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한미 정상회담 이후 '北' 행보는?
<출연: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지난 13일 박근혜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한 가운데 어제는 미국 국방부 펜타곤을 방문했습니다.
그 의미는 무엇일까요?
한미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인 북핵 해결을 위해 어떤 메시지를 남길까요?
오늘 이 시간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과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박근혜 대통령이 어제 미국 국방부, 일명 펜타곤을 방문했습니다, 미국 펜타곤 의장대의 공식의장대 행사는 16분간 진행됐는데요, 박 대통령의 이번 펜타곤 방문 어떤 의미가 있나요?
<질문 2> 앞서 9월 3일에는 박 대통령 천안문 성루에 올라 중국의 전승절 열병식을 지켜봤는데요, 어제는 미국 국방부 펜타곤을 방문했습니다. 박 대통령의 미국과 중국의 외교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대통령 펜타곤 방문 일정을 끝내고 조 바이든 부통령이 주최하는 오찬에 참석했다고 하는데요, 부통령이 관저로 외빈을 초청한 것 상당히 드문 일이라고 하던데요?
<질문 4> 박 대통령이 미국의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미국의 여론 주도층을 대상으로 외교안보정책에 대해 연설을 했습니다. 중국 경사론 해소에 주력한다고요?
<질문 5> 박 대통령, 이번 오바마 대통령과의 양자 정상회담은 이번이 네 번째인데요, 주요의제는 북핵 해결이 될 것으로 보이죠? 어떤 메시지 남길 것으로 예상하시나요?
<질문 6> 한민구 국방장관이 미국 국방부 청사에서 카터 미국 국방장관과 회의에서 KF-X 사업을 위한 기술이전을 검토해 줄 것을 요구했는데요, 미국이 조건부로도 어렵다는 뜻을 밝혔다구요? 그렇다면 기술이전 문제는 끝난 건가요?
<질문 7>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의 한반도 배치 문제가 논의될지에 대해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하던데 그래도 비공식적으로 논의되지 않을까요?
<질문 8> 그런가 하면 현재 늑장가입 논란이 불거진 TPP 가입 논의도 예상이 되는데요. 이 부분은 중국이 변수되고 있는데요, 이 문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9> 북한의 도발이 한미 정상회담 시점에 이뤄질 것이다라는 이야기 많았는데 지금 북한 조용히 한미 정상회담을 조용히 지켜보고 있는 이유는 뭔가요?
<질문 10> 그런 와중에 북한이 잠수함 미사일 수직발사관의 시험 발사 징후를 포착했다구요? 북한이 도발을 하려는 걸까요?
<질문 11> 오는 20일부터 26일까지 이산가족상봉, 11월초 남북당국자회담이 예정돼 있는데 무리 없이 진행될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지난 13일 박근혜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한 가운데 어제는 미국 국방부 펜타곤을 방문했습니다.
그 의미는 무엇일까요?
한미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인 북핵 해결을 위해 어떤 메시지를 남길까요?
오늘 이 시간 송영선 전 새누리당 의원,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과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박근혜 대통령이 어제 미국 국방부, 일명 펜타곤을 방문했습니다, 미국 펜타곤 의장대의 공식의장대 행사는 16분간 진행됐는데요, 박 대통령의 이번 펜타곤 방문 어떤 의미가 있나요?
<질문 2> 앞서 9월 3일에는 박 대통령 천안문 성루에 올라 중국의 전승절 열병식을 지켜봤는데요, 어제는 미국 국방부 펜타곤을 방문했습니다. 박 대통령의 미국과 중국의 외교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대통령 펜타곤 방문 일정을 끝내고 조 바이든 부통령이 주최하는 오찬에 참석했다고 하는데요, 부통령이 관저로 외빈을 초청한 것 상당히 드문 일이라고 하던데요?
<질문 4> 박 대통령이 미국의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미국의 여론 주도층을 대상으로 외교안보정책에 대해 연설을 했습니다. 중국 경사론 해소에 주력한다고요?
<질문 5> 박 대통령, 이번 오바마 대통령과의 양자 정상회담은 이번이 네 번째인데요, 주요의제는 북핵 해결이 될 것으로 보이죠? 어떤 메시지 남길 것으로 예상하시나요?
<질문 6> 한민구 국방장관이 미국 국방부 청사에서 카터 미국 국방장관과 회의에서 KF-X 사업을 위한 기술이전을 검토해 줄 것을 요구했는데요, 미국이 조건부로도 어렵다는 뜻을 밝혔다구요? 그렇다면 기술이전 문제는 끝난 건가요?
<질문 7>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의 한반도 배치 문제가 논의될지에 대해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하던데 그래도 비공식적으로 논의되지 않을까요?
<질문 8> 그런가 하면 현재 늑장가입 논란이 불거진 TPP 가입 논의도 예상이 되는데요. 이 부분은 중국이 변수되고 있는데요, 이 문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9> 북한의 도발이 한미 정상회담 시점에 이뤄질 것이다라는 이야기 많았는데 지금 북한 조용히 한미 정상회담을 조용히 지켜보고 있는 이유는 뭔가요?
<질문 10> 그런 와중에 북한이 잠수함 미사일 수직발사관의 시험 발사 징후를 포착했다구요? 북한이 도발을 하려는 걸까요?
<질문 11> 오는 20일부터 26일까지 이산가족상봉, 11월초 남북당국자회담이 예정돼 있는데 무리 없이 진행될까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