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풀뿌리 시민운동…미국 정치권 움직일까?

<출연 : 미국 시민참여센터 김동석 상임이사>

한국과 미국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서로 협력하며 한미동맹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양국의 정권 변화에 따른 득실도 한 번 쯤은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인데요.

내년에 미국에서는 대선이 치러지기도 하죠.

대선을 앞둔 미국 내 흐름은 어떤지 미국 시민참여센터 김동석 상임이사와 짚어봅니다.

<질문 1> 김동석 상임이사는 워싱턴전문가로 알려져 있는데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선거캠프에서도 일하셨던 적이 있으시고요. 때문에 최근 한미관계에 대해서는 어떤 시각으로 보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어떤 평가십니까?

<질문 2> 김 상임이사께서는 북한이 위협적인 행보를 보이는 것에 대해서 미국의 대응이 예전 같지 않음을 주목하라고 하셨고 또한 이러한 배경에 대해서 중요하게 말씀을 하셨던데요. 이와 같은 이유를 무엇으로 보고 계신가요?

<질문 3> 오바마 대통령의 외교 스타일도 언급 하셨는데요. "분쟁 지역을 요동치지 않게만 관리해 놓는 것이 오바마 대통령의 외교 스타일이다"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질문 4> 오바마 대통령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요. 미국은 내년 대통령 선거와 연방 상·하원 의원, 주지사 선거가 동시에 실시되는 이른바 선거의 해를 앞두고 있는데요. 관전 포인트로는 무엇을 꼽으시겠습니까?

<질문 5> 김 상임이사께서는 미국의 대통령 선거가 한국과 재미 한인 동포에게 중요하다…이런 말씀을 하셨는데요. 어떤 이유에서 하신 말씀인지요?

<질문 6> 사실 우리가 미국 대선에 관심을 갖는 가장 큰 이유는 미국 대선 과정이 오바마 정부의 한반도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또 이후 누가 대통령이 되든 미국의 한반도 정책에 변화가 없어야 한다는 것인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우리로서는 북한의 위협 대처와 남북관계 개선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또 북한에 대한 미국의 행보 변화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이 지금 현실이고요. 북한을 바라보는 미국의 시각에 대해서는 어떤 부분을 눈여겨보고 계십니까?

<질문 8> 이런 가운데 김 상임이사께서는 워싱턴에 미국과 중국, 일본, 그리고 북한은 있지만 한국이 안 보인다는 지적도 하셨던데요. 어떤 의미의 말씀인지요?

<질문 8-1> 김 상임이사 말씀은 내년에 미국이 대선을 앞두고 있어 미국 정치인들에게 한반도 관련 이슈를 부각 시키지 않으면 아예 소외될 수 있는 상황이 올수도 있다…이렇게 보고 계신 것 같은데요. 무슨 뜻인가요?

<질문 9> 이런 가운데 김 상임이사께서는 한인 풀뿌리 시민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풀뿌리 정치참여라는 것이 한 번에 딱 와 닿지가 않습니다. 풀뿌리 정치참여는 무엇인가요?

<질문 9-1> 그럼 풀뿌리 운동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어떤 점을 꼽아볼 수 있겠습니까?

<질문 10> 오는 16일 한미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습니다. 우리는 어떤 준비로 미국에게 무엇을 얻어 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돼야 할까요?

지금까지 미국 시민참여센터 김동석 상임이사였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