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막가파" vs "용납못해"…새누리, 전략공천 전면전
<출연 : 배병휴 월간 경제풍월 대표·김우석 미래전략개발연구소 부소장·유용화 시사평론가·최영일 시사평론가>
[앵커]
여의도는 바야흐로 선거시즌으로 급속히 빨려들어가고 있습니다.
집권 새누리당은 계파간 사활을 건 공천전쟁이 진행되고 있고, 야당에서는 이르면 내주에 전략공천자 명단이 발표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각시동이 걸린 여야의 선거채비, 오늘 전문가들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배병휴 월간 경제풍월 대표·김우석 미래전략개발연구소 부소장·유용화 시사평론가·최영일 시사평론가 모셨습니다.
<질문 1> 새누리당의 공천전쟁이 그야말로 점입가경입니다. 어제 김무성 대표 "선거 못하는 한이 있어도 안된다", 이한구 위원장 "당대표와 나 둘중 하나는 물러나야 한다”며 격하게 대립했는데 전선은 오늘 최고위원회로 다시 옮겨붙었습니다. 김무성 대표와 친박계 좌장 서청원 최고위원이 서로 고성까지 지르며 거친 말다툼을 했다는데요?
<질문 2> "당의 가장 책임있는 분들이 '막가파식 공중전'을 한다"는 김태호 최고위원의 말 그대로 낯뜨거운 새누리당 지도부의 모습입니다. 안보위기 속 공천문제를 둘러싼 집권여당의 격한 파열음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3> 그럼에도 친박·비박계가 서로 한치의 양보도 없이 공방을 벌이는 모양새인데 친박·비박 모두 이 문제가 선거후 권력구도와 직결돼 있다는 인식 때문인 것 같습니다.
<질문 4> 결국 사태의 본질은 친박계는 김무성의 공천룰 고수를 '대권을 염두에 둔 현역 지키기' 비박계는 이한구 안을 '현역 물갈이- 친박계 새 사람 꽂기', 로 보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건가요?
<질문 5> 이런 상태가 계속된다면 이한구 위원장 말 대로 김 대표와 이 위원장중 한사람이 물러나야 해결되는데 그런 일은 상상할 수도 없고, 어떻게 결말이 날 것으로 예상하시나요?
<질문 6> 가정을 전제로 한 질문이기는 한데요, 과거에 새누리당 공천파문 뒤에 허주 김윤환씨가 뛰쳐나가서 민국당을 만든 적이 있고, '공천학살'을 당했다고 주장하는 일군의 후보들이 친박연대를 만든 적도 있었는데요. 혹시 경우에 따라 공천탈락자들의 탈당과 신당창당으로 여권분열 가능성은요?
<질문 7> 뭐니뭐니 해도 현 상황에서 외통수에 딱 걸린 사람은 김무성 대표일텐데요. 칼을 뽑았는데 칼집에 넣을 수도 없고, 정작 칼자루는 이한구 위원장이 쥐고 있고, 김 대표 어떻게 해야 합니까?
<질문 8> 과거부터 집권여당의 공천과정에선 최고집권자, 그러니까 대통령의 영향력이 늘 관심인데요. 박 대통령, 즉 박심이 작동할 가능성은 어떤가요?
<질문 9> 야당쪽 얘기로 옮겨보겠습니다. 우선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가 오늘 국회 비교섭단체 발언을 통해 대북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국민의당이 이상돈 교수의 영입으로 대북문제에 대한 정체성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안 대표는 오늘 연설에서 박 대통령 체제붕괴론 김종인 더민주당 대표의 북 궤멸론을 모두 비판하는 양비론을 보였는데요, 뭔가 어정쩡한 느낌이에요. 어떻습니까?
<질문 10> 안 대표 연설 결국 햇볕정책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상돈 교수와는 달리 햇볕정책의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취지로 보입니다. 디제이의 계승자를 자임했던 국민의당 대표로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어 보인데요. 그러다 보니 이념적 정체성이 뭐냐는 얘기도 나오네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1> 안 대표는 오늘 이상돈 교수가 요즘 말로 디스했던 정동영 의원을 순창으로 찾아가 합류를 요청할 것이라는 얘기도 들리는데 우선 이상돈 교수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질문 12> 안 대표 만약 정동영 전 의원 합류에 성공할 경우 이 교수와 정 전 의원 사이에서 샌드위치 신세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데 안 대표 앞으로의 행보는 어떨까요?
