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가뭄 장기화 '비상'…근본대책은?
<출연: 김형수 인하대 사회인프라공학과 교수ㆍ연합뉴스TV 김재훈 기상전문기자>
40년 만의 최악의 가뭄으로 저수지와 댐이 바닥을 보이고 있습니다.
가뭄이 지속되면서 식수 등 생활용수가 부족해 비상급수를 받는 마을이 확산되고 있는데요,
급기야 정부는 물 절약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끝모를 가뭄에 근본적인 대책은 무엇인지 김형수 인하대 사회인프라공학과 교수, 김재훈 기상전문기자 모시고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40년 만의 최악의 가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한반도의 가뭄 상황은 어느 정도고 누적 강우량은 얼마나 되나요?
<질문 2> 전국 다목적댐의 저수율은 예년과 비교하면 좀 어떤가요?
<질문 3> 지금 상황에서 가뭄이 가장 심각한 피해 지역은 어디로 볼 수 있을까요?
<질문 4> 극심한 가뭄으로 충남 서북부지역이 제한급수에 들어가는 등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심각한 물 부족 사태에 제한급수 말고 다른 해결책은 없나요?
<질문 5> 유례없는 가뭄이 계속되자 지자체에서도 관정을 개발하는 등 가뭄과의 사투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그런데 관정개발도 한계가 있지 않습니까?
<질문 6> 충남 서부 지역의 용수 부족은 장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데요. 정부가 그 대책으로 금강의 물을 퍼올려서 보령댐에 채우는 도수로 공사를 착공했는데요. 충남 서부지역 용수부족 문제가 해결이 좀 될까요?
<질문 7> 그런데 4급수인 금강 하류물을 1급수 지역인 보령댐 상수원으로 공급해도 수질에는 문제가 없는 걸까요?
<질문 8> 4대강 본류 16개 보에 7억만톤 이상의 물이 들어있다고 하는데요. 이 물을 해갈에 이용하려면 지류ㆍ지천 사업으로 이어져야 하는데요, 이번 가뭄 사태를 계기로 멈춰선 지류 사업 진척될까요?
<질문 9> 최악의 가뭄 피해를 겪는 충남지역이 물 절약을 위해 강제 절수 규정을 검토한다는데 도움이 될까요?
<질문 10> 이렇게 장기적으로 비가 오지 않는 원인은 무엇이고, 비는 언제쯤 내릴까요?
<질문 11> 문제는 이제 겨울이 되면서 강수량이 더 줄어들 것 같은데요. 만약 내년 봄까지 강우량이 신통치 않으면 어떤 상황 벌어질까요?
지금까지 김형수 인하대 사회인프라공학과 교수, 김재훈 기상전문기자와 말씀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출연: 김형수 인하대 사회인프라공학과 교수ㆍ연합뉴스TV 김재훈 기상전문기자>
40년 만의 최악의 가뭄으로 저수지와 댐이 바닥을 보이고 있습니다.
가뭄이 지속되면서 식수 등 생활용수가 부족해 비상급수를 받는 마을이 확산되고 있는데요,
급기야 정부는 물 절약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끝모를 가뭄에 근본적인 대책은 무엇인지 김형수 인하대 사회인프라공학과 교수, 김재훈 기상전문기자 모시고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40년 만의 최악의 가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한반도의 가뭄 상황은 어느 정도고 누적 강우량은 얼마나 되나요?
<질문 2> 전국 다목적댐의 저수율은 예년과 비교하면 좀 어떤가요?
<질문 3> 지금 상황에서 가뭄이 가장 심각한 피해 지역은 어디로 볼 수 있을까요?
<질문 4> 극심한 가뭄으로 충남 서북부지역이 제한급수에 들어가는 등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심각한 물 부족 사태에 제한급수 말고 다른 해결책은 없나요?
<질문 5> 유례없는 가뭄이 계속되자 지자체에서도 관정을 개발하는 등 가뭄과의 사투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그런데 관정개발도 한계가 있지 않습니까?
<질문 6> 충남 서부 지역의 용수 부족은 장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데요. 정부가 그 대책으로 금강의 물을 퍼올려서 보령댐에 채우는 도수로 공사를 착공했는데요. 충남 서부지역 용수부족 문제가 해결이 좀 될까요?
<질문 7> 그런데 4급수인 금강 하류물을 1급수 지역인 보령댐 상수원으로 공급해도 수질에는 문제가 없는 걸까요?
<질문 8> 4대강 본류 16개 보에 7억만톤 이상의 물이 들어있다고 하는데요. 이 물을 해갈에 이용하려면 지류ㆍ지천 사업으로 이어져야 하는데요, 이번 가뭄 사태를 계기로 멈춰선 지류 사업 진척될까요?
<질문 9> 최악의 가뭄 피해를 겪는 충남지역이 물 절약을 위해 강제 절수 규정을 검토한다는데 도움이 될까요?
<질문 10> 이렇게 장기적으로 비가 오지 않는 원인은 무엇이고, 비는 언제쯤 내릴까요?
<질문 11> 문제는 이제 겨울이 되면서 강수량이 더 줄어들 것 같은데요. 만약 내년 봄까지 강우량이 신통치 않으면 어떤 상황 벌어질까요?
지금까지 김형수 인하대 사회인프라공학과 교수, 김재훈 기상전문기자와 말씀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