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여야, 선거구획정 담판 회동
<출연 : 공간과미디어연구소 박상헌 소장ㆍ동국대 강훈식 교수ㆍ최창호 사회심리학박사ㆍ임윤선 변호사>
<질문 1> 내년 총선의 예비후보 등록일이 오늘입니다. 하지만 선거구획정 협상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죠. 우려가 커지면서 정의화 국회의장은 '입법 비상사태'로 간주해 직권상정할 수 있다는 뜻까지 내비쳤던데요?
<질문 2> 여당에서는 정 의장이 직권상정의 결단을 내리라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정의장은 거부한 상태인데 관건은 국가비상사태에 대한 해석이죠? 현 상황이 과연 국가비상사태인가요? 어떻게 보세요?
<질문 3> 한편 문재인 대표는 양산자택에서 정국구상에 들어갔습니다. 내일 최고위에서 구상의 결과물을 밝힐 예정인데 문 대표는 지난 2·8 전당대회에서 전대와 혁신, 그리고 내년 총선을 '3번의 죽을 고비'라고 표현했었죠? 이 고비 넘길 수 있을까요?
<질문 4> 제1야당의 분열사태, 그 책임은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의원 모두 면할 수없을 텐데요. 그럼에도 분당의 책임은 결국 당 대표가 더 많다는 것이 여론으로 드러났죠? 관련 여론조사 보면서 말씀 나누죠.
<질문 5> 안 의원의 탈당 결행에 호남의 지지율 변화가 작용했다는 관측이 있었는데 지금의 호남 민심은 그렇다고 분열은 안 된다는 여론도 비등합니다. 안 의원의 신당, 확고한 호남 민심의 기반 없이 순항할 수 있을까요?
<질문 6> 현재 호남지역의원 가운데 황주홍ㆍ유성엽 의원이 탈당을 고민 중입니다. 안 의원 탈당 이후 호남지역 의원의 연쇄 탈당이 계속될 경우 새정치연합의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는데 실제 결행할 것인가? 아직 변수죠?
<질문 7> 지원세력으로 예상됐던 박영선, 김한길, 박지원 전 대표 측도 탈당의사가 불명확한 것으로 들립니다. 안 의원의 '혈혈단신 허허벌판' 발언이 새삼 떠오르는 형국인데요?
<질문 8> 안철수 의원은 탈당 후 민심 탐방에 들어간 모양새입니다. 초심으로 돌아가겠다며 현 지역구인 노원병을 찾은 자리에서는 내년 총선 출마의사까지 밝혔던데요. 새정치연합도 더 강력한 후보를 내지 않겠습니까?
<질문 9> 지난번 동작에서처럼 노원병에서 야권분열로 새누리당이 승리하는 사태가 나온다면 그 때는 어떻게 될까요? 누구의 책임론이 부상할 것으로 보세요?
<질문 10> 이런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야당이 분열한 대가로 새누리당이 반사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과 호남을 빼곤 전 지역에서 새누리당이 1위를 기록했죠? 야당은 분열하면 망한다는 말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것인데요?
<질문 11> 이 결과를 가장 무겁게 받아들이는 분들, 바로 야당 수도권 서울 현역의원들입니다. 수도권 의원들 사이에선 "안을 따르자니 문을 믿자니 모두가 불확실하다"는 말이 돌고 있다는데요?
지금까지 박상헌 소장, 강훈식 교수, 최창호 박사, 임윤선 변호사와 말씀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출연 : 공간과미디어연구소 박상헌 소장ㆍ동국대 강훈식 교수ㆍ최창호 사회심리학박사ㆍ임윤선 변호사>
<질문 1> 내년 총선의 예비후보 등록일이 오늘입니다. 하지만 선거구획정 협상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죠. 우려가 커지면서 정의화 국회의장은 '입법 비상사태'로 간주해 직권상정할 수 있다는 뜻까지 내비쳤던데요?
<질문 2> 여당에서는 정 의장이 직권상정의 결단을 내리라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정의장은 거부한 상태인데 관건은 국가비상사태에 대한 해석이죠? 현 상황이 과연 국가비상사태인가요? 어떻게 보세요?
<질문 3> 한편 문재인 대표는 양산자택에서 정국구상에 들어갔습니다. 내일 최고위에서 구상의 결과물을 밝힐 예정인데 문 대표는 지난 2·8 전당대회에서 전대와 혁신, 그리고 내년 총선을 '3번의 죽을 고비'라고 표현했었죠? 이 고비 넘길 수 있을까요?
<질문 4> 제1야당의 분열사태, 그 책임은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의원 모두 면할 수없을 텐데요. 그럼에도 분당의 책임은 결국 당 대표가 더 많다는 것이 여론으로 드러났죠? 관련 여론조사 보면서 말씀 나누죠.
<질문 5> 안 의원의 탈당 결행에 호남의 지지율 변화가 작용했다는 관측이 있었는데 지금의 호남 민심은 그렇다고 분열은 안 된다는 여론도 비등합니다. 안 의원의 신당, 확고한 호남 민심의 기반 없이 순항할 수 있을까요?
<질문 6> 현재 호남지역의원 가운데 황주홍ㆍ유성엽 의원이 탈당을 고민 중입니다. 안 의원 탈당 이후 호남지역 의원의 연쇄 탈당이 계속될 경우 새정치연합의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는데 실제 결행할 것인가? 아직 변수죠?
<질문 7> 지원세력으로 예상됐던 박영선, 김한길, 박지원 전 대표 측도 탈당의사가 불명확한 것으로 들립니다. 안 의원의 '혈혈단신 허허벌판' 발언이 새삼 떠오르는 형국인데요?
<질문 8> 안철수 의원은 탈당 후 민심 탐방에 들어간 모양새입니다. 초심으로 돌아가겠다며 현 지역구인 노원병을 찾은 자리에서는 내년 총선 출마의사까지 밝혔던데요. 새정치연합도 더 강력한 후보를 내지 않겠습니까?
<질문 9> 지난번 동작에서처럼 노원병에서 야권분열로 새누리당이 승리하는 사태가 나온다면 그 때는 어떻게 될까요? 누구의 책임론이 부상할 것으로 보세요?
<질문 10> 이런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야당이 분열한 대가로 새누리당이 반사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과 호남을 빼곤 전 지역에서 새누리당이 1위를 기록했죠? 야당은 분열하면 망한다는 말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것인데요?
<질문 11> 이 결과를 가장 무겁게 받아들이는 분들, 바로 야당 수도권 서울 현역의원들입니다. 수도권 의원들 사이에선 "안을 따르자니 문을 믿자니 모두가 불확실하다"는 말이 돌고 있다는데요?
지금까지 박상헌 소장, 강훈식 교수, 최창호 박사, 임윤선 변호사와 말씀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