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김종인 "총선 승리 위해 야권 통합" 제안

<출연 : 성균관대 현경병 초빙교수ㆍ사회통합전략연구원 민영삼 원장ㆍ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ㆍ유용화 정치평론가>

정치는 살아움직이는 생물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요즘처럼 이 말이 딱 맞아떨어지는 시기도 없는 것 같습니다.

지금 정치권의 최대화두는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전격 제안한 '야권통합'입니다.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상태에서 다시 정치권이 요동칠 조짐입니다.

오늘은 야권통합 제안의 배경, 실현가능성 등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전문가들과 짚어보겠습니다.

현경병 성균관대 초빙교수, 민영삼 사회통합전략연구원장, 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장, 유용화 정치평론가 나오셨습니다.

어서오세요.

<질문 1> 이번 4·13 총선 그야말로 점입가경입니다. 더민주 김종인 대표의 야권통합 제의가 선거판을 또 흔들고 있습니다.

<질문 2> 김종인 대표는 불과 얼마전 까지도 해도 "각 당이 지향하는 방향이 다르다"고 생각해서 야권 통합 생각이 별로 없어 보였는데요. 갑작스런 방향전환의 의도와 배경, 간단하게 짚어주시죠.

<질문 3> 바둑으로 표현하자만 김 대표의 수읽기와 수싸움이 국민의당을 압도한다는 느낌인데요. 김 대표의 이런 전략을 어떻게 보세요?

<질문 4> 당장 국민의당이 술렁이고 있습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역시 '의도가 의심스럽다'며 경계심을 보였는데요. 당을 뛰쳐나온 안대표 입장에서는 허를 찔린 듯한 느낌이겠요?

<질문 5> 문제는 일부 언론에서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당내 현역의원 중 안철수, 박주선, 신학용 의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의원들은 더불어민주당으로 회군할 수도 있다는 입장 같습니다. 칼을 빼서 무라도 잘라야 하는데 칼집에 바로 넣겠다는 것인가요?

<질문 6> 대다수가 논의하자는 입장이라면 안철수 대표가 버틸 수 있을까요? 안 대표 입장에서는 국민의당이 대선을 위한 베이스캠프였는데 등정시도도 않고 하산할 수 없는 것 아닙니까?

<질문 7> 여당에서는 '불륜정치'라고 하면서 비난하고 있는데요. 새누리당 안에서도 위기감으로 느끼는 것이겠죠? 야당 다툼에서 어부지리하겠다는 시나리오가 헝클어지는데 따른 당연한 반응이겠죠?

<질문 8> 일단 시간이 문제인데요. 김종인 대표의 이야기에 혀를 내두를 정도인데요. 조기 복당이 가능하도록 더민주의 당규를 고쳐놨는다는 것이에요. 시간없으니까 친정으로 돌아오면 반겨주겠다…개별 복당하라는 것 아닙니까?

<질문 9> 어제 국민의당에 입당한 박지원 의원의 역할이 주목되는데요? 그동안 야권통합을 계속 주장했는데 국민의당 입당이 야권통합을 위한 트로이목마 아닌가요?

<질문 10> 박지원 의원과 권노갑 상임고문 같은 경우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분신이라고 할만한 인물들인데요. 김 전 대통령의 삼남 김홍걸 씨가 더불어민주당으로 광주출마설이 나오는데…박 의원이 야권통합 않고 국민의당으로 출마한다…성립이 안되는 이야기 아닌가요?

<질문 11> 국민의당 내부사정도 조금만 살펴볼게요. 박지원 의원 입당으로 현역의원 20명이면 가능한 교섭단체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더민주 컷오프 된 송호창 의원, 전정희 의원 합류 가능성 이야기도 나오는데요. 합류한다면 언제쯤으로 보세요?

<질문 12> 새누리당 상황 살펴보겠습니다. 공천문제로 김무성 대표와 갈등한 이한구 공관위원장이 사실상 전략공천이라고 하는 우선추천지역을 더 늘리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현역물갈이 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이겠죠?

<질문 13> '살생부' 논란으로 김무성 대표의 힘이 기울었다는 평가가 나온 상황에서 이한구 위원장이 몰아붙이는 것으로 봐야 할까요?

<질문 14> 이한구 공관위원장이 지난 달 대구경북지역 공천면접 당시 한 농담 때문에 TK지역이 주요 타깃이 되지 않겠냐는 예상도 나오는데요.

<질문 15> 상향식 공천 명분을 강조하고 있는 김무성 대표와 비박계 반발이 어떻게 터져나올지도 주목되는데요?

<질문 16> 김무성 대표와 이한구 공관위원장, 이번에는 경선 일정을 놓고도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데요. 계속해서 늦어질 경우 김무성 대표가 주장하는 상향식 공천 어려워지는 것이겠죠?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