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명품 옷을 싼값에"…문 열자 '아수라장'
<출연: 김복준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ㆍ최단비 변호사>
한 중저가 브랜드와 명품 브랜드가 함께 만든 한정판 옷이 출시 3시간 만에 동이 났습니다.
옷을 구입하기 위해 노숙은 물론 몸싸움까지 벌어지는 진풍경이 연출됐다고 합니다.
한편 특수제작한 볼트와 램프 안에 마약을 숨겨 국내로 반입한 일당이 경찰에 적발됐습니다.
오늘 이 시간 김복준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 최단비 변호사 모시고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스웨덴의 중저가 의류 브랜드인 H&M과 명품 브랜드 발망이 협업해서 어제 한정판을 출시했는데요. 원하는 제품을 사기 위해서 일주일 전부터 노숙은 물론 몸싸움까지 벌여졌다고 합니다. 왜 이렇게까지 열광하는 것인가요?
<질문 2> 문제는 이들 중 물건을 구입해서 웃돈을 얹어서 되파는 리셀러들이 다수라고 하는데요. 콘서트 티켓이나 기차표 티켓 같은 경우에도 웃돈을 얹어서 팔면 암표라고 해서 단속을 벌이는데 리셀러들의 되팔기 현상, 법적으로 문제는 없는 것인가요?
<질문 3> 이번에 보니까 한 사람이 어려 사람을 고용해서 옷을 사들이는 일도 있었다고 하는 데이건 간접적 사재기에 해당되는 거 아닌가요?
<질문 4> 계속해서 다음 주제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중국과 필리핀 등에서 필로폰을 몰래 들여오던 일당이 경찰에게 붙잡혔는데요. 이번에는 볼트와 램프를 이용했다고 대체 어떤 수법으로 들여온 것인가요?
<질문 5> 이번에 검거된 일당들도 단속을 피하기 위해 인터넷과 SNS에서 '아이스' '얼음' '작대기' 등의 은어를 써서 구매자를 모았다고 하는데요. 인터넷에서 판치는 마약 유통실태는 어떻습니까?
<질문 6> 마약의 종류와 유통방법이 다양해져 어느새 우리 생활 주변까지 널리 퍼졌는데요. 우리나라 아직까지 마약 청정국이라고 할 수 있나요?
<질문 7> 마약 수법이 교묘해지고 있는데 마약 수사를 할 때 어려운 점은 무엇이고, 마약 수사는 어떻게 검거가 되는 겁니까?
<질문 8> 이웃나라 중국의 경우만 봐도 마약 사범을 그 어느 나라보다도 가혹하게 처벌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어떻습니까? 상대적으로 좀 처벌이 약한 것 아닌가요?
<질문 9> 신형 전투복 원단 수억 원어치를 빼돌린 군납업체와 불량 전투복을 만든 의류 제작업자들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국방부와 관련된 일이라 더 엄격하게 관리됐을 것 같은데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인가요?
<질문 10> 신형전투복을 만들 때도 정상적인 방투습 원단이 아닌 비닐 코팅 처리만 한 가짜 원단을 사용했다고 하는데요, 이런 가짜 원단으로 만든 군복을 입고 어떻게 훈련을 받으라는 건가요?
<질문 11> 현역 군인들은 군에서 보급되는 전투복 물량이 넉넉하지 않아서 정품보다 최고 3배나 비싸게 주고 사제 전투복을 구입한다고 하는데요. 군에서 지급되는 전투복 그렇게 물량이 부족한가요?
<질문 12> 남대문 시장 같은 델 가보면 군인들이 입는 것과 똑같은 새 군복을 판매하는 걸 볼 수 있는데요. 이렇게 판매하고 또 그것을 구입해서 입고 다니는 행위 법적으로 문제는 없는 것인가요?
지금까지 김복준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 최단비 변호사 와 말씀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출연: 김복준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ㆍ최단비 변호사>
한 중저가 브랜드와 명품 브랜드가 함께 만든 한정판 옷이 출시 3시간 만에 동이 났습니다.
옷을 구입하기 위해 노숙은 물론 몸싸움까지 벌어지는 진풍경이 연출됐다고 합니다.
한편 특수제작한 볼트와 램프 안에 마약을 숨겨 국내로 반입한 일당이 경찰에 적발됐습니다.
오늘 이 시간 김복준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 최단비 변호사 모시고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스웨덴의 중저가 의류 브랜드인 H&M과 명품 브랜드 발망이 협업해서 어제 한정판을 출시했는데요. 원하는 제품을 사기 위해서 일주일 전부터 노숙은 물론 몸싸움까지 벌여졌다고 합니다. 왜 이렇게까지 열광하는 것인가요?
<질문 2> 문제는 이들 중 물건을 구입해서 웃돈을 얹어서 되파는 리셀러들이 다수라고 하는데요. 콘서트 티켓이나 기차표 티켓 같은 경우에도 웃돈을 얹어서 팔면 암표라고 해서 단속을 벌이는데 리셀러들의 되팔기 현상, 법적으로 문제는 없는 것인가요?
<질문 3> 이번에 보니까 한 사람이 어려 사람을 고용해서 옷을 사들이는 일도 있었다고 하는 데이건 간접적 사재기에 해당되는 거 아닌가요?
<질문 4> 계속해서 다음 주제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중국과 필리핀 등에서 필로폰을 몰래 들여오던 일당이 경찰에게 붙잡혔는데요. 이번에는 볼트와 램프를 이용했다고 대체 어떤 수법으로 들여온 것인가요?
<질문 5> 이번에 검거된 일당들도 단속을 피하기 위해 인터넷과 SNS에서 '아이스' '얼음' '작대기' 등의 은어를 써서 구매자를 모았다고 하는데요. 인터넷에서 판치는 마약 유통실태는 어떻습니까?
<질문 6> 마약의 종류와 유통방법이 다양해져 어느새 우리 생활 주변까지 널리 퍼졌는데요. 우리나라 아직까지 마약 청정국이라고 할 수 있나요?
<질문 7> 마약 수법이 교묘해지고 있는데 마약 수사를 할 때 어려운 점은 무엇이고, 마약 수사는 어떻게 검거가 되는 겁니까?
<질문 8> 이웃나라 중국의 경우만 봐도 마약 사범을 그 어느 나라보다도 가혹하게 처벌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어떻습니까? 상대적으로 좀 처벌이 약한 것 아닌가요?
<질문 9> 신형 전투복 원단 수억 원어치를 빼돌린 군납업체와 불량 전투복을 만든 의류 제작업자들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국방부와 관련된 일이라 더 엄격하게 관리됐을 것 같은데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인가요?
<질문 10> 신형전투복을 만들 때도 정상적인 방투습 원단이 아닌 비닐 코팅 처리만 한 가짜 원단을 사용했다고 하는데요, 이런 가짜 원단으로 만든 군복을 입고 어떻게 훈련을 받으라는 건가요?
<질문 11> 현역 군인들은 군에서 보급되는 전투복 물량이 넉넉하지 않아서 정품보다 최고 3배나 비싸게 주고 사제 전투복을 구입한다고 하는데요. 군에서 지급되는 전투복 그렇게 물량이 부족한가요?
<질문 12> 남대문 시장 같은 델 가보면 군인들이 입는 것과 똑같은 새 군복을 판매하는 걸 볼 수 있는데요. 이렇게 판매하고 또 그것을 구입해서 입고 다니는 행위 법적으로 문제는 없는 것인가요?
지금까지 김복준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 최단비 변호사 와 말씀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