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8ㆍ25 합의 주역' 北 김양건 사망
<출연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ㆍ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ㆍ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ㆍ김성민 자유북한방송 대표>
북한의 대남정책을 총괄해온 김양건 노동당 비서가 어제 교통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의 죽음이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오늘 이 시간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김성민 자유북한방송 대표 모시고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어제 오전 김양건 노동당 비서가 사망했다는 소식입니다. 김비서는 대남정책을 주도했던 인물로 평가를 받고 있는데 먼저, 김양건 어떤 인물입니까?
<질문 2> 대남 부분에서 상당 부분 직접적인 정책 집행을 하는 비서이고 당적으로 상당히 뛰어난 인물이죠? 김정은의 이모라고 까지 불린다던데요?
<질문 3> 지금 북한의 보도로는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이라는데, 이 발표 그대로 믿어도 될까요? 여러 의혹도 나오고 있던데요?
<질문 4> 과거 2005년도경에 당시 김용순 대남비서가 교통사고로 사망했던 일은 있습니다만, 김양건도 교통사고 사망, 단순 교통사고인지? 아니면 어떤 권력암투사이에서 위장 교통사고인지? 어떻게 보세요?
<질문 5> 가능성에 불과하지만, 만일 이번 사망이 정치적 타살 가능성이 있다면그 배경이 궁금한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김양건비서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최측근 실세로 이른바 '이너 서클멤버'라고 할 수 있죠? 이 이너서클 내에서의 권력암투 가능성은 있을 수 있을까요?
<질문 7> 김양건 비서의 사망을 두고 일각에선 숙청의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인데요. 장례위원에 김정은 위원장이 포함되 있다면, 숙청의 가능성은 배제될 수 있을까요?
<질문 8> 또 관심이 되는 것이 김양건비서의 장례위원에 명단입니다. 최룡해, 김정은이 포함돼 있다고 하는데, 최룡해는 해임되었다가 다시 복권되는 걸로 봐야할까요?
<질문 9> 김양건 비서는 지난 8월 남북관계가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닫는 최악의 상황에서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에 나온 인물이죠. 대표적인 대남통이자 김정은의 최측근인사인데, 김양건의 부재, 김정은에게 타격이 있겠죠?
<질문 10> 김양건의 후임자는 누가 될 것으로 전망하세요? 통전부 부부장급 중에 발탁될 가능성이 당장 예상이 되거든요?
<질문 11> 김양건은 대표적인 온건파였습니다. 만일 강경파가 후임이 될 경우 당장 남북관계에 영향을 미치겠죠?
<질문 12> 우리정부가 오랜 대화채널이자, 온건파였던 김양건의 사망이후, 대북관계를 어떻게 가져가야할지도 고민해봐야 할 텐데요? 외교부와 통일부의 대응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문 13> 김양건의 사망으로 북중관계도 영향이 미칠텐데, 장성택의 사망이후 최룡해가 담당하다가 최룡해마저 혁명화교육으로 사실상 정치적숙청을 맞았죠? 중국과의 채널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질문 14> 북미, 북일관계에도 영향을 미칠텐데요, 김정은체제 외교의 방향 어떻게 전망하세요?
<질문 15> 김양건 비서가 과거에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때 조문을 오기도 했는데요. 우리 정부는 김양건의 사망에 어떤 식으로 조의를 표할 것으로 보십니까?
[뉴스포커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출연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ㆍ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ㆍ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ㆍ김성민 자유북한방송 대표>
북한의 대남정책을 총괄해온 김양건 노동당 비서가 어제 교통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의 죽음이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오늘 이 시간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김성민 자유북한방송 대표 모시고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어제 오전 김양건 노동당 비서가 사망했다는 소식입니다. 김비서는 대남정책을 주도했던 인물로 평가를 받고 있는데 먼저, 김양건 어떤 인물입니까?
<질문 2> 대남 부분에서 상당 부분 직접적인 정책 집행을 하는 비서이고 당적으로 상당히 뛰어난 인물이죠? 김정은의 이모라고 까지 불린다던데요?
<질문 3> 지금 북한의 보도로는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이라는데, 이 발표 그대로 믿어도 될까요? 여러 의혹도 나오고 있던데요?
<질문 4> 과거 2005년도경에 당시 김용순 대남비서가 교통사고로 사망했던 일은 있습니다만, 김양건도 교통사고 사망, 단순 교통사고인지? 아니면 어떤 권력암투사이에서 위장 교통사고인지? 어떻게 보세요?
<질문 5> 가능성에 불과하지만, 만일 이번 사망이 정치적 타살 가능성이 있다면그 배경이 궁금한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김양건비서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최측근 실세로 이른바 '이너 서클멤버'라고 할 수 있죠? 이 이너서클 내에서의 권력암투 가능성은 있을 수 있을까요?
<질문 7> 김양건 비서의 사망을 두고 일각에선 숙청의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인데요. 장례위원에 김정은 위원장이 포함되 있다면, 숙청의 가능성은 배제될 수 있을까요?
<질문 8> 또 관심이 되는 것이 김양건비서의 장례위원에 명단입니다. 최룡해, 김정은이 포함돼 있다고 하는데, 최룡해는 해임되었다가 다시 복권되는 걸로 봐야할까요?
<질문 9> 김양건 비서는 지난 8월 남북관계가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닫는 최악의 상황에서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에 나온 인물이죠. 대표적인 대남통이자 김정은의 최측근인사인데, 김양건의 부재, 김정은에게 타격이 있겠죠?
<질문 10> 김양건의 후임자는 누가 될 것으로 전망하세요? 통전부 부부장급 중에 발탁될 가능성이 당장 예상이 되거든요?
<질문 11> 김양건은 대표적인 온건파였습니다. 만일 강경파가 후임이 될 경우 당장 남북관계에 영향을 미치겠죠?
<질문 12> 우리정부가 오랜 대화채널이자, 온건파였던 김양건의 사망이후, 대북관계를 어떻게 가져가야할지도 고민해봐야 할 텐데요? 외교부와 통일부의 대응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문 13> 김양건의 사망으로 북중관계도 영향이 미칠텐데, 장성택의 사망이후 최룡해가 담당하다가 최룡해마저 혁명화교육으로 사실상 정치적숙청을 맞았죠? 중국과의 채널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질문 14> 북미, 북일관계에도 영향을 미칠텐데요, 김정은체제 외교의 방향 어떻게 전망하세요?
<질문 15> 김양건 비서가 과거에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때 조문을 오기도 했는데요. 우리 정부는 김양건의 사망에 어떤 식으로 조의를 표할 것으로 보십니까?
[뉴스포커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