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전세값 감당 못해" 탈서울 급증

<출연 :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

치솟는 전셋값을 감당 못해 서울을 빠져나가는 인구가 13년만에 가장 많았다고 합니다.

이런 심각한 전세난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또 해법은 무엇인지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지난 3분기 서울의 '순유출 인구'는 3만7천여 명이라는 통계청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난 2002년 2분기 4만2천여 명 이후 13년 만에 최대치인데요, 인구 유출의 가장 큰 이유는 뭘까요?

<질문 2> 대체 전셋값이 얼마나 올랐길래 이런 현상이 일어난 것인가요?

<질문 3> 강남권의 전셋값이 강북권보다 오름폭이 두 배 이상 컸다고 하는데요. 강남발 전세대란 해법은 없나요?

<질문 4> 서울의 인구가 유입된 경기도의 전세값도 영향을 미쳤을 것 같은데요, 경기도의 전세값은 어떤가요?

<질문 5> 폭등하는 전셋값은 중산·서민층의 주거 여건을 급속히 악화시키고 있는데요, 이런 전월세난 해결을 위해 정부가 뉴스테이 (기업형 임대주택)를 확대한다고 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질문 6> 한편 치솟는 전셋값에 아파트보다는 가격이 저렴한 다세대·연립주택으로 내 집 마련을 하려는 세입자가 늘고 있는 추세인데요, 다세대 연립주택의 경우 나중에 팔 때 제값을 못 받는다는 이야기도 많은데 사도 될까요?

<질문 7> 부동산경기가 풀릴 것 같다는 기대감으로 대출을 해서 집을 사는 경우도 많이 봤는데요. 하지만, 빚으로 산 집이 버틸 시간이 얼마 안 남았다는 얘기도 있던데요. 그건 또 무슨 얘기인가요?

<질문 8> 분양 비수기인 12월을 앞두고 있지만 아파트 분양 시장이 후끈 달아오를 전망이죠. 올 연말까지 8만 7000가구의 아파트가 분양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눈여겨 볼 만한 곳을 추천해 주신다면요?

<질문 9> 부동산 시장, 중장기적 관점으로 봤을 때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또 앞으로 전셋값은 어떨까요?

지금까지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과 말씀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