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문재인 내일 사퇴 예정…김종인 '거침없이 하이킥'
<출연 : 한양대 고영신 특임교수ㆍ여상원 변호사ㆍ황태순 정치평론가ㆍ장안대 박창환 교수>
더불어민주당 노영민ㆍ신기남 의원이 당내 첫 현역 의원 공천 배제 대상이 되었습니다.
김종인 체제의 본격적인 가동 첫날에 이뤄진 칼바람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주목되고 있는데요.
오늘 정치권 소식,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ㆍ여상원 변호사ㆍ황태순 정치평론가ㆍ박창환 장안대 교수 모시고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문재인 대표, 김상곤 전 혁신위원장에 인재영입 위원장직 승계하고 인재영입위를 구성했습니다. 내일 당 중앙위서 사퇴 예정돼 있음을 감안하면 대표로서 마지막 공식 활동이 인재영입위 구성이었나요?
<질문 2> 탈당 정국이라는 위기 앞에서 김종인 위원장을 영입하고 박영선 의원을 잔류시키고 문재인 대표, 이 정도면 '명분있는 사퇴'라고 할 수 있나요? 문재인 대표직 사퇴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3> 더민주행 택한 'DJ 3남' 김홍걸 씨의 향후 역할에 대해 여전히 말 많습니다. 목포 출마에 비례대표 내정설 계속 나오고 있는데 가능성을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4> 김홍걸 씨 만큼 박주민 변호사의 더민주당 입당에 설왕설래 쏟아졌습니다. 갈수록 제 색깔 내고 있다는 비판도 있는데요?
<질문 5> '노장 구원투수'로 긴급 투입된 뒤 장악력 과시하는 김종인 위원장, 첫 작품은 신기남-노영민 의원 공천 불가란 중징계 내렸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6> 문재인 대표, '친노 핵심' 노영민 신기남 의원 중징계에 특히 안타까워 했는데요. "앞으로 재심 절차도 있고 하니까"라며 여지 남겼는데 두 사람 돕기 나설까요?
<질문 6-1> 노영민 의원, 청주 흥덕을 무주공산에 충북도당위원장 자격 박탈 됩니다. 총선 2개월 앞두고 졸지에 사공 잃은 배 신세가 됐는데요. 노영민 의원 공천불가, 충북 총선 판도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7> 노영민-신기남 의원, 공천배제 중징계가 인적쇄신 신호탄인가요? 현역 물갈이의 공포감이 엄습하는 분위기인데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8> 김종인 위원장, 주변 사람들과 세세히 상의하기 보다는 혼자 결정하는 깜깜이 스타일이라는 평가도 있는데요. 부작용 없을까요?
<질문 9> 김종인 위원장을 한라봉으로 만들겠다며 특히 이종걸, 적극 엄호 나섰다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10> 천정배 의원-국민의당 통합 합의하자 더민주당, 천정배 의원이 공동비대위원장에 5:5 지분 등 구체적 조건까지 제시했다가 신의 저버렸다고 공개하면서 반격했는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11> 천정배 의원-정동영 전 장관과 3자 통합 추진 합의하던 박주선 의원도 천정배 의원에 배신감을 토로 했습니다. 뭔가 다급하고 찝찝한, 감동 없는 통합이었다는 평가 였는데요?
<질문 12> 천정배 의원, 여러 길 중에 안철수 의원을 택한 것은 국민의당이 더민주당보다 더 큰 조건을 제시했 것이다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가능성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13> 호남서 지지율 하락보이고 있던 국민의당과 천정배 의원의 통합이 시너지 효과 낼지 미지수인데요. 공천룰-호남의원 물갈이-당대표 선출 등 갈등 뇌관 수두룩 합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14> 문재인 대표, 안철수 의원으로 총선 양강 구도가 굳어질수록 전체적인 야권 연대는 어려워질 공산이 큰데요. 더민주당, 국민의당이 동시에 후보를 낸 지역이 벌써 서울 48개 지역구 중 18곳이라는 조사가 나왔습니다. 연대 없을 경우 쉽게 당선 장담이 안 되는 지역, 어디인가요?
<질문 14-1> 선거일 다가올수록 결국 묻지마 야권연대, 현실론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크지 않나요?
<질문 15> 방향을 여당 쪽으로 좀 바꿔볼까 하는데요. 이미 불출마 선언한 김태호 의원에게 김무성 대표와 친박 중진 의원들이 연달아 서울 험지 출마를 요청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단 본인은 어렵다고 밝혔는데 출마로 가닥을 잡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15-1> 구체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 지역구인 마포을이 거론됐는데 정청래 의원이 SNS에 센 발언을 올렸어요. "김무성 대표, 험지 중 험지인 마포을 정청래에게 도전하라" "누가 나오든 멘탈붕괴를 선물하겠다"…도발했는데 진심이 담겨 있다고 보시나요? 그런데 정청래 의원이 쓴 말들, "안대희도 피해간 험지 중 험지에 나서라" "좀 더 쎈 선수를 선발해라"…김무성 대표의 상향식 공천 약속, 리더십, 에둘러 겨냥했다는 인상도 있습니다
<질문 16> 당내에서도 어제 홍문종 의원이 김무성 대표에게 보란 듯이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김무성 대표의 선거 전략이 잘못됐다, 다른 목적이 있다는 주장입니다. 상당히 심각한 이의제기이면서 또 반복돼온 이야기인데 총선 얼마 안 남은 상황에서 조치가 필요하지 않겠나요? 최경환 의원 역할론이 새누리당으로서는 선거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줄까요?
