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김무성, '권력자' 이은 '완장론'
<출연 :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사회통합전략연구원 민영삼 원장·두문정치전략연구소 서양호 부소장·장성호 건국대 교수>
<질문 1> 새누리당 김무성대표가 연일 청와대와 친박계를 겨냥한 비판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먼저 관련발언부터 듣고 오죠.
<질문 2> 일단 청와대와 친박계는 확전을 자제하는 분위긴데, 결국 공천관리와 총선전략, 또 이후 당권 경쟁 과정에서 계파 갈등이 폭발할 개연성은 언제든 있겠죠? 결국 양측의 대선레이스가 시작됐다고 봐도 될까요?
<질문 3> 새누리당 '투톱'의 기류가 심상찮습니다. 최근 건건이 입장차를 보이고 있는데, 이번엔 조훈현 9단 영입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죠?
<질문 4> 당내에서도 김대표와 '신박' 원유철 원내대표 간 공방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는데, 최경환 전 부총리가 일단 당 복귀 초반 몸을 낮추자 원 원내대표가 전면에 나서 김대표와 맞붙는 형국으로 읽어도 될까요?
<질문 5> 최경환 부총리, 국회복귀 후 친박구심점이 될 것이란 전망이 많았는데, 실제 최의원이 고향인 대구·경북의 '물갈이'기조부터 거들고 나섰습니다. "TK의원들 정부가 힘들 때 안 보이더라"는 발언을 한건 데, 물갈이 타깃은 유승민 의원과 그의 측근이 될까요?
<질문 6> 야당으로 가보죠. 더민주는 김종인비대위 체제가 출범하면서 문재인대표는 1년 만에 물러나 평당원으로 돌아갔습니다.
<질문 7> 한편 김종인위원장은 취임 첫 일정으로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을 찾았습니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묘소는 물론 이승만 박정희 전 대통령의 묘역까지 참배했는데, 중도, 보수세력까지 아우르겠다는 거겠죠?
<질문 8> 앞서, 김위원장은 자신의 국보위 참여 논란과 관련, "광주분들께 죄송하다"고 공식사과 했었는데, 관련 발언 들어보시죠.
<질문 9> 이 가운데, 김위원장이 비대위에 이종걸 원내대표를 제외시켰습니다. 이 원내대표가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국민의 당은 "친노 패권주의의 극단으로, 사실상 원내대표 탄핵"이라며 틈새를 노렸는데요. 사실 이종걸 원내대표가 비노계를 상징하지 않습니까?
<질문 10> 한편, 김종인위원장은 "아직 낙제점이라 해도 77일 남은 총선까지 하루 1점씩 전진하겠다"는 언급을 했죠? 김위원장이 고수하겠다고 밝힌 하위20% 컷오프 등의 인적쇄신으로 총선 승리가 가능할까요?
<질문 11> 김종인비대위의 중도 외연확장의 노력과 달리, 당내 돌출행동은 여전합니다. 표창원비대위원이 새누리당을 극우 전체주의 정당으로 지칭하는 등의 자극적인 표현을 언급해 논란이 예상되던데요?
<질문 12> 국민의당으로도 가보죠. 박주선의원이 국민의당에 합류했습니다. 국민의당이 교섭단체구성엔 한발 다가섰는데, 기성 정치인의 잇따른 합류에 '새정치' 이미지가 퇴색됐다는 평가도 나오던데요?
<질문 13> 안철수의원이 호남에 기반을 둔 정치 세력과 합치면서 국민의당이 덩치를 키우곤 있지만, 지역적 편중이라는 한계를 못 넘는 것이란 지적도 있던데요?
<질문 14> 당장 총선에서 다양한 세력들이 다른 목소리를 낼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호남 경쟁, 수도권 연대를 주장해온 천정배의원과 달리 박주선의원은 연대에 부정적이죠?
<질문 15> 선거연대가 이뤄줘 3자구도로 되면 필패할 가능성이 큰 지역에서도 후보 간 연대 없을까요? 물론 여권의 야합 비난은 피할 순 없겠지만요?
<질문 16> 끝으로, 국민의당 안철수의원과 김한길의원간 갈등설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공개회의석상에서도 어색한 악수만 주고 받던데, 이 양측의 갈등설의 근본원인은 어디에 있다고 보세요?
정치권 이슈는 여기까지 다뤄보죠.