<질문 13>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의 거침없는 행보가 화제입니다. 김 대표는 어제 당 경제아카데미 강연에서 역대정부가 재벌 중심의 성장정책에 의존해 경제가 어려워졌다고 지적하면서 보수정권 뿐만 아니라 김대중·노무현 정부 역시 양극화를 심화시킨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어요. 어떻습니까?
<질문 14> 김 대표 발언들, 과거 더민주당 같았으면 당내 분란을 초래할 법한 발언 아닐까요? 일부에서는 전통적 지지층, 즉 집토끼도 놓치는 거 아니냐는 우려도 있는가 본데, 김 대표 영입이후 당이 안정돼 있으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분위기죠?
<질문 15> 정치권 낙수거리입니다. 안철수 대표의 보좌관을 지내다 사의를 표하고 당을 떠난 이모씨가 SNS에 올린 글이 화제입니다. 그는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에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익의 '성호사설' 글귀를 올려 "임금은 간언하는 신하가 없다는 사실을 걱정하지 말고, 신하의 간언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점을 근심해야 한다"고 했다는데요?
<질문 16> 금태섭씨 등 안철수 대표와 가까웠던 인사들이 곁을 떠나는 경우가 제법 있는데요, 뭔가 안철수 대표한테 문제가 있어서 있가요?
<질문 17> '증권업계의 돈키호테', '구조조정 전문가'라고 불리는 주진형 한화투자증권 대표가 어제 더불어민주당에 합류했다는 소식입니다. 김 대표, 주위에 자기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나요?
<질문 18> 어제 충청향우회 정기총회에는 김무성 천정배 대표와 정운찬 전 총리 등 거물들이 총집결해 관심을 모았는데요 정운찬 전 총리는 정치참여 여부를 묻는 기자들에게 "각당이 장단점이 있어 잘 모르겠다", "내 마음 나도 모르겠다"고 참여 여부에 대해 확답을 피했다는데 정 전 총리의 선택,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9> 이 질문은 정치권 외곽의 움직임인데요. 진보진영의 시민사회단체들이 낙선낙천운동을 시작했는데요. 순기능도 있겠지만 역기능도 잇을법한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출연 : 배병휴 월간 경제풍월 대표·김우석 미래전략개발연구소 부소장·유용화 시사평론가·최영일 시사평론가>
[앵커]
여의도는 바야흐로 선거시즌으로 급속히 빨려들어가고 있습니다.
집권 새누리당은 계파간 사활을 건 공천전쟁이 진행되고 있고, 야당에서는 이르면 내주에 전략공천자 명단이 발표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각시동이 걸린 여야의 선거채비, 오늘 전문가들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배병휴 월간 경제풍월 대표·김우석 미래전략개발연구소 부소장·유용화 시사평론가·최영일 시사평론가 모셨습니다.
<질문 1> 새누리당의 공천전쟁이 그야말로 점입가경입니다. 어제 김무성 대표 "선거 못하는 한이 있어도 안된다", 이한구 위원장 "당대표와 나 둘중 하나는 물러나야 한다”며 격하게 대립했는데 전선은 오늘 최고위원회로 다시 옮겨붙었습니다. 김무성 대표와 친박계 좌장 서청원 최고위원이 서로 고성까지 지르며 거친 말다툼을 했다는데요?
<질문 2> "당의 가장 책임있는 분들이 '막가파식 공중전'을 한다"는 김태호 최고위원의 말 그대로 낯뜨거운 새누리당 지도부의 모습입니다. 안보위기 속 공천문제를 둘러싼 집권여당의 격한 파열음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3> 그럼에도 친박·비박계가 서로 한치의 양보도 없이 공방을 벌이는 모양새인데 친박·비박 모두 이 문제가 선거후 권력구도와 직결돼 있다는 인식 때문인 것 같습니다.
<질문 4> 결국 사태의 본질은 친박계는 김무성의 공천룰 고수를 '대권을 염두에 둔 현역 지키기' 비박계는 이한구 안을 '현역 물갈이- 친박계 새 사람 꽂기', 로 보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건가요?
<질문 5> 이런 상태가 계속된다면 이한구 위원장 말 대로 김 대표와 이 위원장중 한사람이 물러나야 해결되는데 그런 일은 상상할 수도 없고, 어떻게 결말이 날 것으로 예상하시나요?