<질문 17> 공천관리위원장에는 결국 친박계 이한구 의원이 유력하고…김무성 대표가 한 발 물러설 수밖에 없었던 것 같은데 김 대표 입지에 어떤 변수가 될 것이라고 보시나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출연 : 한양대 고영신 특임교수ㆍ여상원 변호사ㆍ황태순 정치평론가ㆍ장안대 박창환 교수>
더불어민주당 노영민ㆍ신기남 의원이 당내 첫 현역 의원 공천 배제 대상이 되었습니다.
김종인 체제의 본격적인 가동 첫날에 이뤄진 칼바람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주목되고 있는데요.
오늘 정치권 소식,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ㆍ여상원 변호사ㆍ황태순 정치평론가ㆍ박창환 장안대 교수 모시고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문재인 대표, 김상곤 전 혁신위원장에 인재영입 위원장직 승계하고 인재영입위를 구성했습니다. 내일 당 중앙위서 사퇴 예정돼 있음을 감안하면 대표로서 마지막 공식 활동이 인재영입위 구성이었나요?
<질문 2> 탈당 정국이라는 위기 앞에서 김종인 위원장을 영입하고 박영선 의원을 잔류시키고 문재인 대표, 이 정도면 '명분있는 사퇴'라고 할 수 있나요? 문재인 대표직 사퇴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3> 더민주행 택한 'DJ 3남' 김홍걸 씨의 향후 역할에 대해 여전히 말 많습니다. 목포 출마에 비례대표 내정설 계속 나오고 있는데 가능성을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4> 김홍걸 씨 만큼 박주민 변호사의 더민주당 입당에 설왕설래 쏟아졌습니다. 갈수록 제 색깔 내고 있다는 비판도 있는데요?
<질문 5> '노장 구원투수'로 긴급 투입된 뒤 장악력 과시하는 김종인 위원장, 첫 작품은 신기남-노영민 의원 공천 불가란 중징계 내렸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6> 문재인 대표, '친노 핵심' 노영민 신기남 의원 중징계에 특히 안타까워 했는데요. "앞으로 재심 절차도 있고 하니까"라며 여지 남겼는데 두 사람 돕기 나설까요?
<질문 6-1> 노영민 의원, 청주 흥덕을 무주공산에 충북도당위원장 자격 박탈 됩니다. 총선 2개월 앞두고 졸지에 사공 잃은 배 신세가 됐는데요. 노영민 의원 공천불가, 충북 총선 판도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7> 노영민-신기남 의원, 공천배제 중징계가 인적쇄신 신호탄인가요? 현역 물갈이의 공포감이 엄습하는 분위기인데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8> 김종인 위원장, 주변 사람들과 세세히 상의하기 보다는 혼자 결정하는 깜깜이 스타일이라는 평가도 있는데요. 부작용 없을까요?
<질문 9> 김종인 위원장을 한라봉으로 만들겠다며 특히 이종걸, 적극 엄호 나섰다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10> 천정배 의원-국민의당 통합 합의하자 더민주당, 천정배 의원이 공동비대위원장에 5:5 지분 등 구체적 조건까지 제시했다가 신의 저버렸다고 공개하면서 반격했는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11> 천정배 의원-정동영 전 장관과 3자 통합 추진 합의하던 박주선 의원도 천정배 의원에 배신감을 토로 했습니다. 뭔가 다급하고 찝찝한, 감동 없는 통합이었다는 평가 였는데요?
<질문 12> 천정배 의원, 여러 길 중에 안철수 의원을 택한 것은 국민의당이 더민주당보다 더 큰 조건을 제시했 것이다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가능성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13> 호남서 지지율 하락보이고 있던 국민의당과 천정배 의원의 통합이 시너지 효과 낼지 미지수인데요. 공천룰-호남의원 물갈이-당대표 선출 등 갈등 뇌관 수두룩 합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14> 문재인 대표, 안철수 의원으로 총선 양강 구도가 굳어질수록 전체적인 야권 연대는 어려워질 공산이 큰데요. 더민주당, 국민의당이 동시에 후보를 낸 지역이 벌써 서울 48개 지역구 중 18곳이라는 조사가 나왔습니다. 연대 없을 경우 쉽게 당선 장담이 안 되는 지역, 어디인가요?
<질문 14-1> 선거일 다가올수록 결국 묻지마 야권연대, 현실론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크지 않나요?
<질문 15> 방향을 여당 쪽으로 좀 바꿔볼까 하는데요. 이미 불출마 선언한 김태호 의원에게 김무성 대표와 친박 중진 의원들이 연달아 서울 험지 출마를 요청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단 본인은 어렵다고 밝혔는데 출마로 가닥을 잡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15-1> 구체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 지역구인 마포을이 거론됐는데 정청래 의원이 SNS에 센 발언을 올렸어요. "김무성 대표, 험지 중 험지인 마포을 정청래에게 도전하라" "누가 나오든 멘탈붕괴를 선물하겠다"…도발했는데 진심이 담겨 있다고 보시나요? 그런데 정청래 의원이 쓴 말들, "안대희도 피해간 험지 중 험지에 나서라" "좀 더 쎈 선수를 선발해라"…김무성 대표의 상향식 공천 약속, 리더십, 에둘러 겨냥했다는 인상도 있습니다
<질문 16> 당내에서도 어제 홍문종 의원이 김무성 대표에게 보란 듯이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김무성 대표의 선거 전략이 잘못됐다, 다른 목적이 있다는 주장입니다. 상당히 심각한 이의제기이면서 또 반복돼온 이야기인데 총선 얼마 안 남은 상황에서 조치가 필요하지 않겠나요? 최경환 의원 역할론이 새누리당으로서는 선거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줄까요?
<질문 17> 공천관리위원장에는 결국 친박계 이한구 의원이 유력하고…김무성 대표가 한 발 물러설 수밖에 없었던 것 같은데 김 대표 입지에 어떤 변수가 될 것이라고 보시나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