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국회의원 갑질 논란 '일파만파'

<출연 : 건국대 장성호 교수·포커스컴퍼니 전략연구원장 민영삼>

며칠 전 보도되기 시작한 국회의원 갑질 논란, 사태가 일파만파 커지면서, 고위직 자제들의 불공정한 취업실태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현대판 음서제도'라는 말까지 흉흉하게 회자되고 있는데요.

장성호 건국대 교수, 민영삼 포커스컴퍼니 전략연구원장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이른바 국회의원 '갑질'논란이 있고 며칠 만에 국회의원 자녀들의 취업청탁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알고도 모른 척했던, 또 그러려니 했던 일들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는 느낌도 있는데요. 심각성은 어느 정도로 보고 계십니까?

<질문 2> 총선을 앞두고 여야 모두 경제 개혁에 사활을 걸고 있는 상황인데요. 두 당 모두 '청년 실업'을 화두의 중심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최악의 악재를 만났다는 생각도 듭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 결국 문제의 중심은 관행이라는 건데요. 청탁을 받는 기업입장에서도 실질적으로 윈윈을 노리는 측면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요. 이미 음성적으로 제도화되어 있는 이 문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도려낼 수 있는 방법, 무엇일까요?

<질문 4> 곧 시행을 앞둔 김영란 법에 대한 관심도 다시 불붙고 있는 양상입니다. 애초에 사태의 시발점이 국회의원이다 보니, 법안 자체를 전면적으로 손봐야 한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는데요. 어떤 부분이 가장 문제라고 보십니까?

<질문 5> 화제를 바꿔보죠. 선거구 획정 문제가 진통을 겪고 있긴 합니다만 간신히 어제, 국회의원 정수를 300명으로 한다는 합의안이 도출됐죠. 타임라인은 급박하게 다가오고 있는데, 갈 길은 멉니다. 선거구획정기준이 마련될 때까지 논쟁의 핵심이 될 부분들,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6>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원 수를 끝내 조정해내지 못한 상황에서 공이 선관위로 넘어가 버렸습니다. 일각에서는 결국 정치개혁이 여야의 짬짬이로 끝나버리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는데요. 추진 의지는 명확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7> 정개특위가 일단락 지은 성과들도 있죠. 일단 선거기간 중 인터넷 실명제를 폐지하기로 했고, 허위정보 유포에도 강력히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무엇보다 유세 도중에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정황이 포착되면 최고 징역 1년이 선고될 수 있게 선거법이 개정되는데요. 나름대로 실효를 거둘 수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8> 그런가 하면, 친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김무성 대표를 향해 날을 세우고 있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데요. 특히 오픈 프라이머리를 당론으로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권 내 공천과 관련된 계파 갈등이 고개를 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큽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끝으로, 금태섭 의원의 책 출간 얘기도 해보죠. 사실상 최측근 참모에서 저격수로 나섰다는 평이 지배적인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