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정부 나서도 높아만 가는 청년실업률…사상최악?
<출연: 신용한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 위원장>
여러분과 가까운 주변에 취업으로 고민하는 청년들 한두 명은 있을 텐데요.
정부 주도의 다양한 고용대책들이 나오고 있지만 청년실업률은 지속적으로 높아만 가고 있습니다.
보다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인데요.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 신용한 위원장과 청년실업 문제를 고민해 보겠습니다.
신 위원장님, 안녕하세요?
<질문 1> 대통령까지 나서서 일자리 창출에 역점을 두고 있는데 청년실업률은 더욱 높아만 가고 있습니다. 청년실업난 가장 피부로 많이 느끼실 것 같은데, 어느 정도로 심각한가요? 청년정책 싱크탱크 소속으로서 고민이 많으시죠?
<질문 1-1> 청년 실업 대변하는 신조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질문 2> 노동개혁에 한국경제가 달렸다는 절박한 목소리가 높습니다.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과 노동시장 구조개선은 따로 떼어 놓을 수가 없을 듯한데요.
<질문 3> 청년 고용할당제를 실시하면 청년고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4> 대기업들, 요즘 채용 계획을 속속 발표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정규직도 있지만 다른 고용 형태로 채용을 하려는 곳도 많은 것 같습니다. 기업들의 채용 방식이나 규모 등에 대한 불만은 없으신지요?
<질문 5> 청년들의 직업관에 문제가 있다 혹은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질문 5-1> 대학도 학생들 취업난 해결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 같습니다. 교육 현장에서 청년 실업을 해소할 방법을 좀 더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요?
<질문 6> 이번엔 임금피크제와 관련된 얘기를 해볼 텐데요. 정부는 공공기관 임금피크제 도입부터 추진하려는 것 같은데 재계와 노동계는 임금피크제 도입을 두고 논란입니다. 실제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면 실제 청년고용이 증가될 수 있나요?
<질문 6-1> 오히려 '아버지 일자리 뺏기'나 '세대 간 갈등을 조장'한다는 분석도 있던데요?
<질문 7> 청년고용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청년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청년위원회에서 청년 실업 극복을 위해 하시는 일 궁금합니다.
<질문 7-1> 혹시 생각하는 방안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질문 8> 희망을 잃지 않고 장래를 고민하는 청년들에게 한 말씀 해주신다면요?
지금까지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신용한 위원장과 말씀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신용한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 위원장>
여러분과 가까운 주변에 취업으로 고민하는 청년들 한두 명은 있을 텐데요.
정부 주도의 다양한 고용대책들이 나오고 있지만 청년실업률은 지속적으로 높아만 가고 있습니다.
보다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인데요.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 신용한 위원장과 청년실업 문제를 고민해 보겠습니다.
신 위원장님, 안녕하세요?
<질문 1> 대통령까지 나서서 일자리 창출에 역점을 두고 있는데 청년실업률은 더욱 높아만 가고 있습니다. 청년실업난 가장 피부로 많이 느끼실 것 같은데, 어느 정도로 심각한가요? 청년정책 싱크탱크 소속으로서 고민이 많으시죠?
<질문 1-1> 청년 실업 대변하는 신조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질문 2> 노동개혁에 한국경제가 달렸다는 절박한 목소리가 높습니다.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과 노동시장 구조개선은 따로 떼어 놓을 수가 없을 듯한데요.
<질문 3> 청년 고용할당제를 실시하면 청년고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4> 대기업들, 요즘 채용 계획을 속속 발표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정규직도 있지만 다른 고용 형태로 채용을 하려는 곳도 많은 것 같습니다. 기업들의 채용 방식이나 규모 등에 대한 불만은 없으신지요?
<질문 5> 청년들의 직업관에 문제가 있다 혹은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질문 5-1> 대학도 학생들 취업난 해결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 같습니다. 교육 현장에서 청년 실업을 해소할 방법을 좀 더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요?
<질문 6> 이번엔 임금피크제와 관련된 얘기를 해볼 텐데요. 정부는 공공기관 임금피크제 도입부터 추진하려는 것 같은데 재계와 노동계는 임금피크제 도입을 두고 논란입니다. 실제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면 실제 청년고용이 증가될 수 있나요?
<질문 6-1> 오히려 '아버지 일자리 뺏기'나 '세대 간 갈등을 조장'한다는 분석도 있던데요?
<질문 7> 청년고용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청년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청년위원회에서 청년 실업 극복을 위해 하시는 일 궁금합니다.
<질문 7-1> 혹시 생각하는 방안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질문 8> 희망을 잃지 않고 장래를 고민하는 청년들에게 한 말씀 해주신다면요?
지금까지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신용한 위원장과 말씀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