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중국 최대 규모 열병식…"위대한 승리"
<출연 : 문용석 전 주중 한국대사관 국방무관ㆍ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센터장ㆍ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중국의 항일전쟁 승전 70주년 기념 열병식이 조금 뒤 11시부터 시작됩니다.
1만 2000명에 달하는 병력에 러시아, 몽골 등 외국군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인데요.
중국의 열병식에 세계적인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오늘 이 시간 문용석 전 주중 한국대사관 국방무관·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센터장·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과 함께 열병식과 관련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항전 승리 70주년 기념행사인 중국 열병식이 지금 중국에서 거행되고 있는데요, 56문 대포가 70포의 예포 발사로 시작됐습니다, 시간도 70분간 진행이 되는데요. 이 숫자들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질문 2> 오늘 최대 규모로 이뤄지는 열병식, 어떤 순서로 진행되나요?
<질문 3> 207명으로 편성된 삼군의장대도 사상 최대 규모인데요. 외국군 중 대미는 러시아군이 맡게 될 전망인대요,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요?
<질문 4> 열병식 모습을 살펴보면요. 먼저 이번 열병식에 5마리의 원숭이가 투입됐다고 하던데요, 이 원숭이들은 왜 투입된 건가요?
<질문 5> 열병식에 참석하는 병사들, 중국지도부가 장병들의 신원조사를 8대 조상까지 엄격하게 했다고 해요. 배경이 뭔가요?
<질문 6> 공안만 100만명, 베이징 도로는 준 계엄 상황과 다름없는 통제가 시작됐는데요, 9월 1일부터 하늘에 풍선 날리는 것도 금지됐는데 오늘은 천안문 인근에서 인터넷, 핸드폰은 물론이고 집에서 창밖으로 내다보는 것도 금지된다는데요. 과잉 통제 비판도 나오고 있죠?
<질문 7> 중국은 또 열병식 블루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맑고 푸른 하늘을 연출하기 위해 지난달 31일과 1일에 미리 구름을 제거하는 등 총력을 다했다고요?
<질문 8> 1949년 10월 1일 시작된 이후 이제껏 14차례 행사에서 원로들이 모두 참석했는데요. 오늘 열병식에는 장쩌민,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 등 원로들은 불참할 것으로 전해지기도 했는데, 중국의 권력구도가 변했다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죠?
<질문 9> 이번 열병식이 2009년 건국 60주년 열병식과 여러면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데요, 그때 열병식과 비교하면 어떻게 다른가요?
<질문 10> 박근혜 대통령이 어디 자리에 서느냐, 이것도 굉장한 관심사였는데요. 시진핑 주석의 옆자리에 설 전망이 많았는데 이 자리가 약 60년 전에 중국 열병식에 참석했던 김일성 전 북한 주석이 서 있던 자리라고 해서 또 굉장히 큰 의미를 부여하는 분도 있던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11>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 군대 열병식을 보면서 어느 정도 수위에서 표정이나 제스처를 하느냐, 이것도 굉장히 관심거리인데 어느 정도 수준으로 해야 한다고 보세요? 지금 박 대통령의 표정을 보면 어떻습니까? 잘 하고 있는 것인가요?
<질문 12> 북한 최용해 비서는 박 대통령의 뒷줄, 각국 정상 주변부에 자리하고 있는데요. 최근 남북관계 개선을 고려하면 중국이 의도적으로 박 대통령 뒷줄에 최 비서를 배치해 인사를 나누도록 유도한 일종의 전략 아닌가요?
<질문 13> 북한에서는 지금 김정은 의원장이 참석을 안 하고 당 비서가 가고 그렇게 되면 어떻게 봐야 되나요? 중국의 외교전략에서 우선순위가 변하고 있다, 이렇게 봐야 될까요?
<질문 14> 이번 행사에서 팔로군 합류한 일본 노병도 참석한다고 하는데요. 곳곳에 항일 메시지를 강하게 드러내는 상징들이 등장한다고요?
