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국민의당, 안철수-천정배 투톱체제 확정…배경은?
<출연 :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여상원 변호사·황태순 정치평론가·김형주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앵커]
국민의당 창당 소식과 정치권 이슈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여상원 변호사·황태순 정치평론가·김형주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나오셨습니다.
<질문 1> 침묵하겠다던 유승민 의원, 헌법 1조 2항 인용해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봄이 곧 올 거다". '진박 연대'에 정면으로 맞서겠다는 뜻을 밝힌 건가요?
<질문 2> 대통령 발목 잡았다에 이어 꿀리는 게 있는 사람이 나서서 반기 들더라. 또 유승민 의원을 겨냥한건가요? 최경환 전 총리, 유승민 의원 '타깃' 잡고 내려간 건가요?
<질문 3> 최경환 전 총리, 왜 이렇게 '진박 마케팅'에 목숨 거는 걸까요?
<질문 4> 대구서 유승민 의원 비판하던 최경환 전 총리, 부산 가서는 야당이 개혁 발목 잡았다고 성토했습니다. 김무성 대표 지역구서 김무성 대표를 의식해 계파 공격 자제한건가요?
<질문 5> 총선 코앞인데 여당 의원들은 술렁+눈치 보기 하고 있습니다. 유승민계 독자적으로 분화될지, 김무성계와 함께 비박 연대해서 친박과 맞설지 기로인데 가능성을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6> 공관위원장에 이한구 의원을 내정했다고 전해지는데요. 이르면 내일 발표 예정이라고 합니다. 위원 선임 전권 주장한 김무성 대표-친박과 어느 정도 선에서 합의 있었을까요?
<질문 7> 공관위원 구성방식에 최고위원 간 합의 못 하면 무효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공관위원장 합의해도 여전히 뇌관은 남아 있는 건가요?
<질문 8> 서울시당서 재입당 불허했고 최고위 결정만 남았는데요. 수도권 한 석이 아쉬운 새누리당 고민이 많을 것 같습니다. 역풍 생각하면 결국 불허가 가능성이 높나요?
<질문 9> 강용석 전 의원, 박 대통령 제부 신동욱 공화당 입당 제안 받았습니다. 튀는 행동으로 유명한 강용석 전 의원인데요. 여차하면 공화당 입당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10> 스캔들 메이커지만 강용석 전 의원, 대중성 등 선거에선 꽤 괜찮은 카드인 거 같은데요. 선거마다 ‘스타’에 러브콜 쇄도합니다. 올해 이색 출마자-영입대상 누가 있을까요?
<질문 11> 대중 사랑 등에 입고 국회 입성한 스타 꽤 많습니다. 스타 정치인 명암은 어떤가요?
▶ 야당 관련 대담
<질문 1> 국민의당, 안철수 천정배 투톱 체제로 공식 출범했습니다. 조율이 쉽지 않았다고 전해지는데, 결국 천정배 의원이 정치적 승리를 가져갔다고 봐야 할까요? 공동대표 체제, 정치적 계산이나 거래라는 인상을 풍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는데, 부작용 없을까요?
<질문 2> 창당은 했지만, 전 지역 지지율은 직하 중입니다. 사활을 건 교섭단체 구성에도 실패했다는 평가인데요. 총선 행보 시작하는데 뭔가 부양책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호남 지역 지지율 하락이 뼈아픈데, 이유 뭘까요? 회복 가능할까요?
<질문 3> 새누리당, 연일 김종일 위원장 때리기 나서고 있습니다. 원샷법 합의 파기 책임이 합의 당사자가 아니라 김종인 비대위원장에게 있다는 건데요 합당한 지적인가요?
<질문 3-1> 이종걸 원내대표는 선거법 통과도 같이하겠다는 이면합의, 비서면 합의를 여당이 먼저 안 지켰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데요, 누구 말이 진실일까요?
<질문 4> 이른바 '정윤회 문건' 유출 논란의 당사자죠. 조응천 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이 오늘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습니다. 문재인 전 대표의 마지막 작품으로 알려졌는데, 먼저 준비된 화면부터 잠깐 보시고, 관련 대담 이어가보죠.
<질문 5> 큰 판을 옮겨버리는 정치권 크로스 오버가 빈번하다.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라는 말, 지금처럼 실감이 되는 때가 없는데, ‘철새’라고 폄하하기만은 어려운 측면도 있지 않나. 이념적 담 넘는 현상, 왜 나타나나요?
<질문 6> 끝으로, 청와대에서 재밌는 소식이 하나 들어왔는데요. 아시다시피 오늘이 박근혜 대통령 64번째 생일인데, 김무성 대표가 보낸 선물은 받고 김종인 위원장이 보낸 선물은 안 받았다고 해요. 가벼운 해프닝이긴 합니다만, 어떤 뜻으로 봐야 할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출연 :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여상원 변호사·황태순 정치평론가·김형주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앵커]
국민의당 창당 소식과 정치권 이슈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여상원 변호사·황태순 정치평론가·김형주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나오셨습니다.
