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반장 뽑기 돈 잔치…선거연설 학원 등장
<출연: 박상희 샤론정신건강연구소장ㆍ이동형 시사평론가>
얼마 전 초. 중, 고생들의 가을학기가 시작이 됐는데요.
강남의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학부모들이 자녀들을 반장 선거에서 당선시키기 위해서 선거 스피치 학원에 보내는 등, 반장 선거가 돈 잔치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한편 어린 자녀를 핑계로 몰지각한 행동을 하는 부모를 비하하는 신조어 맘충이란 들어보셨는 모르겠습니다.
오늘 이 시간 박상희 샤론정신건강연구소장, 이동형 시사평론가와 함께 이와 관련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개학을 했어요, 학교 내 임원들 뽑기도 한창일 텐데요. 그런데 요즘 강남 초등학교에서 반장 뽑기가 돈 잔치로 전락했다는데 무슨 얘기인가요?
<질문 1-1> 소장님 주위에서도 자녀를 선거 스피치 학원에 보낸다는 엄마들 얘기 들어 보신 적 있으세요?
<질문 2> '선거 스피치 학원' 그런 학원은 어떤 곳인가요?
<질문 3> 초등학교 임원선거인데 중·고등학교 선거보다 더 치열한 거 같은데요. 비용도 고액 고교논술 과외비용보다 비싸다고요?
<질문 4> 초등학교에 들어와서 선거가 주는 원리와 원칙을 배우자는 취지인데 학부모들의 이런 경쟁심이 아이들에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질문 5> 요즘 나오는 신조어 가운데 '맘충'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맘충' 엄마라는 뜻의 맘에 벌레 충자를 붙여서 무개념 엄마를 벌레로 취급하며 강하게 비판하는 말인데요. 아이들 키우는 엄마 입장에서는 듣기에 어떠세요?
<질문 6> 맘충들이 늘자 덩달아 아이들의 출입을 막는 노키즈 존이 늘고 있는데요. 노 키즈존에 대한 생각은 어떻습니까?
<질문 7> 그런데 '충'하면 뇌가 없는 벌레 같은 인간이라는 뜻의 무뇌충이 있고 보수 사이트 일간베스트 이용자에 대한 혐오의 표시로 벌레를 의미하는 충을 붙여 '일베충' 그리고 '맘충'까지 왜 우리 사회는 벌레로 낙인을 찍을까요?
<질문 8> 우리 사회, 김치녀, 된장녀, 맘충까지 왜 여성을 불편하게 하는 말들이 유독 많은 것인가요?
<질문 9> 어린이 장난감과 문구류, 생활용품 등이 무더기 리콜 명령을 받았는데 왜 그런 것인가요?
<질문 10> 위해성 기준을 어긴 제품 중 플라스틱 인형, 장난감, 목욕 완구 등 8개가 프탈레이트 기준을 초과됐고, 액세서리 2개가 카드뮴 기준을 초과됐다고 하는데 아이들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요?
<질문 11> 어린이용 제품이 너무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어서 자녀를 둔 부모님들의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이런 유해물질 어린이용품 근절할 수 있는 대책은 없는 것인가요?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박상희 샤론정신건강연구소장, 이동형 시사평론가와 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박상희 샤론정신건강연구소장ㆍ이동형 시사평론가>
얼마 전 초. 중, 고생들의 가을학기가 시작이 됐는데요.
강남의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학부모들이 자녀들을 반장 선거에서 당선시키기 위해서 선거 스피치 학원에 보내는 등, 반장 선거가 돈 잔치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한편 어린 자녀를 핑계로 몰지각한 행동을 하는 부모를 비하하는 신조어 맘충이란 들어보셨는 모르겠습니다.
오늘 이 시간 박상희 샤론정신건강연구소장, 이동형 시사평론가와 함께 이와 관련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개학을 했어요, 학교 내 임원들 뽑기도 한창일 텐데요. 그런데 요즘 강남 초등학교에서 반장 뽑기가 돈 잔치로 전락했다는데 무슨 얘기인가요?
<질문 1-1> 소장님 주위에서도 자녀를 선거 스피치 학원에 보낸다는 엄마들 얘기 들어 보신 적 있으세요?
<질문 2> '선거 스피치 학원' 그런 학원은 어떤 곳인가요?
<질문 3> 초등학교 임원선거인데 중·고등학교 선거보다 더 치열한 거 같은데요. 비용도 고액 고교논술 과외비용보다 비싸다고요?
<질문 4> 초등학교에 들어와서 선거가 주는 원리와 원칙을 배우자는 취지인데 학부모들의 이런 경쟁심이 아이들에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질문 5> 요즘 나오는 신조어 가운데 '맘충'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맘충' 엄마라는 뜻의 맘에 벌레 충자를 붙여서 무개념 엄마를 벌레로 취급하며 강하게 비판하는 말인데요. 아이들 키우는 엄마 입장에서는 듣기에 어떠세요?
<질문 6> 맘충들이 늘자 덩달아 아이들의 출입을 막는 노키즈 존이 늘고 있는데요. 노 키즈존에 대한 생각은 어떻습니까?
<질문 7> 그런데 '충'하면 뇌가 없는 벌레 같은 인간이라는 뜻의 무뇌충이 있고 보수 사이트 일간베스트 이용자에 대한 혐오의 표시로 벌레를 의미하는 충을 붙여 '일베충' 그리고 '맘충'까지 왜 우리 사회는 벌레로 낙인을 찍을까요?
<질문 8> 우리 사회, 김치녀, 된장녀, 맘충까지 왜 여성을 불편하게 하는 말들이 유독 많은 것인가요?
<질문 9> 어린이 장난감과 문구류, 생활용품 등이 무더기 리콜 명령을 받았는데 왜 그런 것인가요?
<질문 10> 위해성 기준을 어긴 제품 중 플라스틱 인형, 장난감, 목욕 완구 등 8개가 프탈레이트 기준을 초과됐고, 액세서리 2개가 카드뮴 기준을 초과됐다고 하는데 아이들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요?
<질문 11> 어린이용 제품이 너무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어서 자녀를 둔 부모님들의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이런 유해물질 어린이용품 근절할 수 있는 대책은 없는 것인가요?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박상희 샤론정신건강연구소장, 이동형 시사평론가와 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