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김무성·문재인…벼랑 끝 동변상련?

<출연 : 박찬종 변호사>

국감이 한창인 요즘, 여야 양당 대표들은 당내 집안싸움의 한 가운데 선 모양샙니다. 정가를 바라보는 시선이 그리 곱지 않은 상황인데요.

관련해 고언을 해주실 정치계 원로, 박찬종 변호사 모셨습니다.

<질문 1> 먼저 야당, 내홍이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결국 비주류 의원들이 퇴장해버린 어제 중앙위도 너무 거친 모양새로 정리되어 버린 느낌이 있는데요. 주류 비주류 갈등으로 번진 최근 야당 정국,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2> 사실 문제의 시발점은 문재인 대표의 리더쉽 논란일 텐데요. 남은 것은 재신임투표 뿐이고, 그마저도 여전히 치러질지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문 대표, 재신임으로 당내 불만을 잠재울 수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3> 일각에서는 당내 제1 대선주자가 선거 결과에 책임을 져야 할 당 대표직을 맡은 것부터 문제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앞으로 문 대표의 거취에 대해서는 어떤 조언을 해주시겠습니까?

<질문 4> 여당 김무성 대표의 상황도 좋지 않은데요. 일단 김무성 대표의 오픈프라이머리가 도마에 올랐습니다. 여야 공동추진을 하자는 김무성 플랜이 어그러지면서, 친박계를 중심으로 '김 대표가 입장 정리를 하라'는 압박이 거센데요. 김 대표, 협상 여지가 남아있다고는 하지만……글쎄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친박계 대선 주자"를 언급한 윤상현 의원 발언이 문제가 되면서부터, 김대표의 입지가 흔들리는 것이 사실입니다. 일각에서는 처음부터 청와대의 의중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추측까지 나오는 상황인데, 물론 청와대는 아니라고 했습니다만 이른바 "김무성 불가론"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김무성 대표, 일단 전망이 밝지 않은 상황에서 오픈 프라이머리를 고수하겠다는 전략으로는 상황 타개가 어려워 보입니다. 어떤 해법을 찾을 수 있을까요?

<질문 7> 끝으로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이 6주 연속 상승하면서 여전히 50%를 웃돌고 있는데요. 여야 차기 주자들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최근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하고 계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