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백의종군' 문재인, 총선성적표에 정치적 명운 걸어

<출연 : 송영선 새누리당 전 의원ㆍ황태순 정치평론가ㆍ장안대 박창환 교수ㆍ오피니언라이브 윤희웅 여론분석센터장>

문재인 대표는 선대위가 안정 되는대로 대표직에서 물러나 백의종군하겠다고 했습니다.

탈당을 선언한 조경태 의원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송영선 새누리당 전 의원, 황태순 정치평론가, 박창환 장안대 교수,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 모시고 정치권 이야기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문재인 대표, 신년회견이 고별회견 됐나요?

<질문 2> 불명예 사퇴지만 문재인 입장에서는 김종인 전격 영입으로 반전 계기는 마련하고 2선 후퇴 하나요?

<질문 3> 문재인, 사퇴 예고하면서 천정배와 정의당에 통합 공식 논의 전환 제의하는 승부수도 띄었습니다. 전망은 어떤가요?

<질문 4> '선대위 안정 되는대로'라는 조건을 달았지만 사퇴 선언이나 마찬가지라고 보입니다. 탈당 시기와 방법 등 전망은 어떤가요? 대표 사퇴까지 어떤 절차 남았나요?

<질문 5> 더민주당 내부 조직 없는 김종인, 문재인 도움 없인 전권 힘들다…문재인 대표가 사퇴해도 아예 빠지는 것은 힘든가요?

<질문 6> 김종인, '포스트 문재인' 체제 정비 속도 낼 텐데 추가 탈당 흐름 막고 새로운 인재 수혈이 과제입니다. 박영선 잡고 정운찬 데려올 수 있을까요?

<질문 7> 문자 메시지 카메라에 포착 돼 난처한 상황 여러 번 있었죠. 정치인들 사이에서는 핸드폰 조심령도 있다고 합니다. 문병호, 문재인-안철수가 '러브콜'을 보내는 박영선 잡으려고 일부러 공개했나요?

<질문 8> 김종인, 선대위 인선 발표에 정말 친노 1명도 없을까요? 친노 반발은 없을까요?

<질문 9> 24일 광주행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호남의 반문 정서 돌릴 수 있을까요?

<질문 10> '친노 패권주의' 때문에 탈당하겠다던 비주류들, 문재인 기자회견으로 탈당 미룰 명분 생겼나요?

<질문 11> 이러지도 저러지도 않는 당내 인사들에 비판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김종인, 선대위원장 공개 기자회견하는 날 '얼굴 도장' 찍은 이종걸, 은근슬쩍 주저앉기인가요?

<질문 12> 사실 조경태 탈당은 어느 정도 예상했던 일이고 탈당보다 새누리당행 결심한 것이 충격적입니다.

<질문 13> 오전부터 하태경은 "조경태, 새누리당 입당" 흘리고 다녔다고 합니다. 하태경 말대로 조경태는 새누리당 노선과 비슷한가요?

<질문 14> '친노 패권주의' 비판하며 탈당하는 조경태의 새누리당행, 더민주당보다 국민의당에 더 큰 타격인가요?

<질문 16> 조경태의 가장 큰 메리트는 '민주당(야권)-부산 3선'이라고 합니다. 민주당 아닌 여당 유니폼 입고 부산 가면 메리트 없어지나요?

<질문 17> 조경태 탈당에 허남식 전 부산시장 출마 선언 임박했습니다. 서부산 요동치나요?

<질문 18> 국민의당, 호남 지지율이 일주일 사이 1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호남에서 수도권으로 확산됐던 안풍, 덜미를 잡힌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데 이유가 무엇이라고 보세요?

<질문 19> 한상진 위원장이 꺼낸 '이승만 국부론', 박정희 전 대통령에 재평가를 준비하고 있다는 발언으로까지 커져버렸습니다. 창준위 차원에서 급히 진화에 나섰는데 오히려 창준위원장이 당 공식입장과 다른 개인의견으로 물의를 빚는 상황이 됐죠.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질문 20> 한상진 위원장이 부적절한 실언을 했고 또 본인이 취소한 것 같다는 것인데 어떻게 보세요. 더민주당으로서는 더 끌고 갈 용의가 있다고 보세요?

<질문 21> 이승만 국부론이 한상진ㆍ김종인, '돌아온 노병들'의 싸움 양상으로 번졌는데요. 정작 또 한 분 윤여준 전 장관 모습이 보이질 않죠. 안철수 의원에 따르면 현재 병상에서 국민의당 인재영입을 돕고 있다고 하는데 거취에 대해서 이런저런 루머들이 나오는 모양이죠. 신빙성이 있다고 보세요?

<질문 22> 마지막으로 북한 관련한 질문도 짧게 드리고 끝내겠습니다. 송 의원님, 어제, 북한이 보낸 대남 삐라 수 만장이 또 발견됐다고 하는데요. 우리 쪽은 대북 확성기 방송으로만 대응하고 있죠. 정부가 강력한 제재 방안을 예고한 이상 더 적극적인 대응 수단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주장도 나오는데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요?

<질문 22-1> 최근 사망한 김양건 통일전선부장 후임으로 김영철 정찰총국장이 내정됐다고 하는데요. 강경파 김영철을 대남정책 총괄로 임명한 것, 노선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봐야겠죠? 결국 우리 측도 강경 대응으로 밀어붙여야 한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