<질문 6> 가정을 전제로 한 질문이기는 한데요, 과거에 새누리당 공천파문 뒤에 허주 김윤환씨가 뛰쳐나가서 민국당을 만든 적이 있고, '공천학살'을 당했다고 주장하는 일군의 후보들이 친박연대를 만든 적도 있었는데요. 혹시 경우에 따라 공천탈락자들의 탈당과 신당창당으로 여권분열 가능성은요?
<질문 7> 뭐니뭐니 해도 현 상황에서 외통수에 딱 걸린 사람은 김무성 대표일텐데요. 칼을 뽑았는데 칼집에 넣을 수도 없고, 정작 칼자루는 이한구 위원장이 쥐고 있고, 김 대표 어떻게 해야 합니까?
<질문 8> 과거부터 집권여당의 공천과정에선 최고집권자, 그러니까 대통령의 영향력이 늘 관심인데요. 박 대통령, 즉 박심이 작동할 가능성은 어떤가요?
<질문 9> 야당쪽 얘기로 옮겨보겠습니다. 우선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가 오늘 국회 비교섭단체 발언을 통해 대북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국민의당이 이상돈 교수의 영입으로 대북문제에 대한 정체성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안 대표는 오늘 연설에서 박 대통령 체제붕괴론 김종인 더민주당 대표의 북 궤멸론을 모두 비판하는 양비론을 보였는데요, 뭔가 어정쩡한 느낌이에요. 어떻습니까?
<질문 10> 안 대표 연설 결국 햇볕정책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상돈 교수와는 달리 햇볕정책의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취지로 보입니다. 디제이의 계승자를 자임했던 국민의당 대표로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어 보인데요. 그러다 보니 이념적 정체성이 뭐냐는 얘기도 나오네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1> 안 대표는 오늘 이상돈 교수가 요즘 말로 디스했던 정동영 의원을 순창으로 찾아가 합류를 요청할 것이라는 얘기도 들리는데 우선 이상돈 교수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질문 12> 안 대표 만약 정동영 전 의원 합류에 성공할 경우 이 교수와 정 전 의원 사이에서 샌드위치 신세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데 안 대표 앞으로의 행보는 어떨까요?
<질문 13>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의 거침없는 행보가 화제입니다. 김 대표는 어제 당 경제아카데미 강연에서 역대정부가 재벌 중심의 성장정책에 의존해 경제가 어려워졌다고 지적하면서 보수정권 뿐만 아니라 김대중·노무현 정부 역시 양극화를 심화시킨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어요. 어떻습니까?
<질문 14> 김 대표 발언들, 과거 더민주당 같았으면 당내 분란을 초래할 법한 발언 아닐까요? 일부에서는 전통적 지지층, 즉 집토끼도 놓치는 거 아니냐는 우려도 있는가 본데, 김 대표 영입이후 당이 안정돼 있으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분위기죠?
<질문 15> 정치권 낙수거리입니다. 안철수 대표의 보좌관을 지내다 사의를 표하고 당을 떠난 이모씨가 SNS에 올린 글이 화제입니다. 그는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에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익의 '성호사설' 글귀를 올려 "임금은 간언하는 신하가 없다는 사실을 걱정하지 말고, 신하의 간언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점을 근심해야 한다"고 했다는데요?
<질문 16> 금태섭씨 등 안철수 대표와 가까웠던 인사들이 곁을 떠나는 경우가 제법 있는데요, 뭔가 안철수 대표한테 문제가 있어서 있가요?
<질문 17> '증권업계의 돈키호테', '구조조정 전문가'라고 불리는 주진형 한화투자증권 대표가 어제 더불어민주당에 합류했다는 소식입니다. 김 대표, 주위에 자기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나요?
<질문 18> 어제 충청향우회 정기총회에는 김무성 천정배 대표와 정운찬 전 총리 등 거물들이 총집결해 관심을 모았는데요 정운찬 전 총리는 정치참여 여부를 묻는 기자들에게 "각당이 장단점이 있어 잘 모르겠다", "내 마음 나도 모르겠다"고 참여 여부에 대해 확답을 피했다는데 정 전 총리의 선택,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9> 이 질문은 정치권 외곽의 움직임인데요. 진보진영의 시민사회단체들이 낙선낙천운동을 시작했는데요. 순기능도 있겠지만 역기능도 잇을법한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