<질문 15> 일본 정부와 일부 우익 언론들이 박 대통령의 열병식 참석을 문제삼으며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6> 시진핑 주석은 2013년 이후 푸틴 대통령을 여덟 차례나 만났고, 이번에 열병식까지 참석하면서 밀월 관계에 접어들었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중국, 동북아 외교의 주도권을 잡을까요?
<질문 17> 우리가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에 가야되느냐, 말아야 되느냐 고민이 많았잖아요, 미국을 크게 의식하고 있는 가운데 전승절에 참석한 것인데요. 박 대통령의 톈안먼 성루 외교 어떻게 돌아올까요?
<질문 18> 이번 열병식에서 신무기들이 대거 등장할 것이다라는 전망도 있었는데요. 물론 전망은 군사적 초점 부담으로 신무기는 숨긴다는 얘기도 있었거든요, 이번에 공개된 신무기들 어떤 것을 주목해 봐야 하나요?
<질문 19> 중국은 열병식에서 무기 강국 미국에 특히 과시하고 싶은 무기가 있다면 어떤 게 있고 그 이유는 뭘까요?
<질문 20> 이번 열병식에서는 중국 육해공군, 제2포병, 무장경찰부대 등 중국과 11개국 장병 1만 2천여명이 나서게 되고요. 또 전투기, 폭격기 등 각종 군용기 200대가 동원됩니다, 세계의 군대가 참석한다는데 이것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질문 21> 열병식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항공모함 등 중국이 자체 생산했다고 전해졌는데요, 그 기술력은 얼마나 되나요?
<질문 22> 중국의 새로운 무기 퍼레이드를 바라보는 미국과 일본의 국가 수장들도 누구보다 예리하게 지켜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어떤 속내가 있을까요?
<질문 23> 최근 소원한 북중 관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북한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발휘할 수 있는 상대는 중국인데요, 이에 따라 이런 한반도 위기 상황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요?
<질문 24> 어제 열렸던 한중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올 10월말이나 11월 초에 한국에서 한, 중, 일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하자고 뜻을 모았는데 이번 열병식 행사에 뿔난 일본이 과연 참석할까요?
네. 지금까지 문용석 전 주중 한국대사관 국방무관·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센터장·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과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문용석 전 주중 한국대사관 국방무관ㆍ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센터장ㆍ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중국의 항일전쟁 승전 70주년 기념 열병식이 조금 뒤 11시부터 시작됩니다.
1만 2000명에 달하는 병력에 러시아, 몽골 등 외국군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인데요.
중국의 열병식에 세계적인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오늘 이 시간 문용석 전 주중 한국대사관 국방무관·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센터장·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과 함께 열병식과 관련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항전 승리 70주년 기념행사인 중국 열병식이 지금 중국에서 거행되고 있는데요, 56문 대포가 70포의 예포 발사로 시작됐습니다, 시간도 70분간 진행이 되는데요. 이 숫자들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질문 2> 오늘 최대 규모로 이뤄지는 열병식, 어떤 순서로 진행되나요?
<질문 3> 207명으로 편성된 삼군의장대도 사상 최대 규모인데요. 외국군 중 대미는 러시아군이 맡게 될 전망인대요,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요?
<질문 4> 열병식 모습을 살펴보면요. 먼저 이번 열병식에 5마리의 원숭이가 투입됐다고 하던데요, 이 원숭이들은 왜 투입된 건가요?
<질문 5> 열병식에 참석하는 병사들, 중국지도부가 장병들의 신원조사를 8대 조상까지 엄격하게 했다고 해요. 배경이 뭔가요?
<질문 6> 공안만 100만명, 베이징 도로는 준 계엄 상황과 다름없는 통제가 시작됐는데요, 9월 1일부터 하늘에 풍선 날리는 것도 금지됐는데 오늘은 천안문 인근에서 인터넷, 핸드폰은 물론이고 집에서 창밖으로 내다보는 것도 금지된다는데요. 과잉 통제 비판도 나오고 있죠?
<질문 7> 중국은 또 열병식 블루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맑고 푸른 하늘을 연출하기 위해 지난달 31일과 1일에 미리 구름을 제거하는 등 총력을 다했다고요?