<질문 1> 침묵하겠다던 유승민 의원, 헌법 1조 2항 인용해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봄이 곧 올 거다". '진박 연대'에 정면으로 맞서겠다는 뜻을 밝힌 건가요?
<질문 2> 대통령 발목 잡았다에 이어 꿀리는 게 있는 사람이 나서서 반기 들더라. 또 유승민 의원을 겨냥한건가요? 최경환 전 총리, 유승민 의원 '타깃' 잡고 내려간 건가요?
<질문 3> 최경환 전 총리, 왜 이렇게 '진박 마케팅'에 목숨 거는 걸까요?
<질문 4> 대구서 유승민 의원 비판하던 최경환 전 총리, 부산 가서는 야당이 개혁 발목 잡았다고 성토했습니다. 김무성 대표 지역구서 김무성 대표를 의식해 계파 공격 자제한건가요?
<질문 5> 총선 코앞인데 여당 의원들은 술렁+눈치 보기 하고 있습니다. 유승민계 독자적으로 분화될지, 김무성계와 함께 비박 연대해서 친박과 맞설지 기로인데 가능성을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6> 공관위원장에 이한구 의원을 내정했다고 전해지는데요. 이르면 내일 발표 예정이라고 합니다. 위원 선임 전권 주장한 김무성 대표-친박과 어느 정도 선에서 합의 있었을까요?
<질문 7> 공관위원 구성방식에 최고위원 간 합의 못 하면 무효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공관위원장 합의해도 여전히 뇌관은 남아 있는 건가요?
<질문 8> 서울시당서 재입당 불허했고 최고위 결정만 남았는데요. 수도권 한 석이 아쉬운 새누리당 고민이 많을 것 같습니다. 역풍 생각하면 결국 불허가 가능성이 높나요?
<질문 9> 강용석 전 의원, 박 대통령 제부 신동욱 공화당 입당 제안 받았습니다. 튀는 행동으로 유명한 강용석 전 의원인데요. 여차하면 공화당 입당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10> 스캔들 메이커지만 강용석 전 의원, 대중성 등 선거에선 꽤 괜찮은 카드인 거 같은데요. 선거마다 ‘스타’에 러브콜 쇄도합니다. 올해 이색 출마자-영입대상 누가 있을까요?
<질문 11> 대중 사랑 등에 입고 국회 입성한 스타 꽤 많습니다. 스타 정치인 명암은 어떤가요?
▶ 야당 관련 대담
<질문 1> 국민의당, 안철수 천정배 투톱 체제로 공식 출범했습니다. 조율이 쉽지 않았다고 전해지는데, 결국 천정배 의원이 정치적 승리를 가져갔다고 봐야 할까요? 공동대표 체제, 정치적 계산이나 거래라는 인상을 풍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는데, 부작용 없을까요?
<질문 2> 창당은 했지만, 전 지역 지지율은 직하 중입니다. 사활을 건 교섭단체 구성에도 실패했다는 평가인데요. 총선 행보 시작하는데 뭔가 부양책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호남 지역 지지율 하락이 뼈아픈데, 이유 뭘까요? 회복 가능할까요?
<질문 3> 새누리당, 연일 김종일 위원장 때리기 나서고 있습니다. 원샷법 합의 파기 책임이 합의 당사자가 아니라 김종인 비대위원장에게 있다는 건데요 합당한 지적인가요?
<질문 3-1> 이종걸 원내대표는 선거법 통과도 같이하겠다는 이면합의, 비서면 합의를 여당이 먼저 안 지켰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데요, 누구 말이 진실일까요?
<질문 4> 이른바 '정윤회 문건' 유출 논란의 당사자죠. 조응천 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이 오늘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습니다. 문재인 전 대표의 마지막 작품으로 알려졌는데, 먼저 준비된 화면부터 잠깐 보시고, 관련 대담 이어가보죠.
<질문 5> 큰 판을 옮겨버리는 정치권 크로스 오버가 빈번하다.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라는 말, 지금처럼 실감이 되는 때가 없는데, ‘철새’라고 폄하하기만은 어려운 측면도 있지 않나. 이념적 담 넘는 현상, 왜 나타나나요?
<질문 6> 끝으로, 청와대에서 재밌는 소식이 하나 들어왔는데요. 아시다시피 오늘이 박근혜 대통령 64번째 생일인데, 김무성 대표가 보낸 선물은 받고 김종인 위원장이 보낸 선물은 안 받았다고 해요. 가벼운 해프닝이긴 합니다만, 어떤 뜻으로 봐야 할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