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국감 앞선 文 '재신임 정국'…어떻게 보나?
<전화연결 : 새정치민주연합 최인호 혁신위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에 의해 촉발된 재신임 정국.
야권의 운명을 가를 시험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정권교체를 목표로 출발한 혁신 운동이 야권분열로 끝나고 말 것이라는 당 내외의 우려가 큰데요.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으로 활동하고 계신 최인호 위원 모시고, 입장 들어봅니다.
<질문 1> 내일 모레 있을 중앙위원회에서 혁신안 통과가 결정될 예정인데요. 국감과 맞물려서 다사다난하실 것 같습니다. 혁신위 위원으로서 최근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2> 안철수 의원이 중앙위 연기, 재신임 취소를 요구하고 나섰는데요. 오늘 최고위에서 주승용 의원이 거의 같은 취지의 발언을 하기도 했습니다. 기존 혁신안을 사실상 폐기하고 원점부터 다시 토론하자는 건데, 이런 견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3> 기존의 혁신안에 대해서는 어떤 방식이 특히 진통의 원인이 됐다고 생각하십니까? 결국에는 공천권을 둘러싼 계파갈등이라는 세간의 눈초리가 따가운 상황인데, 타당한 지적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4> 얼마 전 이해찬 의원의 "백의종군"을 요청하셨던 것, 이런 맥락에서 이해해 볼 수 있을 텐데, 정작 당내에서는 비주류 세력들을 겨냥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했습니다. 해명을 하신다면요?
<질문 5> 문재인 대표, 오늘 오전 최고위원회에도 불참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안철수 전 대표를 비롯해 비주류들의 반발이 극심한 상황에서 당 대표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는 것이 온당하냐는 지적이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비주류 의원들은 중앙위가 강행될 경우, 무기명투표 방법을 주장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대표의 거취문제와 연관된 이상, 혁신안 통과여부는 '인사사항'이고, 당연히 비밀투표로 진행할 사안이라는 건데요? 합리적인 반응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7> 설령 문재인 대표가 재신임을 받는 데 성공한다고 해도, 방법론적인 합의가 없는 상황에서 얻은 리더쉽이 의미가 있겠느냐, 당내 통합이 가능하겠냐는 비판이 있는데요? 여기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이십니까?
<질문 8> 문 대표의 재신임 정국을 통들어 안철수 의원의 언행 하나하나가 큰 영향을 미쳤는데요. 이번 안 전 대표의 행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마침 오늘 혁신위원장인 조국 교수가 안철수 의원의 "정치적 목적"이 당 차원을 넘어섰다고 상당히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는데요?
<질문 9> 오늘 나온 여론조사에서 일반국민들의 47%가 문재인 대표의 사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했는데요. 문재인 체제 아래서 혁신안 추진이 무의미하다는 안철수 전 대표의 주장이 다소간 힘을 얻는 대목이 아닐까 싶은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끝으로 오는 16일 중앙위 통과가 어쨌든 1차 분수령이 될 예정인데요. 어떻게 전망하고 계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전화연결 : 새정치민주연합 최인호 혁신위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에 의해 촉발된 재신임 정국.
야권의 운명을 가를 시험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정권교체를 목표로 출발한 혁신 운동이 야권분열로 끝나고 말 것이라는 당 내외의 우려가 큰데요.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으로 활동하고 계신 최인호 위원 모시고, 입장 들어봅니다.
<질문 1> 내일 모레 있을 중앙위원회에서 혁신안 통과가 결정될 예정인데요. 국감과 맞물려서 다사다난하실 것 같습니다. 혁신위 위원으로서 최근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2> 안철수 의원이 중앙위 연기, 재신임 취소를 요구하고 나섰는데요. 오늘 최고위에서 주승용 의원이 거의 같은 취지의 발언을 하기도 했습니다. 기존 혁신안을 사실상 폐기하고 원점부터 다시 토론하자는 건데, 이런 견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3> 기존의 혁신안에 대해서는 어떤 방식이 특히 진통의 원인이 됐다고 생각하십니까? 결국에는 공천권을 둘러싼 계파갈등이라는 세간의 눈초리가 따가운 상황인데, 타당한 지적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4> 얼마 전 이해찬 의원의 "백의종군"을 요청하셨던 것, 이런 맥락에서 이해해 볼 수 있을 텐데, 정작 당내에서는 비주류 세력들을 겨냥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했습니다. 해명을 하신다면요?
<질문 5> 문재인 대표, 오늘 오전 최고위원회에도 불참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안철수 전 대표를 비롯해 비주류들의 반발이 극심한 상황에서 당 대표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는 것이 온당하냐는 지적이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비주류 의원들은 중앙위가 강행될 경우, 무기명투표 방법을 주장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대표의 거취문제와 연관된 이상, 혁신안 통과여부는 '인사사항'이고, 당연히 비밀투표로 진행할 사안이라는 건데요? 합리적인 반응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7> 설령 문재인 대표가 재신임을 받는 데 성공한다고 해도, 방법론적인 합의가 없는 상황에서 얻은 리더쉽이 의미가 있겠느냐, 당내 통합이 가능하겠냐는 비판이 있는데요? 여기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이십니까?
<질문 8> 문 대표의 재신임 정국을 통들어 안철수 의원의 언행 하나하나가 큰 영향을 미쳤는데요. 이번 안 전 대표의 행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마침 오늘 혁신위원장인 조국 교수가 안철수 의원의 "정치적 목적"이 당 차원을 넘어섰다고 상당히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는데요?
<질문 9> 오늘 나온 여론조사에서 일반국민들의 47%가 문재인 대표의 사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했는데요. 문재인 체제 아래서 혁신안 추진이 무의미하다는 안철수 전 대표의 주장이 다소간 힘을 얻는 대목이 아닐까 싶은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0> 끝으로 오는 16일 중앙위 통과가 어쨌든 1차 분수령이 될 예정인데요. 어떻게 전망하고 계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