지금까지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사회통합전략연구원 민영삼 원장·두문정치전략연구소 서양호 부소장·장성호 건국대 교수와 말씀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출연 :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사회통합전략연구원 민영삼 원장·두문정치전략연구소 서양호 부소장·장성호 건국대 교수>
<질문 1> 새누리당 김무성대표가 연일 청와대와 친박계를 겨냥한 비판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먼저 관련발언부터 듣고 오죠.
<질문 2> 일단 청와대와 친박계는 확전을 자제하는 분위긴데, 결국 공천관리와 총선전략, 또 이후 당권 경쟁 과정에서 계파 갈등이 폭발할 개연성은 언제든 있겠죠? 결국 양측의 대선레이스가 시작됐다고 봐도 될까요?
<질문 3> 새누리당 '투톱'의 기류가 심상찮습니다. 최근 건건이 입장차를 보이고 있는데, 이번엔 조훈현 9단 영입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죠?
<질문 4> 당내에서도 김대표와 '신박' 원유철 원내대표 간 공방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는데, 최경환 전 부총리가 일단 당 복귀 초반 몸을 낮추자 원 원내대표가 전면에 나서 김대표와 맞붙는 형국으로 읽어도 될까요?
<질문 5> 최경환 부총리, 국회복귀 후 친박구심점이 될 것이란 전망이 많았는데, 실제 최의원이 고향인 대구·경북의 '물갈이'기조부터 거들고 나섰습니다. "TK의원들 정부가 힘들 때 안 보이더라"는 발언을 한건 데, 물갈이 타깃은 유승민 의원과 그의 측근이 될까요?
<질문 6> 야당으로 가보죠. 더민주는 김종인비대위 체제가 출범하면서 문재인대표는 1년 만에 물러나 평당원으로 돌아갔습니다.
<질문 7> 한편 김종인위원장은 취임 첫 일정으로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을 찾았습니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묘소는 물론 이승만 박정희 전 대통령의 묘역까지 참배했는데, 중도, 보수세력까지 아우르겠다는 거겠죠?
<질문 8> 앞서, 김위원장은 자신의 국보위 참여 논란과 관련, "광주분들께 죄송하다"고 공식사과 했었는데, 관련 발언 들어보시죠.
<질문 9> 이 가운데, 김위원장이 비대위에 이종걸 원내대표를 제외시켰습니다. 이 원내대표가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국민의 당은 "친노 패권주의의 극단으로, 사실상 원내대표 탄핵"이라며 틈새를 노렸는데요. 사실 이종걸 원내대표가 비노계를 상징하지 않습니까?
<질문 10> 한편, 김종인위원장은 "아직 낙제점이라 해도 77일 남은 총선까지 하루 1점씩 전진하겠다"는 언급을 했죠? 김위원장이 고수하겠다고 밝힌 하위20% 컷오프 등의 인적쇄신으로 총선 승리가 가능할까요?
<질문 11> 김종인비대위의 중도 외연확장의 노력과 달리, 당내 돌출행동은 여전합니다. 표창원비대위원이 새누리당을 극우 전체주의 정당으로 지칭하는 등의 자극적인 표현을 언급해 논란이 예상되던데요?
<질문 12> 국민의당으로도 가보죠. 박주선의원이 국민의당에 합류했습니다. 국민의당이 교섭단체구성엔 한발 다가섰는데, 기성 정치인의 잇따른 합류에 '새정치' 이미지가 퇴색됐다는 평가도 나오던데요?
<질문 13> 안철수의원이 호남에 기반을 둔 정치 세력과 합치면서 국민의당이 덩치를 키우곤 있지만, 지역적 편중이라는 한계를 못 넘는 것이란 지적도 있던데요?
<질문 14> 당장 총선에서 다양한 세력들이 다른 목소리를 낼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호남 경쟁, 수도권 연대를 주장해온 천정배의원과 달리 박주선의원은 연대에 부정적이죠?
<질문 15> 선거연대가 이뤄줘 3자구도로 되면 필패할 가능성이 큰 지역에서도 후보 간 연대 없을까요? 물론 여권의 야합 비난은 피할 순 없겠지만요?
<질문 16> 끝으로, 국민의당 안철수의원과 김한길의원간 갈등설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공개회의석상에서도 어색한 악수만 주고 받던데, 이 양측의 갈등설의 근본원인은 어디에 있다고 보세요?
정치권 이슈는 여기까지 다뤄보죠.
지금까지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사회통합전략연구원 민영삼 원장·두문정치전략연구소 서양호 부소장·장성호 건국대 교수와 말씀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