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역사 교과서 국정화 여야 '충돌'…견해는?
<출연 : 정옥임 전 새누리당 의원·김유정 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정부의 국사 교과서 국정화 전환 문제가 바람잘 날 없는 우리 정치권에, 또 하나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니다.
이런 가운데 총선 공천 룰을 둘러싼 여야의 당 내 갈등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데요,
정옥임 전 새누리당 의원, 김유정 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과 정치권 이슈 이어 가겠습니다.
<질문 1> 정부의 '단일 국사 교과서'작업을 놓고 여야가 강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내주 중으로 계획을 발표할 예정인데요, 두 분은 어떻게 보고 계신지요? 이 부분부터 짚어 보겠습니다.
<질문 2> 내년 총선 공천 룰을 둘러싸고 여야가 다 시끄러운데,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친박-청와대 간 갈등은 일단 정리됐다고 봐야 할까요?
<질문 3> 김 대표 측이 청와대 인사들과 다양한 의사교환을 하면서 친박계를 압박하는 이른바 '분리대응'에 나섰다는 관측도 있는데?
<질문 3-1> 공천 룰을 둘러싼 내홍을 거치면서 여당 내 친박 대 비박의 계파지형이 변화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만큼 현재 당내 지형이 불안정 하다고 봐야 할까?
<질문 3-2> 김 대표 측은 "내년 총선에서 승리하려면 당내 분란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그걸 위해 지금은 대표가 수모를 참아낼 수밖에 없다"고 했다는데 일리가 있다고 보나?
<질문 4> 그렇다면 친박계는 어떤가, 청와대가 어제 더 이상의 총선 출마자는 없다며 당 내 공천 싸움에 선을 그었는데, 친박계는 표면적으로 계속 공세에 나서는 모습, 청와대와 엇박자를 내고 있는 건 아닌지?
<질문 5> 청와대가 참모진 총선 출마는 더 이상 없다고 밝히면서, 국회의원 출신 장관들의 조기 복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일각에서는 이르면 박 대통령의 방미 이후 인사가 단행될 것이란 관측도 있는데, 두 분은 어떻게 전망하시는지?
<질문 6> 새정치민주연합 내 중도의원들의 모임인 '통합행동'이 문 대표에게 당내 진영 간 갈등을 통합할 대안 마련을 요구했어요. 당내 통합에 방점을 찍고 있지만 단계적으로 '통합 조기 전당대회'나 '조기 선거대책위원회'로 가기 위한 건 아닌지? '통합행동'의 역할은?
<질문 7> 일각서는 재신임 잉크도 마르기전에 또 대표 흔들기라는 지적도 있는데?
<질문 8> 새정치연합 당내 모임인 '통합행동'에 안철수 의원의 합류 가능성이 나오고 있는데, 안 의원이 움직일 것으로 보시는지?
<질문 9> 내년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획정문제가 난항입니다. 어제 단일안이 또 다시 불발됐는데, 여야가 계속 공방을 벌이고 있는데, 이유가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10>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비율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 이 문제는 어떻게 보고 계신지요? 또 농촌 의석수 문제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정옥임 전 새누리당 의원·김유정 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정부의 국사 교과서 국정화 전환 문제가 바람잘 날 없는 우리 정치권에, 또 하나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니다.
이런 가운데 총선 공천 룰을 둘러싼 여야의 당 내 갈등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데요,
정옥임 전 새누리당 의원, 김유정 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과 정치권 이슈 이어 가겠습니다.
<질문 1> 정부의 '단일 국사 교과서'작업을 놓고 여야가 강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내주 중으로 계획을 발표할 예정인데요, 두 분은 어떻게 보고 계신지요? 이 부분부터 짚어 보겠습니다.
<질문 2> 내년 총선 공천 룰을 둘러싸고 여야가 다 시끄러운데,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친박-청와대 간 갈등은 일단 정리됐다고 봐야 할까요?
<질문 3> 김 대표 측이 청와대 인사들과 다양한 의사교환을 하면서 친박계를 압박하는 이른바 '분리대응'에 나섰다는 관측도 있는데?
<질문 3-1> 공천 룰을 둘러싼 내홍을 거치면서 여당 내 친박 대 비박의 계파지형이 변화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만큼 현재 당내 지형이 불안정 하다고 봐야 할까?
<질문 3-2> 김 대표 측은 "내년 총선에서 승리하려면 당내 분란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그걸 위해 지금은 대표가 수모를 참아낼 수밖에 없다"고 했다는데 일리가 있다고 보나?
<질문 4> 그렇다면 친박계는 어떤가, 청와대가 어제 더 이상의 총선 출마자는 없다며 당 내 공천 싸움에 선을 그었는데, 친박계는 표면적으로 계속 공세에 나서는 모습, 청와대와 엇박자를 내고 있는 건 아닌지?
<질문 5> 청와대가 참모진 총선 출마는 더 이상 없다고 밝히면서, 국회의원 출신 장관들의 조기 복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일각에서는 이르면 박 대통령의 방미 이후 인사가 단행될 것이란 관측도 있는데, 두 분은 어떻게 전망하시는지?
<질문 6> 새정치민주연합 내 중도의원들의 모임인 '통합행동'이 문 대표에게 당내 진영 간 갈등을 통합할 대안 마련을 요구했어요. 당내 통합에 방점을 찍고 있지만 단계적으로 '통합 조기 전당대회'나 '조기 선거대책위원회'로 가기 위한 건 아닌지? '통합행동'의 역할은?
<질문 7> 일각서는 재신임 잉크도 마르기전에 또 대표 흔들기라는 지적도 있는데?
<질문 8> 새정치연합 당내 모임인 '통합행동'에 안철수 의원의 합류 가능성이 나오고 있는데, 안 의원이 움직일 것으로 보시는지?
<질문 9> 내년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획정문제가 난항입니다. 어제 단일안이 또 다시 불발됐는데, 여야가 계속 공방을 벌이고 있는데, 이유가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10>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비율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 이 문제는 어떻게 보고 계신지요? 또 농촌 의석수 문제는?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