<질문 8> 1949년 10월 1일 시작된 이후 이제껏 14차례 행사에서 원로들이 모두 참석했는데요. 오늘 열병식에는 장쩌민,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 등 원로들은 불참할 것으로 전해지기도 했는데, 중국의 권력구도가 변했다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죠?
<질문 9> 이번 열병식이 2009년 건국 60주년 열병식과 여러면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데요, 그때 열병식과 비교하면 어떻게 다른가요?
<질문 10> 박근혜 대통령이 어디 자리에 서느냐, 이것도 굉장한 관심사였는데요. 시진핑 주석의 옆자리에 설 전망이 많았는데 이 자리가 약 60년 전에 중국 열병식에 참석했던 김일성 전 북한 주석이 서 있던 자리라고 해서 또 굉장히 큰 의미를 부여하는 분도 있던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11>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 군대 열병식을 보면서 어느 정도 수위에서 표정이나 제스처를 하느냐, 이것도 굉장히 관심거리인데 어느 정도 수준으로 해야 한다고 보세요? 지금 박 대통령의 표정을 보면 어떻습니까? 잘 하고 있는 것인가요?
<질문 12> 북한 최용해 비서는 박 대통령의 뒷줄, 각국 정상 주변부에 자리하고 있는데요. 최근 남북관계 개선을 고려하면 중국이 의도적으로 박 대통령 뒷줄에 최 비서를 배치해 인사를 나누도록 유도한 일종의 전략 아닌가요?
<질문 13> 북한에서는 지금 김정은 의원장이 참석을 안 하고 당 비서가 가고 그렇게 되면 어떻게 봐야 되나요? 중국의 외교전략에서 우선순위가 변하고 있다, 이렇게 봐야 될까요?
<질문 14> 이번 행사에서 팔로군 합류한 일본 노병도 참석한다고 하는데요. 곳곳에 항일 메시지를 강하게 드러내는 상징들이 등장한다고요?
<질문 15> 일본 정부와 일부 우익 언론들이 박 대통령의 열병식 참석을 문제삼으며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6> 시진핑 주석은 2013년 이후 푸틴 대통령을 여덟 차례나 만났고, 이번에 열병식까지 참석하면서 밀월 관계에 접어들었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중국, 동북아 외교의 주도권을 잡을까요?
<질문 17> 우리가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에 가야되느냐, 말아야 되느냐 고민이 많았잖아요, 미국을 크게 의식하고 있는 가운데 전승절에 참석한 것인데요. 박 대통령의 톈안먼 성루 외교 어떻게 돌아올까요?
<질문 18> 이번 열병식에서 신무기들이 대거 등장할 것이다라는 전망도 있었는데요. 물론 전망은 군사적 초점 부담으로 신무기는 숨긴다는 얘기도 있었거든요, 이번에 공개된 신무기들 어떤 것을 주목해 봐야 하나요?
<질문 19> 중국은 열병식에서 무기 강국 미국에 특히 과시하고 싶은 무기가 있다면 어떤 게 있고 그 이유는 뭘까요?
<질문 20> 이번 열병식에서는 중국 육해공군, 제2포병, 무장경찰부대 등 중국과 11개국 장병 1만 2천여명이 나서게 되고요. 또 전투기, 폭격기 등 각종 군용기 200대가 동원됩니다, 세계의 군대가 참석한다는데 이것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질문 21> 열병식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항공모함 등 중국이 자체 생산했다고 전해졌는데요, 그 기술력은 얼마나 되나요?
<질문 22> 중국의 새로운 무기 퍼레이드를 바라보는 미국과 일본의 국가 수장들도 누구보다 예리하게 지켜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어떤 속내가 있을까요?
<질문 23> 최근 소원한 북중 관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북한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발휘할 수 있는 상대는 중국인데요, 이에 따라 이런 한반도 위기 상황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요?
<질문 24> 어제 열렸던 한중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올 10월말이나 11월 초에 한국에서 한, 중, 일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하자고 뜻을 모았는데 이번 열병식 행사에 뿔난 일본이 과연 참석할까요?
네. 지금까지 문용석 전 주중 한국대사관 국방무관·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센터장·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과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