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정치 1번지' 종로입니다. 근소한 차이기는 합니다만 정세균 후보가 오세훈 후보를 앞선 건 이번이 처음이죠?
<질문 2> 야당 강세지역으로 분류되는 강서병, 한정애, 김성호 후보가 이견을 좁히지 못해 단일화에 실패한 곳인데요. 일여다야 구도로 치르자면서 혼전 양상입니다. 선거 막판 단일화 가능성 있을까요?
<질문 3> 노원병에서는 '다윗과 골리앗' 싸움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일여다야 정국 속에 초접전을 벌여왔는데요. 안철수 대표가 오차범위를 벗어나 우위를 보이고 있죠. 게다가 당선 가능성은 격차가 상당합니다. 상승세 타고 있는 당 지지율 영향인가요?
<질문 4> 대구로 가보죠. 여야의 잠재적 대권 주자 간 맞대결로 관심을 모으는 수성갑에서는 김부겸 후보가 2배에 가까운 격차로 우위에 점하고 있죠. 새누리당 텃밭인 대구에서 김문수 후보가 고전하는 이유, 어떻게 보세요? 하지만, 대구가 보수성향이 워낙 강한 만큼 선거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올 거란 예상도 만만치 않은데요?
<질문 5> 대구에서 야권 후보 기세가 만만치 않은 곳, 북구을 가보죠. 초반보다는 격차가 좀 줄어든 모양새이긴 합니다만 여전히 무서운 기세입니다. 남은 기간 새누리당 지지층이 얼마나 결집할까요? 반전 있을까요?
<질문 6> 마지막으로 경북 구미 짚어봅니다. 무소속 김태환 후보가 새누리당 장석춘 후보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승패의 관건 무엇이라고 보세요? 당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는데요. 어떻게 해석하시나요?
▶ 문재인, 1박 2일 호남行 '반문 정서' 정면 돌파 선언
<질문 1> 반문 정서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승부수로 보이는데요. 판단 배경 어떻게 보세요?
<질문 2> 국민의당으로 돌아선 호남 유권자의 마음을 되돌릴 수 있을 거란 기대가 있는 반면, 오히려 역효과가 더 크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있는데요. 문재인 대표의 호남행 약될까요, 독 될까요?
<질문 3> 문재인 전 대표 호소, 사과, 경청이 목적이라고 하지만 호남은 수도권 판세까지 흔들 수 있는 막판 변수인 만큼 주요 메시지를 가져가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와요. 어떤 메시지 던질까요?
<문제 4> 총선이 다가오면서 김종인 대표의 비판 발언이 이전보다 다소 거칠어진 것 같은데요. 강봉균 위원장과 안철수 대표를 향해 "머리가 몽롱해졌다", "사고가 문제가 있다."라는 등 직설적으로 비판하고 나섰죠. 어떻게 보세요?
<문제 5> 그런가 하면, 김종인-안철수 대표는 손학규 전 고문의 선거지원을 놓고도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데요. 칩거 중인 손 전 고문은 지원유세를 통해 정계복귀 할까요?
<문제 6> 김 대표는 손 전 고문과 통화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목소리"를 들었다는 반면 안 대표와의 회동은 불발됐는데요. 만약 공식적으로 선거 지원유세 한다면 누구 손잡을까요? 손 전 고문의 지원유세가 수도권과 호남 판세에 큰 영향 미칠까요?
<문제 7> 서울 동작을 선거구에서 더민주 허동준 후보가 정의당 김종철 후보와의 후보 단일화 경선에서 승리하면서 서울에서 첫 단일화에 성공했습니다. 국민의당 후보가 빠지면서 반쪽 단일화에 그치기는 했습니다만 선거 막판 수도권 단일화 기대해 봐도 될까요?
<문제 8> 김종인 대표가 '삼성 미래차 산업 광주 유치'를 승부수로 띄운 가운데 천정배 대표 이에 맞불로 '광주 자동차 100만대 생산기지 조성' 간담회를 열었어요. 일각에선 양측 모두 선심성 공약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문제 9> 이 가운데 선거가 후반기로 접어들면서 '녹색 바람'이 거셉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호남 지지도가 50% 돌파하는가 하며 안철수 대표의 지지율도 동시에 상승하면서 김무성 대표를 제치고 3위를 차지했죠. 어떻게 분석하세요?
▶ 與, 회초리? 비빔밥회동…연이은'하소연 전략' 통할까
<질문 1> 대구 후보들은 무릎을 꿇으며 사죄를 하는 가하며, 반성문 홍보 송도 만들었죠. 게다가 당 지도부는 긴급회의를 열고 대국민 사죄 발언과 함께 비빔밥 회동까지 곁들었는데요. 효과 있을까요?
<질문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론의 움직임 심상치 않죠. 여론조사에 따르면 주중 정당 지지율은 약 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수도권 지지율은 새누리당 33.1% 더민주 31.2%로 격차가 얼마 나지 않는데요. 엄살 전략으로만 볼 수도 없을 것 같은데요? 이 상태라면 새누리당이 얻을 수 있는 의석수 얼마나 될까요?
<질문 3> 읍소전략이 고전적이다, 식상한 레퍼토리라는 반응이 나오는 가운데 반등 위한 해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