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문재인-박원순 '협력'…안철수의 선택은?
<출연 :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송승호 건국대 특임교수>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 박원순 서울시장이 총선 승리를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문·안·박 연대'의 나머지 한 축인 안철수 전 대표는 장고에 들어갔습니다.
한편 '공천룰'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이 어제 비공개로 회동했습니다.
여전히 이견만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송승호 건국대 특임교수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 박원순 시장이 '문·안·박' 연대에 공감을 표하며 손을 잡았습니다. 이제 공은 안철수 의원에게로 넘어간 것이죠?
<질문 2> 문대표와 박시장이 '청년수당 연대'를 했다는 후문입니다. '청년수당'을 고리로 서로 힘을 실어주는 윈윈전략을 선택했다는 건데 청년수당은 최경환 부총리와 박 대통령이 제동을 걸었던 사업이죠?
<질문 3> 이런 가운데, 3선 이상 중진들이 문-안의 협력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만들고 연판장까지 돌렸다고요? 안 대표도 버티기 곤란하겠는데요?
<질문 4> 안철수 의원의 결정도 중요하지만 비주류와 최고위원들의 반발도 넘어야할 산입니다. 당장 최고위의 존립 자체가 위협을 받게 되는 것이죠?
<질문 5> 여당 얘기도 좀 해보죠. 공천룰을 놓고 갈등을 보이던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이 어제 비공개회동을 가졌습니다. 원유철 원내대표가 중재를 했다는데 타협점은 못 찾았습니다. 공천룰,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질문 6> 김무성 대표의 고심이 깊어지는 양상입니다. 처남의 출마선언에 반기문 사무총장의 대망론까지 재부상하면서 내우외환 아니냐는 관측인데요?
<질문 7> 반기문 사무총장과 김무성 대표, 문재인대표 이 세분이 연일 정치권의 화두입니다. 방북임박설로 주가가 급등하고 있는 반총장인데 현시점에 여야 차기대선주자들의 지지도가 공개됐습니다. 보면서 말씀 나누죠.
- 김무성대표는 오르고, 문재인대표는 하락하면서, 격차가 지난주에 비해 더벌어진 모양새인데 현 지지율 어떻게 읽으십니까?
<질문 8> 그런데, 김 대표와 문 대표의 양자대결 구도로 보면, 팽팽한 접전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관련 CG보면서 말씀 나누시죠.
- 김무성 대표가 TK, PK에서 우세를 보이는 반면, 문재인 대표는 호남과 충청에서 우세를 보이면서, 여전히 지역별 세대별로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죠? 이 구도는 도저히 깨지지 않는 겁니까?
<질문 9> 일각에선 문대표의 '文·安·朴' 연대라는 구상이 세 사람이 힘을 합치면 여권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계산도 깔렸을 것이란 분석인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지금까지 고영신 교수·송승호 교수와 말씀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출연 :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송승호 건국대 특임교수>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 박원순 서울시장이 총선 승리를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문·안·박 연대'의 나머지 한 축인 안철수 전 대표는 장고에 들어갔습니다.
한편 '공천룰'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이 어제 비공개로 회동했습니다.
여전히 이견만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송승호 건국대 특임교수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 박원순 시장이 '문·안·박' 연대에 공감을 표하며 손을 잡았습니다. 이제 공은 안철수 의원에게로 넘어간 것이죠?
<질문 2> 문대표와 박시장이 '청년수당 연대'를 했다는 후문입니다. '청년수당'을 고리로 서로 힘을 실어주는 윈윈전략을 선택했다는 건데 청년수당은 최경환 부총리와 박 대통령이 제동을 걸었던 사업이죠?
<질문 3> 이런 가운데, 3선 이상 중진들이 문-안의 협력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만들고 연판장까지 돌렸다고요? 안 대표도 버티기 곤란하겠는데요?
<질문 4> 안철수 의원의 결정도 중요하지만 비주류와 최고위원들의 반발도 넘어야할 산입니다. 당장 최고위의 존립 자체가 위협을 받게 되는 것이죠?
<질문 5> 여당 얘기도 좀 해보죠. 공천룰을 놓고 갈등을 보이던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이 어제 비공개회동을 가졌습니다. 원유철 원내대표가 중재를 했다는데 타협점은 못 찾았습니다. 공천룰,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질문 6> 김무성 대표의 고심이 깊어지는 양상입니다. 처남의 출마선언에 반기문 사무총장의 대망론까지 재부상하면서 내우외환 아니냐는 관측인데요?
<질문 7> 반기문 사무총장과 김무성 대표, 문재인대표 이 세분이 연일 정치권의 화두입니다. 방북임박설로 주가가 급등하고 있는 반총장인데 현시점에 여야 차기대선주자들의 지지도가 공개됐습니다. 보면서 말씀 나누죠.
- 김무성대표는 오르고, 문재인대표는 하락하면서, 격차가 지난주에 비해 더벌어진 모양새인데 현 지지율 어떻게 읽으십니까?
<질문 8> 그런데, 김 대표와 문 대표의 양자대결 구도로 보면, 팽팽한 접전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관련 CG보면서 말씀 나누시죠.
- 김무성 대표가 TK, PK에서 우세를 보이는 반면, 문재인 대표는 호남과 충청에서 우세를 보이면서, 여전히 지역별 세대별로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죠? 이 구도는 도저히 깨지지 않는 겁니까?
<질문 9> 일각에선 문대표의 '文·安·朴' 연대라는 구상이 세 사람이 힘을 합치면 여권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계산도 깔렸을 것이란 분석인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지금까지 고영신 교수·송승호 교수와 말씀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