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급박했던 파리테러…외교부·주불대사관 대응은?

<출연 : 조태열 외교부 2차관>

전 세계가 지난 달 파리테러의 충격과 불안에서 채 벗어나지 못한 가운데, 해외 여행객이 급증하는 연말연시를 맞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 해외에 나간 우리 국민의 안전을 어떻게 책임지고 있을까요.

조태열 외교부 2차관 스튜디오에 모시고 관련 대담 진행합니다.

<질문 1> 11월 13일 파리 테러, 그 급박했던 순간은?

<질문 1-1> 먼저 지난 11.13 파리 테러 사건 당시로 좀 돌아가볼까 합니다. 사건 직후, 외교부와 주불대사관도 비상상황에 들어갔을 텐데요. 우리 국민 피해는 없다고 신속하게 확인이 됐죠. 당시 상황은 어땠습니까?

<질문 2> 세계 테러 중심부 중동인데, 우리국민 보호장치는?

<질문 2-1> 파리 테러 사건 이전에도 특히 중동지역에서 우리국민이 위험에 처한 사례들이 있었죠. 외교부가 대응했던 큰 사건들을 좀 꼽아주신다면요?

<질문 2-2> 방금 말씀하신 청해부대 왕건함 함상 임시사무소는 다소 예외적인 사례로 생각되는데요, 활동 내용을 소개해 주시죠.

<질문 2-3> 리비아 사태나 예멘 사태 때 우리가 다른 나라 국민 철수를 지원했다고 하셨는데요.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재외국민보호 분야에서 수준이 높다, 이렇게 볼 수 있을까요?

<질문 2-4> 테러, 내전 상황뿐만 아니라 대규모 자연재해도 외교부 소관이죠. 올해만 해도 칠레, 일본, 뉴질랜드, 네팔에서 큰 지진이 났었는데요. 특히 네팔 지진 피해가 컸습니다. 당시 상황 어떻게 떠올리세요?

<질문 3> 해외여행 1600만 시대…현장 뛰는 재외공관 업무란?

<질문 3-1> 사실상 앞서 말씀해주신 심각한 상황들 뿐 아니라 상당히 일상적인 범죄 피해들에 더 일거리가 많지 않을까 싶습니다. 살인, 강도라든지 사기피해 같은 일반적인 사건?사고들 현황은 어떤가요?

<질문 3-2> 우리국민들이 해외여행 중 어려운 상황을 당했을 때 외교부 영사콜센터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영사콜센터에서는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까?

<질문 3-3> 해외에서 사건사고를 대응하려면 대사관이나 영사관에서 애환이 클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질문 4> 한국인 연루 '야스쿠니 폭발음' 사건에 대한귀추는?

<질문 4-1> 또 다른 현안, 일본 야스쿠니 신사 폭발음 사건 용의자로 체포된 우리 국민 얘깁니다. 현재 일본 경찰이 구속수사중인데, 외교부에서는 어떻게 대응하고 계십니까?

<질문 4-2> 관련해서 일본 내 혐한 감정이 커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데요. 일본 정부와의 위안부 문제 해결 협상에 장애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위안부 문제 협상, 박근혜 대통령은 연내타결 의지를 충분히 전달한 상황이죠. 진척상황 좀 알려주신다면요?

<질문 5> 北, 억류 한국계 선교사에 종신노역형 선고했는데요?

<질문 5-1> 마지막 질문입니다. 열 달 째 북한에 억류중이었던 캐나다 국적의 한국계 선교사 임현수씨에게 북한이 종신노역형을 선고했습니다. 대북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다소 과한 처사가 아니냐는 견해인데, 어떻게 파악하고 계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